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30년대 후반 한국문학의 모색과 도스토예프스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24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y serious exploration of Korean literature makes us meet Russian writer Fyodor Mikhailovich Dostoevsky in the Korean context. Noticing his presence in the Korean literary locu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mpact of Dostoevsky on modern Korean li...

      Any serious exploration of Korean literature makes us meet Russian writer Fyodor Mikhailovich Dostoevsky in the Korean context. Noticing his presence in the Korean literary locu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mpact of Dostoevsky on modern Korean literature. Before the Korean Liberation in 1945, Dostoevsky was fairly widely read by Korean writers who received significant literary and cognitive stimuli from his works. Although “Dostoevsky phenomenon,” the introduction and influence of Dostoevsky in Korea,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invisible inner wor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nd intellectual history has not been explored in earnest until now. Thu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meaning of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understanding of Dostoevsky, focusing especially on the literary context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late 1930s.
      Dostoevsky’s works are characterized by heated compassion for the poor and the afflicted, exploration of the depth of the human soul, and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tragedy of life. Moreover, Dostoevsky transcended his country and age to awaken a keen sense and perception for understanding modern man’s condition and fate. In other words, questions that people face in the context of “the transitional period”?a period of change marked by the transitional nature of the age and the spirit that Dostoevsky himself has experienced as the clarity of the world symbolized by reason and rationalism was collapsing?are widely present in his works. Arguably, Korea’s literary people in the 1930s instinctively responded to such aspects of Dostoevsky’s works. In the meanwhile, attributes of Dostoevsky’s works at times collided with progressive orientation and reason-centric attitude that can be found in Korean literature.
      The introduction of Dostoevsky to Korea in the late 1930s was essentially shaped by an unstable world politics, deadlocked domestic society, and resulting perceptual changes experienced by the intellectual class. Having noticed the environment affecting the introduction, this dissertation tried to examine the complexity found in the details of the introduction, most importantly: positive response and rejection. It is from such a perspective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that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s of Lim Hwa, Kim Nam-cheon, “Dancheung-pa (School of Dislocation)” and Choi Myeong-ik. Their work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impact of Dostoevsky, clearly show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their age?the late 1930s.
      Apparently,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s in the encounter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Dostoevsky centered on the late 1930s are a near absence of Korean translation of Dostoevsky’s works, and unique involvement of philosopher Lev Shestov. The absence of the Korean editions meant that the Korean understanding of Dostoevsky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literary situation in Japan. In addition, reliance on Lev Shestov’s review of Dostoevsky’s works to get closer access to Dostoevsky or to renew understanding of his works was a salient characteristic that determined the Korean reception of Dostoevsky in the late 1930s.
      From a deeper perspective, however, the reception of Dostoevsky was primarily related to the existential recognition of life and the world. The works of the School of Dislocation and Choi Myeong-ik as a whole illustrate the intellectual Grenzsituation afflicting the intellectuals who were living in “the transitional period,” an expression that summarizes the reality in colonial Korea. The development of a series of internal views?a pessimi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dividuals’ situational awareness in the world, and subjects’ search for directions or pursuit of a valuable life? naturally connects their works to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of Dostoevsky and Lev Shestov’s literature and thought. In the process, the person of Dostoevsky and his literary world in particular are espoused at the level of psychological pain and suffering that look for “what kind of life to live”?in other words, as a world outlook that painfully seeks the meaning of life?rather than at the level of irrational, anti-modern orientation.
      In the case of Kim Nam-cheon and Lim Hwa, who attempted to overcome difficulties of the times by reconstructing the dissolved subjects that fell into a chaos after the break-up o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cio (KAPF), the focus was on Honore de Balzac, the great writer of the 19th century Western realism as they tried to find an exit through realism. In contrast, Dostoevsky was overlooked in the literary criticism written of Kim Nam-cheon and Lim Hwa. A new approach proposed by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ir choice by a hypothetical structure of “Balzac vs. Dostoevsky.” Kim Nam-cheon and Lim Hwa thought that Dostoevsky’s works?often interpreted as works of self-consciousness?were avoiding reality. Their literary pursuit was in sharp contrast with that of Dostoevsky in terms of the basic framework of thought and the orientation of concrete creative methods.
      Unlike Kim Nam-cheon and Lim Hwa, Japanese critic Kamei Katsuichiro?who suffered a conversion process?sought an exit not through Balzac but through Dostoevsky. Kamei Katsuichiro’s understanding of Dostoevsky and Lev Shestov involved talking about “the self that stares at powerlessness.” Kim Nam-cheon and Lim Hwa, who were likewise conscious of their powerlessness in reality, consistently negated powerlessness. What this exercise in contrast reveals is the differing deep inner world of the intellectuals who faced “the transitional period.” During the 1930s, intellectuals of colonial Korea and imperial Japan both experienced “the transitional period.” However, their world view that stemmed from their “place” could not be identical. In that sense,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two countries was not identic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 근대문학의 장(場)에서 만나게 되는 러시아 작가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에 주목하여, 한국문학과 도스토예프스키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다. 해방 이전 한국문...

