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 肅宗의 君臣義理 定立과 尊周大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682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국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00 판사항(6)

      • DDC

        90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95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노대환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Sukjong developed the quality of a king and internalized Confucian values by sincerely attending the lecture during his reign as the Crown Prince for seven years and seven months. In addition, he established close relations with the ruling politi...

      King Sukjong developed the quality of a king and internalized Confucian values by sincerely attending the lecture during his reign as the Crown Prince for seven years and seven months. In addition, he established close relations with the ruling political group and key officials. As the heir to the throne, he was given an opportunity to have a solid foothold and learn the flow of political affairs.
      King Sukjong participated in the Mourning Dress Debate right after his accession to the throne and continued to stress that King Hyeonjong corrected the false theory of ritual formality and, at the king’s judgment, the rites of the royal family has been straightened. By doing so King Sukjong proclaimed that the legitimacy of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had not been compromised. King Sukjong succeeded the throne as a primogeniture of King Hyeonjong, but the controversy over the legitimacy of King Hyojong was an issue that could affect the authority of him. King Sukjong’s position, which recognized the Seoin Faction’s claim as a challenge to the legitimacy of the monarchy, is easily understandable in this respect.
      King Sukjong may have realized the need to solidify his status as a king amid disputes over the legitimacy of the monarchy in the early days of his accession to the throne. However, as the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 ended around 1680, the Qing Dynasty began to take a disciplinary action to Joseon, which took an anti-Qing position under the pretext of the crisis in the Qing Dynasty, and it has severely damaged King Sukjong’s status. The diplomatic row that occurred during this period is seen as an example of diplomatic pressure that reflects Qing’s willingness to impose sanctions on the Joseon Dynasty.
      King Sukjong tried to overcome this crisis and raise his status in his government. He restored the honor of the political war victims such as Sayuksin, six loyalists executed in the restoration attempt of King Danjong, and granted the spirit tablets of Yi Yi and Seong Hon be enshrined in the State Shrine to Confucius. He tried to raise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emphasized the loyalty of his subjects as he lived up to the expectations and opinions of the Confucian literati. In addition, he paid constant attention to his work to improve the code for royal rites and to elevate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King Sukjong posthumously conferred King Jeongjong a shrine title in the 7th year of his reign (1681), when diplomatic disputes with Qing were high, and restored the posthumous titles of King Danjong and Queen Jeongsoon (1698). King Sukjong also worked hard to renovate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hich was concluded with the compilation of The Protocols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 order to strengthen the status of the king and his royal family as follows: He designated the spirit tablets of King Injo and King Hyojong to be remained in the first cubicle in the main building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and he conferred posthumous names of King Taejo and King Taejong.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where the kings of Joseon and their ancestors were enshrined, is a place that embodies the legitimacy of the monarchy in a visible form and is the source of the king’s political authority.
      At that time, Joseon made efforts to minimize pressure from Qing and to prevent the spread to a greater crisis by proactively expressing its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the Qing Dynasty, at least superficially.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have benefited from active and astute diplomatic negotiations. King Sukjong established his political base even further by achieving the installation of the Queen in 1689 and the investiture of the Crown Prince in 1694. In the 23rd year of King Sukjong’s reign (1697), he exerted his utmost efforts to improve the people’s livelihoods by arranging rice aid and trade by Kangxi Emperor to fight against a great famine. Since 1689, there has been a gradual decrease in the imperial delegation to Joseon, and there have been no instances of diplomatic disciplines other than the dispatch of envoys for ceremonial reasons such as a royal investiture. This trend shows that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gradually stabilizing.
      However, the improvement of diplomatic relations meant that Joseon was officially admitted to having been supplanted into the imperial order of the Qing Dynasty. And this was an occasion to escalate the opposition of Confucian intellectuals who had inevitably internalized anti-Qing thoughts. The heightened criticism and emotion from the intellectuals about the introduction of Qing rice, a case of successful negoti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lief programs using it, suggest that the outcome of diplomacy with the Qing Dynasty at that time was a kind of antagonism that caused the escalation of anti-Qing emotions. Against this backdrop, King Sukjong had to make another effort to solidify the authority of the king.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fallen people in the war against the Japanese and the Manchurian Invasions carried out more actively than before. This trend must have been fueled by efforts by political groups to strengthen their cause for power during this period. In addition, relations with the Qing Dynasty, which have been stable since the mid-1680, created a mood of visible remembrance for the war dead. The intention of King Sukjong, who was in line with the impartial opinion of the Cardinal Principle of Revering the Zhou and wanted to honor loyalty, must have also acted as a major driver.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shrines devoted to Im Gyeong-eop, a prominent general and a symbol of the anti-Qing movement, and the fact that several shrines for anti-Qing figures were built in cities on major roads such as Uiju reflects the context of the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Qing at the time.
      In addition, the trend of expanding the construction of a private Neo-Confucian academy and the granting of a royal charter to the academy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shows that the interests of various political groups and local Confucian literati have been in line with the king’s intentions. The state’s endorsement of a private Neo-Confucian academy and continued support were special gifts of the king who responded to the impartial opinion of Confucian literati. Therefore, we can imagine that the king’s intention was shown and that it was effective to generate voluntary support for the royal authority.
      Furthermore,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a series of measures were implemented to reflect the ruling cause of Confucianism. King Sukjong frequently visited the State Shrine to Confucius and pushed for the renovation of the list of enshrined scholars in the State Shrine to Confucius, which had been the Sarim scholars’ long-cherished dream since the late 16th century.
      King Sukjong’s efforts to adjust to the honor and cause of the times will likely find the case even in a ritual sense. The rituals carried out by the king had clear political utility in that they served as a conspicuous display of abstract authority.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as shown in the case of the formality of a visit to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e king’s rite was greatly expanded and the related regulations were adjusted. In addition, the king’s authority as a ritual agent who complied with the heavens was realized by actively implementing rituals to address disasters. King Sukjong intended to fulfill his duty as a ruler who contributes to heaven by collecting the people’s wishes to resolve the disast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ing Sukjong’s reign, which focused on the political utility of the rite, it is noteworthy once again that King Sukjong took the initiative in constructing Taebodan, an altar for Joseon Kings’ offering sacrifices to Ming Emperors, the exclusive ceremonial space for the promotion of the Cardinal Principle of Revering the Zhou. The newly formed and developed rite during this period is understood to be a ritual device that can re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ideology, which is based on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of Joseon and the new reality of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the Qing Dynasty. In the context of the restoration of royal author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altar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ruling ideology, which leads to anti-Qing thoughts, should be seen as an effort to resolve the antagonism between the reality and the traditional ideology that must comply with the changed international order.
      The establishment of Taebodan, and the emphasis of the Cardinal Principle of Revering the Zhou through the sacrificial rites to Ming Emperors are not simply an act that follows the toadyism and longing for the Ming Dynasty. It is part of efforts to maintain Joseon’s unique Confucian governing ideology by reaffirming Joseon’s traditional adherence to its moral values. Additionally, the fact that it has devised a way of coexistence to avoid friction with the Qing Dynasty but to maintain the existing aim for Sino-centrism in a broad framework is also meaningful as a way to solve the challenges of adapting to the new international order.
      In addition, the fact that King Sukjong gained control of state affairs by taking back the ideological leadership of the Noron officials and drawing key people from the Noron faction into the cooperation for state affairs is another example of political achievement inherent in the establishment of Taebod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시기 국왕은 천명에 기초한 상징적 권위를 바탕으로 王政을 시행하였지만, 정책 논의의 주도권은 대신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 권력에 상당 부분 위임되어 있었다. 이처럼 국왕의 상징적...

