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전기 筆記의 의식지향과 성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362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東國大學校,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東國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0 판사항(6)

      • DDC

        8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 219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鄭煥局
        참고문헌: p. 199-209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朝鲜王朝前期笔记的意识取向及性质研究 本文旨在分析朝鲜王朝时期笔记的共同倾向,探明其意识取向的呈现状态,这也是了解当时笔记的整体特征及文学史的一个过程。 到目前为止,对...

      朝鲜王朝前期笔记的意识取向及性质研究

      本文旨在分析朝鲜王朝时期笔记的共同倾向,探明其意识取向的呈现状态,这也是了解当时笔记的整体特征及文学史的一个过程。
      到目前为止,对笔记的研究倾向于集中在对个别作品集(特别是『慵斋丛话』)及部分有叙事性内容轶事的研究。尤其是在研究笔记的体裁性质及分类方面,相对而言,忽视了对于网罗多种笔记集的综合性分析及取向的探索。因此,作为综合研究朝鲜王朝前期笔记的全新尝试,笔者专注于阐释笔记作者的意识取向。因为充分了解笔记集潜在的内部秩序,不仅能够发现作者个人的关注点和个性,同时也能够成为判定笔记整体性质及特征的根据。
      笔记作者在作品中记录下自己日常生活中发生的事件及周围人物的简短轶事,如果只分析单个作品,那它不过是一个非常短小的故事。其实,可以毫不夸张地说,大部分笔记都是这种类型的记录。那样的话这些短篇作品的目的仅仅是单纯地记录并传达自己生活中的见闻,还是通过这些记录旨在表达些什幺,仅通过分析单个作品是很难得出答案的。但是如果将单个作品汇总进行分析,就不难参透作者的意图了。因为作者并不是在个别作品中展现自己的单一视角,而是在多个作品中脉络相互重叠的情境之下,流露出自己迂迴式且多元化的认知。因此作者想要表达的意图在单个作品中没能得到很好的体现,但通过作品集聚,反而会得到充分的展示,这也是作者所追求的目标。即作者偏向于在编纂笔记集的过程中,预先设定好自己想要表达的对象和理念,对此选取多种多样的轶事进行叙述,来展现自己的世界观。
      由于笔记集是多种单一短篇作品的合集,并不适用于固定统一的结构框架,所以必须要了解笔记的整体取向,进而提取出根据这种整体取向自然体现出来的性质及特征。基于这种问题意识,本文将『笔苑杂记』、『靑坡剧谈』、『慵斋丛话』、『秋江冷话』、『謏闻琐录』等五部基本具有笔记综合性质的笔记集作为主要研究对象。另外,对于今后将如何研究韩国文学中的笔记,本文中所做出的尝试及说明也是很值得思考的内容。