      조선 시기 국왕은 천명에 기초한 상징적 권위를 바탕으로 王政을 시행하였지만, 정책 논의의 주도권은 대신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 권력에 상당 부분 위임되어 있었다. 이처럼 국왕의 상징적 권위가 가시적 권력 행사와 직결되어 있지 않았던 국초 이래 조선의 정치 체제는 국왕의 자의적 권력 행사를 방지하고 제도적 효용성을 보장하고자 하였던 유교 정치의 이상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었다고 하겠다. 16세기 이래 사림이 정치의 주역으로 등장하고, 공론과 의리 명분에 기초한 붕당정치가 시행됨에 따라 산림의 권위는 제고되었다. 특히 숙종의 시대는 사림의 공론이 가지는 권위가 왕권을 능가하여 산림이 내세운 도학적 기준이 임금의 판단에 우선한다고 하는 ‘道高于君’의 정치 논리가 형성되었던 시기였다는 견해도 도출된 바 있다.
      그러나 조선 시기의 정치 행위는 국왕을 정점으로 하는 군주체제의 맥락 위에서 시행되었던 것 또한 사실이기에, 이 시기 정치의 작동 원리를 분명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왕정의 주체이자 최고의 권력자인 국왕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제반 관료집단이 어떠한 명분과 대의를 내세우더라도 종국적인 처분은 결국 국왕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국왕이라는 존재에 관심을 환기해야 할 필요성은, 국왕이 붕당 간 是非明辨의 판정자로 자임하여 당론을 배격하고 국왕 중심의 정치를 지향함으로써 향후 전개될 탕평 정국의 토대를 다진 시기로 이해되는 숙종 연간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그 개연성이 더욱 높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 제19대 임금 숙종(재위 1674∼1720)이 당대 정치의 흐름과 국제관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왕정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이를 가시적인 왕권으로 가꾸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숙종 연간의 정치사를 특징짓는 붕당정치의 흐름 속에서 형성된 군신 관계의 특성과 당시 조선 외부의 가장 강력한 정치적 동인이었던 淸과의 관계가 초래한 국내적 파장을 세밀히 되짚어 봄으로써 이 시기 왕정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고자 하였다.
      숙종은 7년 7개월에 걸친 세자 시절 동안 성실히 강학을 진행함으로써 군왕의 자질을 함양하였으며, 유교적 가치체계를 내면화하였다. 아울러 당시 집권 세력인 서인계 山人 및 주요 관료들과 친밀한 관계를 쌓음으로써 왕위 계승자로서 입지를 탄탄히 하고 정국의 흐름을 익히는 기회를 부여받았다.
      숙종은 즉위 직후 복제 논쟁에 참여하여 현종이 잘못된 예론을 釐整하고 시비를 바르게 하였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함으로써 국왕의 판단으로 왕실의 예제를 바로잡은 사실과 왕위계승의 정통성에 하자가 없다는 사실을 천명하였습니다. 숙종은 현종의 적장자로 嗣位하였지만 예송을 통해 야기된 효종의 왕통에 대한 시비는 곧 숙종의 권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었다. 서인의 예론을 왕권의 정통성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하여 공척하고 현종의 예론 수호에 천착하였던 숙종의 입장은 이러한 측면에서 쉽게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이처럼 즉위 초반 왕정의 정통성에 대한 시비가 불거질 수 있는 상황 속에서 숙종은 왕권의 위상을 공고히 할 필요성을 인식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삼번의 난이 종식된 1681년을 전후하여 자국의 위기 상황을 틈타 반청적인 자세를 보였던 조선에 대한 청의 懲治가 시작되면서 숙종의 위상에 심각한 타격을 가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文書違式과 迎詔勅儀禮 시비는 조선에 대한 청의 제제 의지가 반영된 외교 압박의 사례로 파악되고 있다.
      숙종은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 국내적인 위상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사육신으로 대표되는 被禍人의 복관, 이이와 성혼 등 선정신의 문묘 종사를 허여함으로써 사림의 기대에 부응하는 존재로서 국왕의 권위를 제고하고 군신의리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왕실 祀典을 정비하고 왕실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작업에도 꾸준한 관심을 기울였다. 숙종은 청과의 문서위식 시비가 한창이던 숙종 7년(1681) 定宗의 묘호를 추존한 것을 필두로 하여 단종과 정순왕후의 追復位(1698) 등 왕실 闕典의 복구 작업에 진력하였으며, 인조와 효종의 세실 지정, 태조와 태종의 시호 추상, 종묘의궤의 편찬으로 귀결되는 종묘제도 정비에 진력함으로써 국왕과 왕실의 위상 강화를 모색하였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조선의 역대 국왕과 조상의 신위가 모셔진 종묘는 추상적 형태로 존재하는 왕권의 정통성을 가시적으로 구현해 놓은 공간이자 국왕의 정치적 권위가 비롯되는 근원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 조선은 적어도 외형상으로는 청에 대한 至誠事大를 행하고, 청 중심의 국제질서에 순응한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청으로부터의 압박을 최소화하고 더 큰 위기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숙종은 희빈 장씨의 왕비 책봉(1689), 원자의 왕세자 책봉(1694)을 성사시킴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한층 공고히 하고, 숙종 23년(1697)에는 대기근을 타파하기 위한 淸米의 교역과 강희제의 미곡 지원을 성사시킴으로써 민생의 개선에 진력하였다. 실제 1689년 이후로 조선에 대한 청의 칙사 파견이 점차 감소되었으며, 책봉과 같은 의례적인 사유로 인한 사신의 파견 이외에 외교 분쟁으로 인한 질책성 칙사의 파견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추세는 양국 간의 관계가 점차 안정화되어 가는 정황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대청 관계의 개선은 일면 조선이 대청체제에 본격적으로 포섭되어 갔으며, 조선의 사대처가 청으로 교체되었음을 공식적으로 시인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세는 필연적으로 반청의식을 내면화하고 있었던 사림, 유자들의 반발을 고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대청 외교의 차원에서는 성공적인 교섭의 사례라고 볼 수 있는 청미의 도입과 이를 활용한 진휼 사업의 시행에 대해 조야의 비판과 반청감정이 고조되었던 사실은 당시 대청 외교 성과가 반청의식의 고조를 야기하는 일종의 길항 관계가 엄존하였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숙종은 국왕의 권위를 확고히 다지기 위한 또 다른 차원의 노력을 다해야만 했다.
      숙종 연간에는 양란 순절인 및 반청 척화인에 대한 현창 사업이 이전 왕대에 비해 왕성하게 시행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우선 이 시기 제반 정치세력의 집권 명분 강화 노력에 힘입은 바 컸을 것이다. 아울러 1680년대 중반 이후 안정되어 간 청과의 관계로 인해 반청 순절·척화인의 가시적인 현창이 가능한 분위기가 형성되었던 점, 그리고 존주대의를 선양하고 군신의리를 강조하고자 하였던 숙종의 의도 역시 주요한 동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친명배청의 상징과 같은 인물인 林慶業의 사우 건립과 사액이 여러 차례 이루어진 사실, 安州·義州와 같은 사행로 상의 거점 도시에 반청 인사의 사우가 건립된 사실 등에는 이 시기 대청 관계의 맥락이 반영되어 있다고 보겠다.
      아울러 숙종 연간의 대대적인 서원·사우 건설 및 사액 확대의 경향은 제반 정치세력과 향촌 사림의 이해관계가 국왕의 의도와 조응하여 상승효과를 보인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서원과 사우에 대한 국가의 공인과 지속적인 지원은 국왕의 특별한 은전이었으므로, 당대의 의리와 명분에 조응하는 국왕의 의도를 널리 알리고, 왕권에 대한 각 붕당과 사림의 자발적 지지를 도출시키는 효과가 적지 않았을 것이라 짐작하게 된다. 이외에도 숙종 연간에는 문치를 숭상하고, 도학을 존숭하는 통치 명분이 반영된 시책들이 꾸준히 시행된 바 있다. 숙종은 수시로 문묘 전알을 시행하였으며, 16세기 후반 이래 사림의 숙원 사업이었던 문묘 祀典 釐整 작업을 추진하였다.
      시대의 의리와 명분에 조응하기 위한 숙종의 노력은 의례적인 차원에서도 그 사례를 찾을 수 있을 같다. 국왕이 수행하는 의례는 추상적인 왕권을 물리적으로 드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분명한 정치적 효용을 내포하고 있었다. 숙종 연간에는 종묘 전알례의 정식화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이전 왕대에 비해 국왕의 親享 의례가 대폭 확대되고 관련 사전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아울러 재해의 해소를 위한 기양의례를 적극 설행하여 천과 조응하는 의례 주체로서 국왕의 권위를 가시화하고, 재변의 해소를 원하는 사민의 바람을 수렴하여 천에 기고하는 치자의 책무를 다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의례의 정치적 효용에 주목하고 적극 설행하였던 숙종 왕정의 특성을 참작하였을 때, 숙종이 존주대의를 선양하는 독점적 의례 공간인 대보단 건립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실현하였다는 사실에 다시금 주목하게 된다. 이 시기 새롭게 형성되고 발전한 대보단 의례는 조선이 전통적으로 지향하였던 중화보편 문화가치에 기초한 이념적 명분과 청 중심의 국제질서라는 새로운 현실 사이의 모순을 해소할 수 있는 의례적 장치로 파악되고 있다. 대청사대의 시행이라는 불가역적인 시대의 조류 앞에서 대보단의 설치를 통한 국왕 권위의 회복과 존주대의로 수렴되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근간 바로잡기는 곧 변화한 국제질서에 순응해야만 하는 현실과 전통적 의리론 사이의 길항 관계를 해소하고, 국왕의 권위를 찾기 위한 노력과도 그 맥락이 상통하는 행위라 추론할 수 있다.
      대보단의 설립과 명 황제에 대한 제향을 통한 존주대의의 강조는 단순히 명에 대한 사대의식과 慕華思想을 답습하는 행위가 아니라, 조선이 전통적으로 고수하였던 도덕적 가치와 의리에 대한 保守를 국가적 차원에서 재확인함으로써 조선 고유의 유교적 지배이념을 복원·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청과의 마찰은 피하되 종래의 중화보편에 대한 지향을 큰 틀에서 유지할 수 있는 공존의 방편을 마련한 것은 새로운 국제질서에의 적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소하는 활로로서의 의미 또한 지닌다고 하겠다.
      이와 함께 숙종이 대보단 설단 논의를 계기로 하여 송시열계 노론 인사들이 이끌고 있었던 의리의 주도권을 회수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노론 핵심 인사들을 국정의 협조자로 끌어들임으로써 향후 정국에서 국왕의 국정 주도권을 한층 강화하였다는 사실 역시 대보단의 창설에 내재한 정치적 성과의 일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목적과 연구 동향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동향 8
      • 제2절 논문 구성과 자료 소개 16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목적과 연구 동향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동향 8
      • 제2절 논문 구성과 자료 소개 16
      • 1. 논문 구성 16
      • 2. 자료 소개 21
      • 제2장 왕권 강화 모색과 對淸 관계의 부담 23
      • 제1절 대내적 왕권 강화 모색 23
      • 1. 숙종의 春坊 講學과 정국 이해 23
      • 2. 숙종의 西人 공척과 왕통 강조 32
      • 3. ‘臣强說’ 논란과 숙종의 대응 41
      • 제2절 對淸 관계의 악화와 국왕 권위의 손상 51
      • 1. 復明의 기대와 반청의식 고조 51
      • 2. 文書違式과 迎詔勅儀禮 是非 빈발 60
      • 3. ‘三道溝事件’과 청 칙사의 조선 국왕 察意 70
      • 제3장 국왕 위상 강화와 君臣義理 정립 82
      • 제1절 국왕 권위와 왕실 위상 강화 82
      • 1. 사육신 신원과 사림 공론 轉有 82
      • 2. 國家祀典 정비와 왕위계승 정당성 천명 89
      • 제2절 君臣義理 정립을 위한 조치 98
      • 1. 순절·척화인 현창 장려 98
      • 2. 院祠 증설과 사액 확대 111
      • 제4장 大報壇 건립과 尊周大義 구현 121
      • 제1절 대청사대와 반청의식의 길항 121
      • 1. 大淸體制 완성과 조청 관계 안정 121
      • 2. 청 賑濟米 도입 논란과 조야의 반발 132
      • 제2절 국행의례 확대와 大報壇 의례 신설 142
      • 1. 전사자 致祭와 祈禳儀禮 정비 142
      • 2. 尊周大義 선양과 국정 주도권 강화 152
      • 제5장 결 론 162
      • 참 고 문 헌 168
      • ABSTRACT 18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희환, "甲戌換局과 肅宗",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11·12합집, 1989