      即使是具有综合性质的笔记集,根据作者核心目标的不同,各自也具有不同的特性,但是可以确定的是作品都体现了作者身为“士”的主观意识的觉醒及文明意识。朝鲜王朝前期笔记中所强调的“时事”,根据时代的变迁及作者在社会上、政治上的立场变化必然会有所改变,不过仍然存在一种共同的时代精神,即在歷史的转折点上完善国家体制、重建自己所构想的理想社会、使朝鲜王朝成为文明国家等。他们通过笔记描写再现了自己周边的人物,从某种程度上来讲,这些人物代表了自己及自己的内心世界,这是一种为确保自身行为及理念的正确性、对自身本质的探索。同时,在这个过程中,对包含自己在内的文人知识分子阶层能力的炫耀、对这一阶层其他人物的喜爱及连带感也有所体现。
      在朝鲜王朝中期,对于这种本质的探索已告一段落,当时作者的注意力主要转移至对历史事件的叙述。尤其是历经四次士祸,他们所遭受的流放、死亡等不可抗性的政治挫折及苦痛,而这些反而成为了文学创作的题材。因此可以说朝鲜王朝前期的笔记是士阶层探寻自身本质的过程,这是与中期笔记相比,前期笔记所具有的的独特之处。
      本文的研究成果总结如下:
      在进入本论之前,作为准备工作,首先明确了笔记的定义和范围,并确定好主要研究对象。即笔记是士阶层散乱记述自己见闻的短篇记录性作品;士祸这一历史因素,改变了朝鲜王朝时期文学史的走向,所以本文以士祸作为划分朝鲜王朝前期(15世纪)笔记的界限;当时共有11名作者编纂的15部笔记作品集,除去专门类笔记,本文的研究对象则定为『笔苑杂记』、『靑坡剧谈』、『慵斋丛话』、『秋江冷话』、『謏闻琐录』等具有笔记综合性质的作品集。
      在第二章中,笔者主要针对丽末鲜初时期笔记得以产生并盛行的社会、文化、历史背景及笔记的创作主体士大夫文人等方面从三个角度考察了文学史的走向。
      首先,通过对武臣统治时期文人知识分子阶层的动向和思想的考察,阐明笔记的形成动因。从高丽王朝前期的门阀士族,到高丽王朝后期的新兴士大夫,为迎合对自身本质的探索,他们开始进行笔记创作。当时,李仁老的『破闲集』展现了笔记最初的样貌,之后,崔滋编写的『补闲集』使韩国文化史上笔记文学这一重要走向得以形成。早期的笔记可概括为“诗话”,是与传统诗文形式完全不同的一种体裁和写作风格。
      其次,考察了笔记受到唐宋笔记类作品引入的影响后所发生的变化。在高丽王朝中期时正式引入了宋代历史记录型笔记,这类笔记给韩国文学带来知识性刺激,在相当程度上为韩国笔记提供了外在的框架。其中,『归田录』的影响尤为深远。在很多文献中都有关于韩国文人诵读『归田录』的记录,可以试说笔记在某种程度上受到了该作品样式的影响。考察结果表明,早期笔记以诗话为主,直至『栎翁稗说』发生了明显变化,作品中轶事所占比重大幅上升。实际上,『栎翁稗说』的体裁和内容与『归田录』十分类似,而且作品中野史色彩也十分鲜明。
      第三,笔者将朝鲜王朝前期笔记盛行的背景及变化与士大夫文人相关联,并在这种关系中对其进行考察。朝鲜王朝前期的士大夫文人批判之前以诗话为主的叙述,强调“时事”的重要性,这种观点在当时极为普遍。于是,笔记中所记录的素材和内容得到了扩展,并且更贴近现实、可以涵盖更为多种多样的人物和社会现象。另外,在朝鲜王朝前期开展了一系列国家层面的活动,如在成宗的好学博学下展开的弘文馆活动、赐暇读书、国家编纂项目等。因此,士大夫文人得以积累各种经验和知识,并开始注重“时事”,这样笔记的性质也发生了一定的改变。
      在第二章的基础上,第三章将朝鲜王朝前期笔记集中的内容从“人物”、“社会”、“知识”三个层面进行分类分析,细致考察了其中的意识取向形态,目的是超越每部笔记集所固有的特性,以更为广阔的视角来阐明朝鲜王朝前期笔记所具有的整体取向价值。
      首先,笔者将记录人物轶事的作品汇总,考察笔记作者身为“士”所向往的意识取向形态。朝鲜王朝前期笔记集里所描绘的人物形象是理想型的士大夫形象,这些士大夫形象具体表现为清廉而朴素、有度量、坚守信念并且为人正直,或是德行高尚全心爱民等等。除此之外,还有很多才艺超群、各式各样的人物轶事收录其中。作品中主要通过周围人物的评价来对人物形象进行刻画,强调其“能力出众”和“天赋异禀”。不过,对人物的描写与评价并不是基于其地位或名声,而是单纯地评价其能力,这也是笔记作者所追求的价值取向。可以确定的是他们通过这样的书写来认识自己,无论他们各自的实际生活如何,他们同作为文人知识分子阶层是相互团结在一起的。
      接下来主要分析了笔记中具有野史性特征的作品,阐明笔记作者身为“官吏”所向往的意识取向形态。在这一部分中考察了士阶层眼中的朝鲜王朝前期社会政治的现实状况,探讨了他们关于历史和风俗方面的记录和评价。他们最先捕捉到的现实问题就是前朝残留下来、带来更严重社会问题的佛教弊病和奢侈享乐之风。除此以外,他们也很关注官员录用问题,因为宦路是证明自身实力、发挥自己能力的途径。作者在笔记中描述了这些社会问题,并对其进行揭露和批评。此外,将忠、孝、烈等儒家道德理念视为普遍价值并对其进行追求的一面、自身主体意识的觉醒等在作品中也有所体现。当时笔记作者通过强调这些儒家伦理不仅在自身所处阶层,在下层人民的实际生活中也有所体现这一事实,来确认和宣扬人类的普遍价值。
      最后,将笔记中具有知识谈论性的作品汇总,考察笔记作者身为“文人”所向往的意识取向形态。笔记作者这一知识分子阶层关注历史、渴望广泛了解周边事物,拥有对典籍的探索及对文学、艺术的文化性追求。他们基于丰富的体验和灵活的思考,表现出对知识的渴望,所以笔记中所收录的素材和内容十分丰富。其中,尤其是在国内游览,并作为使节前往中国和日本,接触并体验多样的文化后,他们的视野也随之拓宽,对世界的认知也随之扩展。这样,当时士大夫社会中所充斥的这种对于博学的追求既是对自身知识性欲望的满足,也是理解社会现实、解决社会问题所需的一种方法。另外,士阶层也是一种在学问方面相互竞争的产物。到朝鲜王朝中后期时笔记的这种取向则延续至类书类、丛书类笔记的编写,成为“箚记体笔记”的一部分。
      在第四章中,主要考察了笔记的外延扩展和变化现象。笔者注意到与高丽王朝时期的笔记相比,朝鲜王朝前期笔记中稗说、笑谈的色彩更为鲜明,于是,在文学史的大背景之下对两个时期的作品进行了对比分析。朝鲜王朝前期的笔记尽管基于作者的意识取向形成了自己独有的特征,但是并没有脱离士大夫文人社会的界限。不过『慵斋丛话』中所记录的对象扩展至民间故事,发生了很大变化。例如,如果说之前笔记中大部分记录的是作者生活周围所见所闻的士大夫轶事的话,那么现在开始大量收录具有稗说倾向的作品。在内容方面,随着民间说话的引入,添加了非现实性要素,也带有笑谈的倾向。最终,单调的叙事方法变得多样化,叙事的篇幅也有所增加。通过这种方式,朝鲜王朝前期笔记中引入民间说话,进而笔记兼具见闻记录与稗说双重性质。这样一来,笔记的外延得以扩展和并发生改变,这也是之后野谈得以形成的决定性因素,在笔记历史中具有很重要的意义。
      通过以上的研究,揭示了朝鲜王朝前期笔记的整体面貌及意识取向形态,找出了贯穿韩国文学中笔记历史的基准点。然而,尽管取得了这些研究成果,但是对于该时期笔记的整体探索,仍有很多问题亟待解决。例如,在朝鲜王朝前期,士大夫文人的意识取向通过多种文学体裁得以展现。毋庸置疑,在各类体裁中,笔记中所暗含的这种士大夫意识是最为丰富的。通过与其他体裁的比较,详细考察其具体形态如何,便是问题之一。另外,也有必要将其与朝鲜王朝中后期的笔记进行比较,来探索前期的关注点及意识取向是如何维持及改变的,这样,朝鲜王朝前期笔记的整体外观及性质将会更加明朗,这也是今后将要探讨的课题。