      2 이희환, "肅宗과 己巳換局",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8, 1984

      3 배우성, "􋺷조선과 중화􋺸", 돌베게, 2014

      4 강문식, 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5 이희환, "庚申換局과 金錫胄",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10, 1986

      6 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 "􋺷역주 화양동지􋺸", 충북대학교 출판부, 2009

      7 전해종, "􋺷韓中關係史硏究􋺸", 일조각, 1970

      8 김덕진, "대기근, 조선을 뒤덮다", 푸른역사, 2008

      9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0 김영미, "􋺷전염병의 문화사􋺸", 혜안, 2010

      1 이희환, "甲戌換局과 肅宗",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11·12합집, 1989

      2 이희환, "肅宗과 己巳換局",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8, 1984

      3 배우성, "􋺷조선과 중화􋺸", 돌베게, 2014

      4 강문식, 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5 이희환, "庚申換局과 金錫胄",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10, 1986

      6 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 "􋺷역주 화양동지􋺸", 충북대학교 출판부, 2009

      7 전해종, "􋺷韓中關係史硏究􋺸", 일조각, 1970

      8 김덕진, "대기근, 조선을 뒤덮다", 푸른역사, 2008

      9 김문식,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0 김영미, "􋺷전염병의 문화사􋺸", 혜안, 2010

      11 한형주, "􋺷조선의 국가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09

      12 정옥자, "􋺷조선후기 지성사􋺸", 일지사, 1991

      13 이화자, "􋺷한중국경사 연구􋺸", 혜안, 2011

      14 이화자, "􋺷朝淸國境問題硏究􋺸", 집문당, 2008

      15 박광용, "􋺷朝鮮後期蕩平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6 고성훈, "􋺷朝鮮後期變亂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7 이희환, "􋺷朝鮮後期黨爭硏究􋺸", 국학자료원, 1995

      18 정만조, "􋺷朝鮮時代書院硏究􋺸", 집문당, 1997

      19 조 광, "19世紀民亂의 社會的背景",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世紀傳統社會의 變貌와 民 衆意識􋺸, 1982

      20 박원호, "􋺷明初朝鮮關係史硏究􋺸", 일조각, 2002

      21 정옥자, "􋺷조선시대 문화사 1, 2􋺸", 일지사, 2007

      22 박 주, "􋺷朝鮮時代의 旌表政策􋺸", 일조각, 1990

      23 정옥자, "􋺷조선후기 문화운동사􋺸", 일조각, 1997

      24 김돈,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9

      25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 유학사상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아 카넷, 2003

      26 조 광, "􋺷조선후기 사회의 이해􋺸", 경인문화사, 2010

      27 김해영, "􋺷朝鮮初期祭祀典禮硏究􋺸", 집문당, 2003

      28 김성윤, "􋺷朝鮮後期蕩平政治硏究􋺸", 지식산업사, 1997

      29 구범진,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2

      30 강호선, "宋 元代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역사학회 , 􋺷역사학보􋺸 206, 2010

      31 Bell, Catherine M., "류성민 역, 􋺷의례의 이해􋺸",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7

      32 정경희, "􋺷朝鮮前期禮制 禮學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33 한형주,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일조각, 2002

      34 신진혜, "􋺷조선후기 종묘의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5 김준석, "􋺷朝鮮後期政治思想史硏究􋺸", 지식산업사, 2003

      36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37 오카다 히데히로, "남상긍 역, 􋺷강희제의 편지􋺸", 경인문화사, 2014

      38 최소자, "􋺷明淸時代中 韓關係史硏究􋺸", 이화여자대학교, 1997

      39 한우근, "白湖尹鑴硏究, 􋺷역사학보􋺸 19", 역사학회, 1962

      40 이 욱, "􋺷조선시대 재난과 국가의례􋺸", 창비, 2009

      41 구범진,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까치글방, 2019

      42 송웅섭, "􋺷조선 전기 公論政治의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1

      43 우경섭, "􋺷宋時烈의 世道政治思想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5

      44 허태구, "􋺷병자호란과 예, 그리고 중화􋺸", 소명출판, 2019

      4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46 김대중, "‘내부외부’에 대한 두 개의 시선", 한국사 연구회 , 􋺷한국사연구􋺸 162, 2013

      47 Bol, Peter, "김영민 역, 􋺷역사 속의 성리학􋺸", 예문서원, 2010

      48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49 이근호,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50 정호훈, "白湖윤휴의 現實認識과 君權强化論",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학림􋺸 16, 1994

      51 Deuchler, Martina, "이훈상 역, 􋺷한국의 유교화 과정􋺸", 너머북스, 2013

      52 노대환, "􋺷19세기 東道西器論形成過程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9

      53 김창수, "􋺷19세기 조선 청 관계와 사신외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6

      54 허태구, "􋺷丙子胡亂의 정치 군사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9

      55 순조대, 정옥자, "明三皇에 대한 從享, 􋺷한국학보􋺸 31", 일지 사, 2005

      56 최성환, "􋺷正祖代蕩平政局의 君臣義理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9

      57 김문준, "동춘당 송준길의 춘추정신과 현실 대응", 한국철학사연구회 , 􋺷한국철학논집􋺸 50, 2016

      58 우경섭,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유니스토리, 2014

      59 이규철, "􋺷조선초기의 對外征伐과 對明意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3

      60 이현진, "􋺷조선후기 宗廟정비와 世室論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6

      61 윤 정, "숙종 후반기 北道사적 인식과 정비 논의", 경남사학회 , 􋺷역사와 경계􋺸 76, 2010

      62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일지사, 1998

      63 조 광, "􋺷조선후기 사상계의 전환기적 특성􋺸", 경인문화사, 2010

      64 이태진, "􋺷조선후기의 정치와 군영제의 변천􋺸", 한국연구원, 1985

      65 김용태, "유교사회의 불교의례 , 􋺷한국문화􋺸 7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 국학연구원, 2016