      关键词:朝鲜王朝前期,笔记,士阶层,意识取向,性质,本质,时代精神,内在意识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 plan to analyze the common tendencies of Pilgis[筆記]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figure out the ways that the aspects of conscious-orientedness were expressed in them. The study also presented a process of examini...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 plan to analyze the common tendencies of Pilgis[筆記]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figure out the ways that the aspects of conscious-orientedness were expressed in them. The study also presented a process of examining the total nature and flow of Pilgi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ose days.
      Previous studies on Pilgis were concentrated on individual collections of Pilgis, especially Yongjaechonghwa[󰡔『慵齋叢話』,], and tended to focus on only some episodes considered to have narrativity. As researchers devoted their efforts to the genre nature of Pilgis or the classification of their types, an inquiry into total analysis or orientation encompassing various collections of Pilgis was pushed outside their attention. Making a new attempt at examining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 a synthetic manner, the study focused on the conscious- orientedness of their compilers. Looking into an internal order that Pilgi collections were oriented toward would help to show the individual interest and individuality of compil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set of criteria to figure out the overall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ilgis. Based on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 study focused on five Pilgi collections that basically had total nature including Pilwonjapgi[『筆苑雜記』,], Chongpageukdam[『靑坡劇談』,], Yongjaechonghwa[『慵齋叢話』,], Chugangnaenghwa[『秋江冷話』,], and Somunsoaerok[『謏聞瑣錄』,]. The attempt and interpretations of the study will provide an important point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to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Pilgis in Korean literature.
      The findings show that compilers would reveal their respective individuality according to their central indexes even in Pilgi collections of synthetic nature but all have independent awakening and civilized consciousness as "classical scholars." "Current events" emphasized in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could not help having different textur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ompilers'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s. They all, however, had the common spirit of the times to complete a state system at a historical turning point and reorganize the state into their ideal society under the goal of building Joseon as a nation of civilization. In Pilgis, they objectified constantly their aspects and internal consciousness by depicting and embodying figures in their surroundings, which was their inquiry into identity to ensure the legitimacy of their acts and ideology. In this process, they would develop affection and solidarity for their same kind, showing off the abilities of their groups.
      In middle Joseon, their inquiry into identity was completed. The compilers would now move their main interest to historical events. Going through four massacres of scholars, in particular, they suffered irresistible political frustration and pain such as exile and death and found active literary materials in their experiences. It is thus safe to say that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were part of the process for the Sa[士] class to find their identity. It is a characteristic unique to the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compared with the nature of Pilgis in middle Jose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hecked the overall aspects of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the patterns of conscious-orientedness in them and developed a set of reference points to figure out the historical flows of Pilgis consistently in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se research achievements, however, there is a need to solve much more issues to make a total approach to Pilgis during this period.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various literary genres revealed the conscious- orientedness of literary figures among noblemen. It is not, of course, Pilgis that contain their consciousness in the most colorful ways, but they need thorough examination for their specific patterns in comparison with other genres. It is also needed to compare them with their counterparts in middle and late Joseon to see how people's interest and orientation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continued and changed. These efforts will help to depict the total aspects and nature of Pilgi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more clearly. This issue will be one of future tasks.