      66 강호선, "조선 태조 4년 國行水陸齋설행과 그 의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한국문화􋺸 62, 2013

      67 한지희, "􋺷朝鮮後期政治上의 是非明辨論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8 김영두, "􋺷朝鮮前期道統論의 展開와 文廟從祀􋺸",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6

      69 구범진, "병자호란과 천연두 , 􋺷민족문화연구􋺸 72", 고려대학교 민족문 화연구원, 2016

      70 계승범, "정지된 시간 :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강대학교 출 판부, 2011

      71 김영민, "조선중화주의 재검토 , 􋺷한국사연구􋺸 162", 한국사연구회, 2013

      72 이상식, "􋺷朝鮮後期肅宗의 政局運營과 王權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5

      73 최소자, "􋺷淸과 朝鮮: 근세 동아시아의 상호인식􋺸", 혜안, 2005

      74 이화자, "􋺷17-18세기 越境문제를 둘러싼 朝 淸교섭􋺸",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3

      75 이 욱, "조선후기 전쟁의 기억과 대보단(大報壇) 제향", 한국종교학회 , 􋺷종교연구􋺸 42, 2006

      76 최종석, "鞠躬인가 五拜三叩頭인가? , 􋺷한국문화􋺸 83", 서울대학교 규장 각한국학연구원, 2018

      77 정옥자, "17世紀思想界의 再編과 禮論, 􋺷한국문화􋺸 10", 서울대 한국 문화연구소, 1989

      78 강희제의, 김문기, "海運賑濟와 조선의 반응 , 􋺷역 사학연구􋺸 53", 호남사학회, 2014

      79 정경희, "肅宗後半期蕩平政局의 變化, 􋺷한국학보􋺸 79", 일지사, 1995

      80 정형지, "숙종대 진휼정책의 성격 , 􋺷역사와 현실􋺸 25", 한국역사연구회, 1997

      81 김경래, "􋺷宣祖代초반의 정국과 栗谷李珥의 개혁론􋺸",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5

      82 이현욱, "􋺷조선초기 보편적 즉위의례의 추구 - 嗣位􋺸", 서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4

      83 김성윤, "蕩平의 原理와 蕩平論, 􋺷부대사학􋺸 15 16합집", 부산대학교 사학회, 1992

      84 김우진, "􋺷숙종대의 수도권 방어정책과 국왕의 대응􋺸", 단국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9

      85 허태구, "􋺷17세기 朝鮮의 焰硝貿易과 火藥製造法발달􋺸", 서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6 김윤정, "􋺷18세기 禮學연구 : 洛論의 禮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몬, 2011

      87 탁신희, "􋺷􋺷國朝續五禮儀􋺸의 編纂과 왕권의 位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9

      88 서인범, "청 강희제의 開海政策과 조선 西海海域의 荒唐船", 이화사학연구소, 􋺷이화사학 연구􋺸, 2015

      89 나종일, "17세기 위기론과 한국사 , 􋺷역사학보􋺸 94 95합집", 역사학회, 1982

      90 윤 정, "숙종대 神德王后本宮追祔논의와 本宮인식의 변화", 고려사학회 , 􋺷한국 사학보􋺸 37, 2009

      91 왕설영, "􋺷17세기 전반 後金의 對朝鮮인식과 외교 정책􋺸",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2 임현채, "􋺷18세기 犯越사건을 통해 본 朝鮮의 對淸태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3 정병철, "􋺷‘天崩地裂’의 時代, 明末淸初의 華北社會􋺸", 전남대학교출판부, 2008

      94 허태구, "崔鳴吉의 主和論과 對明義理, 􋺷한국사연구􋺸 162", 한국사연구 회, 2013

      95 정해은, "숙종 초기 평안도의 변장 증설과 방어 체제의 변화", 한국사학회 , 􋺷사학연 구􋺸 120, 2015

      96 이근호, "조선시대 국왕의 備忘記연구 , 􋺷고문서연구􋺸 44", 한국고문서 학회, 2014

      97 강석화, "조선시대 중화세계관의 궤적 , 􋺷한국학연구􋺸 37",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98 강호선, "조선전기 국가의례 정비와 ‘국행’수륙재의 변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한국학연구 􋺸 44, 2017

      99 김 호, "조선후기 華夷論再考- ‘域外春秋’論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 􋺷한국사연 구􋺸 162, 2013

      100 우경섭, "幄對說話와 효종의 비밀 편지 , 􋺷한국학연구􋺸 5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101 이현진, "조선후기 단종 복위와 충신 현창 , 􋺷사학연구􋺸 98", 한국사학 회, 2010

      102 양선비, "􋺷17세기 중후반 禮訟의 전개와 政治地形의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3 김혜자, "朝鮮後期北邊越境問題硏究, 􋺷梨大史苑􋺸 18 19합집", 이화여 자대학교 사학회, 1982

      104 정경희, "肅宗代蕩平論과 ‘蕩平’의 시도 , 􋺷한국사론􋺸 30", 서울대 국사 학과, 1993

      105 홍순민, "肅宗初期의 政治構造와 ‘換局’ , 􋺷한국사론􋺸 15", 서울대 국사 학과, 1986

      106 김성우, "17세기의 위기와 숙종대 사회상 , 􋺷역사와 현실􋺸 25", 한국역 사연구회, 1997

      107 김창수, "􋺷17세기 對淸使臣의 ‘공식보고’와 정치적 파장􋺸", 서울시립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8 정만조, "肅宗朝의 死六臣追崇과 書院祭享, 􋺷한국학논총􋺸 33", 국민대 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109 윤 정,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생육신’의 성립",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역사문화 연구』36, 2010

      110 김우철, "숙종 6년(1680) 吳始壽옥사의 검토 , 􋺷역사와 담론􋺸 66", 호서 사학회, 2013

      111 이현진, "조선 숙종초 정국 동향과 배향 공신 , 􋺷韓國學報􋺸 31", 일지사, 2005

      112 노대환,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 􋺷조선시대사학보􋺸 53", 조선 시대사학회, 2010

      113 한명기, "明淸交替시기 朝中關係의 추이 , 􋺷동양사학연구􋺸 140", 동양 사학회, 2017

      114 한종수, "朝鮮後期肅宗代關王廟致祭의 性格, 􋺷역사민속학􋺸 21", 역 사민속학회, 2005

      115 고성훈, "숙종대 역관의 환국참여와 거사모의 , 􋺷향토서울􋺸 59", 서울특 별시사편찬위원회, 1999

      116 이성무, "17世紀의 禮論과 黨爭, 􋺷朝鮮後期黨爭의 綜合的檢討􋺸", 한 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117 설석규, "조선중기 학파의 붕당화와 당론 , 􋺷국왕, 의례, 정치􋺸", 태학사, 2009

      118 배우성, "조선후기 中華인식의 지리적 맥락 , 􋺷한국사연구􋺸 158", 한국 사연구회, 2012

      119 오수창, "18세기 조선 정치사상과 그 전후 맥락 , 􋺷역사학보􋺸 213", 역 사학회, 2012

      120 우경섭, "尤庵宋時烈硏究의 現況과 課題, 􋺷한국사상과 문화􋺸 44", 한 국사상문화학회, 2008

      121 손성욱, "淸朝貢國使臣儀禮의 形成과 變化, 􋺷동양사학연구􋺸 143", 동양사학회, 2017

      122 김문식,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행차 , 􋺷조선시대사학보􋺸 60", 조선 시대사학회, 2012

      123 김문기,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재해와 기근 , 􋺷이화사학연구􋺸 43", 이 화사학연구소, 2011

      124 김영두, "中宗代文廟從祀論議와 朝鮮道統의 形成, 􋺷사학연구􋺸 85", 한국사학회, 2007

      125 한형주,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 􋺷역사민속학􋺸 28", 역사민속학회, 2008

      126 우경섭, "朝鮮中華主義에 대한 학설사적 검토 , 􋺷한국사연구􋺸 159", 한 국사연구회, 2012

      127 고성훈, "조선 후기 민중사상과 鄭鑑錄의 기능 , 􋺷역사민속학􋺸 47", 역 사민속학회, 2015

      128 홍선이, "􋺷17∼18세기 초 조선의 對淸歲幣 方物규모와 조달 방식􋺸", 고 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9 이명제, "􋺷19세기 전반 燕行知識人의 對外認識과 華夷觀의 추이􋺸", 동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30 김문기, "17세기 中國과 朝鮮의 小氷期氣候變動, 􋺷역사와 경계􋺸 77", 부산경남사학회, 2010

      131 이성규, "中華帝國의 팽창과 축소: 그 이념과 실제 􋺷역사학보􋺸 186", 역사학회, 2005

      132 구범진, "淸의 朝鮮使行人選과 ‘大淸帝國體制’ , 􋺷인문논총􋺸 59", 서울 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8

      133 최종석, "조선초기 국가 위상과 ‘聲敎自由’ , 􋺷한국사연구􋺸, 162", 한국사 연구회, 2013

      134 김우철, "조선후기 江原道地方軍制의 변천 , 􋺷조선시대사학보􋺸 24", 조 선시대사학회, 2003

      135 강호선, "고려시대 水陸齋의 전개와 공민왕대 國行水陸齋설행의 의미", 한국불교연구원 , 􋺷불교연구􋺸 38, 2013

      136 서인범,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한국사상과 문화􋺸", 한 국사상문화학회, 2010

      137 홍종필, "三藩亂을 前後한 顯宗, 肅宗年間의 北伐論, 􋺷사학연구􋺸 27", 한국사학회, 1977

      138 김영두, "宣祖初文廟從祀論議와 道統論의 變化, 􋺷한국사상사학􋺸 31", 한국사상사학회, 2008

      139 김영두, "단종충신 追復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 􋺷사학연구􋺸 98", 한국사학회, 2010

      140 이명제, "이정수의 1811년 연행과 대외 인식의 노정 , 􋺷사학연구􋺸 123", 한국사학회, 2016

      141 최종석, "조선초기 迎詔禮운영과 􋺷蕃國儀注􋺸 , 􋺷역사와담론􋺸 86", 호서 사학회, 2018

      142 계승범,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문제 , 􋺷한국사연구􋺸 159", 한국사연구회, 2012

      143 이성규, "민족주의의 철학적 성찰: 중화사상과 민족주의 , 􋺷철학􋺸 37", 한국철학회, 1992

      144 이명제, "조선후기 세계 이해의 세 가지 방식 , 􋺷조선시대사학보􋺸 78", 조선시대사학회, 2016

      145 허태용, "􋺷17세기 후반 正統論의 강조와 􋺷自治通鑒節要􋺸의 보급􋺸", 고려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6 허태용, "􋺷朝鮮後期中華繼承意識의 展開와 北方古代史認識의 强化􋺸", 고 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47 우경섭, "17-18세기 임진왜란 참전 明軍에 대한 기억 , 􋺷한국학연구􋺸 46",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148 구범진, "崇德年間淸朝의 朝鮮王室冊封과 冊封文書, 􋺷명청사연구􋺸 52", 명청사학회, 2019

      149 노대환, "연속성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2017∼2018년 조선후기사 연구 동향", 역사학회 , 􋺷역사학보􋺸 243, 2019

      150 남희숙, "􋺷朝鮮後期佛書刊行硏究: 眞言集과 佛敎儀式集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51 홍순민, "17세기말 18세기초 농민저항의 양상 , 􋺷1894년 농민전쟁연구 2􋺸", 역사비평사, 1992

      152 김준석, "18세기 蕩平論의 전개와 왕권 , 􋺷東洋三國의 王權과 官僚制 􋺸", 국학자료원, 1999

      153 노대환, "19세기 전반 지식인의 對淸危機認識과 北學論, 􋺷한국학보􋺸 76", 일지사, 1994

      154 최종석, "고려후기 拜表禮의 창출 존속과 몽골 임팩트 , 􋺷한국문화􋺸 8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155 노대환, "숙종 영조대 對明義理論의 정치 사회적 기능 , 􋺷한국문화􋺸 32",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2003

      156 지두환, "조선 병자호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157 고성훈, "조선 후기 유언비어 사건의 추이와 성격 , 􋺷정신문화연구􋺸 3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158 박광용, "탕평론의 전개와 정국의 변화 ,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태학사, 1985

      159 주기평, "􋺷肅宗春坊日記􋺸에 나타난 숙종의 세자생활 , 􋺷규장각􋺸 33", 서 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8