      Keywords: former half of Joseon, Pilgi, Sa[士] class, nature, conscious-orientedness, identity, spirit of the times, internal conscious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전기 筆記의 공통적 성향을 분석하여 의식지향의 면모가 어떠한 양태로 표출되고 있는지 밝히고자 계획한 것이다. 이는 이 시기 필기의 총체적인 성격과 문학사적 흐름을 파...

      본 논문은 조선전기 筆記의 공통적 성향을 분석하여 의식지향의 면모가 어떠한 양태로 표출되고 있는지 밝히고자 계획한 것이다. 이는 이 시기 필기의 총체적인 성격과 문학사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지금까지 필기에 대한 연구는 개별 작품집 연구-특히 『용재총화』,에 집중되었으며, 서사성이 있다고 간주되는 일부 일화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경향이 있다. 특히 필기의 장르적 성격이나 유형 분류 등에 천착하게 되면서, 여러 필기집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분석이나 지향에 대한 탐색은 상대적으로 관심의 영역 밖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전기 필기를 종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써 찬자의 의식지향에 주목하여 개진해본 것이다. 필기집이 지향하고 있는 내적인 질서를 파악하는 것은 찬자 개인의 관심과 개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필기 전반의 성격과 특징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기본적으로 필기의 종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5종의 필기집 『筆苑雜記』, 『靑坡劇談』,, 『慵齋叢話』,, 『秋江冷話』,, 『謏聞瑣錄』,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문학에서 필기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있어서, 본 논문의 시도와 해석은 마땅히 고려해 볼 만한 중요한 지점이었다.
      그 결과 종합적인 성격의 필기집이라도 찬자의 중심 지표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각각의 개성을 지니게 되었지만, 모두 ‘士’로서의 주체적 각성과 문명 의식이 있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조선전기 필기에서 강조한 ‘時事’는 시대의 변화, 찬자의 사회‧정치적 입장에 따라 그 결이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역사적 전환점에서 국가의 체제를 완성시키고, 자신들이 그리는 이상적인 사회로 재편하여, 조선을 문명의 국가로 만들어야 한다는 공통된 의식이 존재했다. 그들은 필기를 통해 자기 주변의 인물들을 묘사하고 구현해내면서 자신의 모습과 내면 의식을 일정하게 대상화하였다. 이는 자신의 행위와 이념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正體性의 모색이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의 능력을 과시하는 등 동류에 대한 애정과 연대감이 발생되기도 했다.
      조선중기에는 이러한 정체성의 모색이 일단락되었으며, 이제 찬자의 주된 관심은 역사적 사건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특히, 네 차례의 士禍를 겪으면서 그들이 경험한 유배와 죽음 등의 불가항력적인 정치적 좌절과 고통은 오히려 적극적인 문학제재가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조선전기 필기는 사계층의 정체성 찾기의 한 과정이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조선중기 필기의 성격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는 조선전기 필기만의 특징적인 면모라고도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조선전기 필기의 전반적인 면모와 의식지향의 양상을 확인하고, 우리문학에서 필기의 史的 흐름을 일관되게 파악할 수 있는 준거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필기의 총제적 접근을 위해서는 더 많은 문제들이 해소되어야 한다. 조선전기에는 다양한 문학 장르에서 사대부 문인의 의식지향을 드러내고 있다. 물론, 사대부의 의식을 가장 다채롭게 담아낸 것이 필기라고 할 수 있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어떠한지 다른 장르와의 비교를 통해 면밀히 고찰해 보아야 할 부분이다. 또한 조선전기의 관심과 지향이 어떻게 지속되고 변모하는지 조선중‧후기의 필기와 대비시켜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했을 때, 조선전기 필기의 총체적인 면모와 성격이 보다 뚜렷해질 것이다. 이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핵심어: 조선전기, 필기, 사계층, 의식지향, 성격, 정체성, 시대정신, 내면의식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선행연구 검토 1
      • 2.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11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선행연구 검토 1
      • 2.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11
      • Ⅱ. 사대부 문인과 필기문학의 성립 및 전개 26
      • 1. 고려중‧후기 문인지식인층과 필기의 출현 28
      • 2. 唐宋 필기류의 유입과 영향 43
      • 3. 선초 사대부 문인 사회와 필기의 전변 53
      • Ⅲ. 조선전기 필기의 性向과 의식지향 65
      • 1. ‘士’의 자기 정체성과 가치 표상 67
      • 1) 이상적 사대부상의 제시 68
      • 2) 재능 본위의 가치 추구 85
      • 2. 당대 사회에 대한 시선과 비판의식 101
      • 1) 풍속 비판과 현실 감각 102
      • 2) 유교 윤리의 再考와 주체의식 114
      • 3. 지적 탐구정신의 표출과 견문의 확장 129
      • 1) 博學 추구와 탐구정신 131
      • 2) 국내외 체험과 견문의 확장 144
      • Ⅳ. 필기의 외연 확대와 그 국면 166
      • 1. 민간설화에 대한 관심과 수용 168
      • 2. 골계‧소화적 성격의 부각 178
      • Ⅴ. 결론 193
      • □ 참고 문헌 199
      • □ ABSTRACT 210
      • □ 中文摘要 21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성규, "􋺷보한집􋺸", 보고사, 2012