      160 문중양, "15세기의 ‘風土不同論’과 조선의 고유성 , 􋺷한국사연구􋺸 162", 한국사연구회, 2013

      161 허태용, "17 18세기 北伐論의 추이와 北學論의 대두 , 􋺷대동문화연구􋺸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162 이근호, "18세기 ‘공론’정치 구조에 대한 시론 , 􋺷조선시대사학보􋺸 71", 조선시대사학회, 2014

      163 김우진, "肅宗의 昭顯世子嬪姜嬪伸寃과 그 의미 , 􋺷조선시대사학보􋺸 83", 조선시대사학회, 2017

      164 이 욱, "조선시대 국가사전과 영험성의 수용-기우제차의 정비를 중심 으로",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 􋺷종교와 문화􋺸 6, 2000

      165 유장근, "􋺷중국 역사학계의 청사연구 동향-한국 관련 분야를 중심으 로􋺸", 동북아역사재단, 2009

      166 이태진, "小氷期(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 朝鮮王朝實錄, 􋺷역사학 보􋺸 149", 역사학회, 1996

      167 유바다, "朝鮮初期迎詔勅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역사민속 학􋺸 40", 역사민속학회, 2012

      168 허태용, "조선 초기 對明事大論의 역사적 성격 검토 , 􋺷동양사학연구􋺸 135", 동양사학회, 2016

      169 김용태, "􋺷임진왜란 의승군 활동과 그 불교사적 의미􋺸, 􋺷보조사상􋺸 37", 보조사상연구원, 2012

      170 이영춘, "服制禮訟과 政局變動; 第二次禮訟을 中心으로 , 􋺷국사관논총􋺸 22", 국사편찬위원회, 1991

      171 김창수, "조선 청 외교문서의 교섭경로와 성경의 역할 , 􋺷역사와 현실􋺸 107", 한국역사연구회, 2018

      172 허태구, "병자호란 講和협상의 추이와 조선의 대응 , 􋺷조선시대사학보 􋺸 52", 조선시대사학회, 2010

      173 윤 정, "숙종대 聖學輯要進講의 경위와 의미 - 숙종 정국 운영방식 의 일단면",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남명학연구􋺸 21, 2006

      174 서인범, "압록강하구 沿岸島嶼를 둘러싼 朝 明영토분쟁 , 􋺷명청사연구 􋺸 26", 명청사학회, 2006

      175 노대환, "1870년대 전반의 중국 使行과 대외 정세 인식 , 􋺷대동문화연 구􋺸 10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176 이명제, "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관한 일고 , 􋺷동국사 학􋺸 57",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177 허태용,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실학’ 바라보기 , 􋺷한국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 2018

      178 한명기, "명청교체기 동북아 질서와 조선 지배층의 대응 , 􋺷역사와 현 실􋺸 37", 한국역사연구회, 2000

      179 배우성, "17 18세기 淸에 대한 인식과 북방영토의식의 변화 , 􋺷한국사 연구􋺸 99", 한국사연구회, 1997

      180 노대환, "18세기 후반 燕巖一派의 燕行과 淸朝정세 인식 , 􋺷대동문화 연구􋺸 85",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181 남이슬, "康熙年間淸國人의 海洋犯越과 朝 淸양국의 대응 , 􋺷명청사 연구􋺸 44", 명청사학회, 2015

      182 이순구, "단종 복위 사건 처벌에 나타난 조선 가족제의 특성 , 􋺷사학연 구􋺸 98", 한국사학회, 2010

      183 구도영, "조선 전기 조명외교관계의 함수, ‘禮義之國’ , 􋺷대동문화연구􋺸 8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184 이정일, "조선후기 기자인식에 나타난 유교문명과 보편성 , 􋺷한국사학 보􋺸 37", 고려사학회, 2009

      185 조성산, "조선후기 소론계의 古代史연구와 中華王義의 변용 , 􋺷역사학 보􋺸 202", 역사학회, 2009

      186 홍성구, "청질서의 성립과 조청관계의 안정화: 1644∼1700 , 􋺷동양사학 연구􋺸 140", 동양사학회, 2017

      187 김창수, "18∼19세기 병자호란 관련 현창과 기억의 유지 , 􋺷조선시대사 학보􋺸 81", 조선시대사학회, 2017

      188 오수창, "國王과 臣僚의 역학관계 ,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189 김창수, "청의 조서(詔書) 반포 사신을 통해 본 조선의 지위 , 􋺷역사와 현실􋺸 89", 한국역사연구회, 2013

      190 이 욱, "朝鮮後期祈穀祭設行의 의미 : 藏書閣소장 社稷署儀軌와 謄錄을 중심으로", 􋺷장서각􋺸 4, 2000

      191 이재경, "三藩의 亂전후(1674∼1684) 조선의 정보수집과 정세인식 , 􋺷 한국사론􋺸 60", 서울대 국사학과, 2014

      192 정옥자, "丙子胡亂時言官의 位相과 活動: 三學士에 대한 再評價, 􋺷 한국문화􋺸 12",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91

      193 손성욱, "王世子冊封으로 본 淸 朝관계(康熙35년∼乾隆2년) , 􋺷동 양사학연구􋺸 146", 동양사학회, 2019

      194 오인택, "숙종대 국행 기우제에 나타난 한재 대응방식의 정치성 , 􋺷역 사학연구􋺸29", 호남사학회, 2007

      195 허태구, "丁卯 丙子胡亂전후 主和 斥和論관련 연구의 성과와 전망 , 􋺷사학연구􋺸 128", 한국사학회, 2017

      196 고성훈, "朝鮮後期‘海島起兵說’ 관련 變亂의 추이와 성격 , 􋺷조선시대 사학보􋺸 3", 조선시대사학회, 1997

      197 한지희, "숙종 초 ‘紅袖의 變’과 明聖王后金氏의 정치적 역할 , 􋺷한국 사학보􋺸 31", 고려사학회, 2008

      198 임부연, "유교 의례화의 정치학 -만동묘와 대보단을 중심으로 , 􋺷종교 문화비평􋺸 15",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9

      199 김영민, "중화질서의 이면-한궁추(漢宮秋)에 담긴 국제정치사상 , 􋺷아 세아연구􋺸13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8

      200 경석현, "􋺷조선후기 재이론(災異論)의 변화 : 이론체계와 정치적 기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01 구도영, "􋺷16세기 한중무역 연구 : 혼돈의 동아시아, 예의의 나라 조선 의 대명무역􋺸", 태학사, 2018

      202 조무원, "􋺷예송논쟁과 정치권위의 재규정-송시열과 윤휴의 예론과 정치 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3 허태용, "17세기 중 후반 중화회복의식의 전개와 역사인식의 변화 , 􋺷 한국사연구􋺸 134", 한국사연구회, 2006

      204 허태용, "동아시아 중화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정치 사상적 대응 , 􋺷역사학보􋺸 221", 역사학회, 2014

      205 허태용, "17세기 말∼18세기 초 中華繼承意識의 형성과 正統論의 강화 , 􋺷진단학보􋺸 103", 진단학회, 2007

      206 차인배, "조선 후기 교동의 鄕案입록 전통과 향권 주도 성씨의 추이 , 􋺷역사민속학􋺸 37", 역사민속학회, 2011

      207 서인범, "18세기 朝 清지식인들의 교류, 정치적 지향 , 􋺷한중인문학포 럼 발표논문집􋺸 2", 한중인문학포럼, 2015

      208 허태용, "英 正朝代中華繼承意識의 강화와 宋 明역사서의 편찬 , 􋺷조 선시대사학보􋺸 42", 조선시대사학회, 2007

      209 김정신, 선조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전례(典禮) 논쟁과 종법(宗法) 인식 , 􋺷다산과 현대􋺸 7",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4

      210 배우성, "사회경제정책 논의의 정치적 성격 ,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시기-􋺸", 아카넷, 2003

      211 허태용, "17세기말∼18세기초 尊周論의 강화와 􋺷三國志演義􋺸의 유행 , 􋺷한국사학보􋺸 15", 고려사학회, 2003

      212 김은정, "􋺷肅宗講學廳日記􋺸를 통해 본 元子보양 및 교육의 실상과 의 미 , 􋺷규장각􋺸 3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8

      213 윤 정, "􋺷18세기 국왕의 ‘文治’ 사상 연구- 祖宗事蹟의 재인식과 ‘繼志 述事’의 실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14 정만조, "朝鮮顯宗朝의 公義私義論爭과 王權, 􋺷東洋三國의 王權과 官僚制􋺸, 조선시대사학회", 국학자료원, 1999

      215 최종석, "조선초기 ‘時王之制’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 􋺷조선시대사학보􋺸 52", 조선시대사학회, 2010

      216 김정신, "朝鮮前期士林의 ‘公’ 認識과 君臣共治論: 趙光祖, 李彦迪의 學問 政治論, 􋺷學林􋺸 21", 연세사학연구회, 2000

      217 박광용, "肅宗代己巳換局에 대한 검토-黨論書기록에 대한 비교 분석 을 중심으로- , 􋺷동양학􋺸 29",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6

      218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對淸認識의 변화와 새로운 中華관 념의 형성 , 􋺷한국사연구􋺸 145", 한국사연구회, 2009

      219 정혜중, "청대 조선인과 청국인 범월의 특징 : 양국 범월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 􋺷명청사연구􋺸 26", 명청사학회, 1982

      220 김상범, 최갑순, "淸朝支配의 理念的指向과 國家祭祀運營-順治∼乾 隆時期를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 34", 역사문화연 구소, 2009

      221 김문용, "의식과 인식: 동국의식과 세계 인식: 조선시대 집단적 자아의 식의 한 단면 , 􋺷국학연구􋺸 41", 한국국학진흥원, 2009

      222 고성훈, "肅宗朝變亂의 一端- 首陽山生佛出現說을 중심으로 (􋺷素軒 南都泳博士古稀紀念歷史學論叢􋺸", 민족문화사, 1993

      223 우경섭, "17세기 조선 학자들의 尊王論과 老少分岐(2)-1683년 종묘 논 쟁을 중심으로- , 􋺷태동고전연구􋺸 36",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 구소, 2016

      224 정만조, "17-18세기의 서원, 사우에 대한 시론 : 특히 사림의 건립활동 을 중심으로 , 􋺷朝鮮時代書院硏究􋺸", 집문당, 1997

      225 서인범, "조선의 宗系와 倭事를 曲筆한 중국 文獻- 명 청시대에 간행 된 문헌을 중심으로 , 􋺷동국사학􋺸 62",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 화연구소, 2017

      226 정만조, "朝鮮時代의 士林政治- 文人政權의 한 類型- , 􋺷(第7回韓 日 歷史家會議자료집) 反亂인가? 革命인가?", 國際歷史學韓國委 員會, 2007

      227 이재경, "大淸帝國體制내 조선국왕의 법적 위상―국왕에 대한 議處 罰銀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 8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원, 2019

      228 최종석, "조선 초기 제천례와 그 개설 논란에 대한 재검토–태종 세종 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보􋺸 67", 조선시대사학회, 2013

      229 계승범, "조선후기 중화론의 이면과 그 유산 —명 청 관련 호칭의 변 화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사학보􋺸 19", 한국사학사학회, 2009

      230 임경준, "􋺷三藩의 亂과 淸朝의 盛京地域支配體制强化: ‘新滿洲’ 佐領 의 이주와 三藩의 安揷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231 우경섭, "‘再造藩邦’에서 ‘非禮不動’으로: 바위에 새겨진 명나라에 대한 두 가지 기억 , 􋺷한국학연구􋺸 28",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232 정다함,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 간적인 맥락 , 􋺷한국사학보􋺸 42", 고려사학회, 2011

      233 우경섭, "17세기 조선 학자들의 尊王論과 老少分岐(1)-管仲에 대한 인 식과 勳戚문제를 중심으로- , 􋺷동국사학􋺸 50", 동국대학교 동 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234 심재우, "조선시대 향촌 사회조직 연구의 현황과 과제-향약 계에 관한 성과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보􋺸 90", 조선시대사학회, 2019

      235 최종석, "고려말기 조선초기 迎詔儀禮에 관한 새로운 이해 모색-􋺷蕃國 儀注􋺸의 소개와 복원- , 􋺷민족문화연구􋺸 69", 고려대학교 민족 문화연구원, 2015

      236 구도영, "중종대 사대인식(事大認識)의 변화-대례의(大禮議)에 대한 별 행(別行) 파견 논의를 중심으로 , 􋺷역사와 현실􋺸 62", 한국역사 연구회, 2006

      237 구열회, "숙종∼영조시기 등의 방어 체제 정비와 변화 - 교통로에 위 치한 요충지 방어의 확장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 85", 서울대 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238 강문식, "肅宗∼正祖代社稷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 규장각 소장 『社稷署儀軌』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 지사,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