      2 김병헌, 임재완, 성당제, "􋺷사재집􋺸", 아담앤달리, 2016

      3 정출헌, "􋺷추강집􋺸", 한국고전번역원, 2014

      4 박성규, "􋺷파한집􋺸", 보고사, 2012

      5 李齊賢, "􋺷櫟翁稗說􋺸", 동국대 소장본, 1693년 重刊本, 1693

      6 박성규, "􋺷역옹패설􋺸", 보고사, 2012

      7 김남이, "􋺷용재총화􋺸", 휴머니스트, 2015

      8 정환국, "􋺷유양잡조􋺸1‧2", 소명출판, 2011

      9 정용수, "􋺷국역 소문쇄록􋺸", 국학자료원, 1997

      10 이병도, "􋺷한국사-중세편􋺸", 을유문화사, 1961

      1 박성규, "􋺷보한집􋺸", 보고사, 2012

      2 김병헌, 임재완, 성당제, "􋺷사재집􋺸", 아담앤달리, 2016

      3 정출헌, "􋺷추강집􋺸", 한국고전번역원, 2014

      4 박성규, "􋺷파한집􋺸", 보고사, 2012

      5 李齊賢, "􋺷櫟翁稗說􋺸", 동국대 소장본, 1693년 重刊本, 1693

      6 박성규, "􋺷역옹패설􋺸", 보고사, 2012

      7 김남이, "􋺷용재총화􋺸", 휴머니스트, 2015

      8 정환국, "􋺷유양잡조􋺸1‧2", 소명출판, 2011

      9 정용수, "􋺷국역 소문쇄록􋺸", 국학자료원, 1997

      10 이병도, "􋺷한국사-중세편􋺸", 을유문화사, 1961

      11 김 범, "􋺷사화와 반정의 시대􋺸", 역사비평사, 2007

      12 김태준, "􋺷고려 시대 인물 전승􋺸", 이회문화사, 1939

      13 김승호, 임종욱, "􋺷고려 시대 인물 전승􋺸", 이회문화사, 1999

      14 박희병, "􋺷고려 시대 인물 전승􋺸", 이회문화사, 2002

      15 徐居正, "􋺷筆苑雜記􋺸(동국대 소장본", 1487년 初刊本), 1487

      16 南孝溫, "􋺷秋江冷話􋺸(􋺷秋江集􋺸 권7", 新安本), null

      17 成俔, "􋺷慵齋叢話􋺸(경산대본 初刊本)", 􋺷慵齋叢話􋺸(경산대본 初刊本), null

      18 李齊賢, "􋺷益齋集􋺸 (􋺷국역 익재집􋺸Ⅱ",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0

      19 李耔, "􋺷陰崖日記􋺸(􋺷대동야승􋺸 권2)", 􋺷陰崖日記􋺸(􋺷대동야승􋺸 권2), null

      20 정경주, "􋺷성종조 新進士類의 문학세계􋺸", 법인문화사, 1993

      21 曺伸, "􋺷謏聞瑣錄􋺸(서벽외사해외수일본)", 􋺷謏聞瑣錄􋺸(서벽외사해외수일본), null

      22 李陸, "􋺷靑坡劇談􋺸(􋺷靑坡集􋺸(初刊本)", 서벽외사해외수일본), null

      23 金安老, "􋺷龍泉談寂記􋺸(􋺷대동야승􋺸 권1)", 􋺷龍泉談寂記􋺸(􋺷대동야승􋺸 권1), null

      24 崔滋, "􋺷補閑集􋺸(􋺷破閑集􋺸‧􋺷補閑集􋺸", 아세아문화사, 1972

      25 南孝溫, "􋺷師友名行錄􋺸(􋺷秋江集􋺸 권7, 新安本)", 新安本), null

      26 김 범, "「조선전기 ‘훈구‧사림세력’ 연구의 재검토」, 􋺷한국사학보􋺸 제15호", 고려사학회, 2003

      27 최 식, "「朝鮮後期 筆記의 特徵과 樣相-豊山 洪氏 筆記類를 중심으로」, 􋺷한문학보􋺸 22집", 우리한문학회,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