      이 논문은 한국 근대문학의 장(場)에서 만나게 되는 러시아 작가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에 주목하여, 한국문학과 도스토예프스키의 관련 양상을 고찰한다. 해방 이전 한국문학에서 도스토예프스키 작품들의 읽기는 상당히 광범위한 정도로 이루어졌으며, 많은 문인들에게 적지 않은 문학적, 인식적 자극을 주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한국 근대문학의 보이지 않는 내면을 형성하는 그러한 현상을 둘러싸고 도출될 수 있는 문학사적, 정신사적 의미는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탐구되지 못했다. 이에 이 논문은 특히 1930년대 후반, 이른바 ‘전형기(轉形期)’의 상황을 중심으로 도스토예프스키 이해의 여러 양상들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은 가난하거나 고통 받는 사람들에 대한 뜨거운 연민, 인간 영혼의 깊은 심저에 대한 탐색, 삶에 대한 비극적 직관 등의 특징을 보여주는 한편으로, 자신의 나라와 시대를 넘어서서 현대인이 처한 상황 혹은 현대인의 운명에 대한 예민한 감각과 인식을 일깨워왔다. 예컨대 그의 문학에는 이성과 합리주의로 지칭되는 명료성이 무너지는 시점에서 작가 스스로가 체험한 시대의 과도기성 및 정신의 과도기성, 즉 ‘전형기’의 상황에 처한 인간의 문제에 대한 질문들이 편재해 있다. 1930년대 한국문학의 문인들은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에 나타난 이러한 면모에 직관적으로 반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 문학이 보여주는 특성은 한국문학 내에서의 진보 지향 및 이성 중심주의의 태도와 충돌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1930년대 후반, 도스토예프스키 문학의 수용이 기본적으로 불안한 세계정세와 폐색된 국내 상황, 그에 따른 지식 계급의 인식상의 변화의 맥락 속에 놓인다는 점을 주목하는 가운데, 그 구체적인 양상으로서 긍정적 감응과 거부의 복합적인 면모들을 함께 살펴보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인식과 구도 아래 이 논문에서는 1930년대 후반 지식인 주체의 시대적 상황 인식을 명료하게 보여주는 경우이자 도스토예프스키 문학과의 직간접적인 관련 양상이 말해질 수 있는 임화, 김남천, 단층파(斷層派), 최명익의 문학을 중점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193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문학과 도스토예프스키의 만남에서 가장 눈에 띄는 표면적인 특징으로는 부재에 가까운 한국어 번역의 빈곤과 독특한 위상의 철학자 셰스토프의 존재가 관여되어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어 번역의 부재는 결과적으로 한국문학의 도스토예프스키 이해를 일본의 상황과 면밀히 연결되게 한다. 또한 셰스토프 비평의 틀을 통해 도스토예프스키 문학에 더욱 다가서거나 그 면모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 일은 이 시기만의 특징적인 상황으로서, 이는 1930년대 후반 수용의 주요한 성격을 결정짓게 된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인 관점에서라면, 1930년대 후반 한국문학의 도스토예프스키 수용은 무엇보다 삶과 세계에 대한 실존적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말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 검토하는 단층파와 최명익의 작품 세계 전반은 기본적으로 조선적 ‘전형기’의 현실 속에서 지식인이 처한 정신적 한계상황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계에 대한 비관적 인식, 그러한 세계 속에서의 개인의 상황에 대한 자각, 주체의 나아갈 바에 대한 모색 내지 가치 있는 삶의 추구라는 일련의 내적 상황의 전개는 이들의 작품을 도스토예프스키와 셰스토프의 문학 및 사상의 실존적 성격과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한다. 그 과정에서 특히 작가 도스토예프스키의 존재 및 그의 문학세계는 반이성적, 반근대적 지향성의 측면으로서보다 어떻게 살 것인가를 묻는 정신적 고뇌와 고통의 차원에서, 즉 삶의 의미를 향한 고통스러운 모색의 세계로서 인식되고 있다.
      카프(KAPF) 해체 이후 혼란에 빠진 분열된 주체를 재건하여 시대적으로 봉착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김남천과 임화의 경우는 리얼리즘을 통해 출구를 찾으려 하는 과정에서 19세기 서구 리얼리즘의 거장 오노레 드 발자크에 주목한다. 그런데 김남천과 임화의 평론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발자크와는 대조적으로 외면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발자크 대(對) 도스토예프스키’라는 가설적 구도로서 새롭게 접근한다. 자의식의 문학으로 인식되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은 김남천과 임화에게는 현실 외면의 문학인 것으로 이해된다. 김남천과 임화의 문학적 모색은 그 기본적인 사유의 틀, 구체적인 창작방법의 지향 등에 있어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성격과 매우 대조적인 지점에 자리하고 있었다.
      한편, 일본의 평론가 가메이 가쓰이치로(龜井勝一郞)는 전향의 상황을 견디는 와중에 발자크가 아닌 도스토예프스키를 통해 출구를 모색함으로써 김남천 및 임화와 대조된다. 도스토예프스키나 셰스토프에 대한 가메이 가쓰이치로의 이해는 ‘무력(無力)을 응시하는 자아’를 말할 수 있었던 데 비해, 마찬가지로 현실에서의 자기의 무력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있었던 김남천과 임화는 한사코 그 무력을 거부하고자 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확인되는 것은 ‘전형기’의 지식인이자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이들의 깊은 내면이다. 1930년대의 시간 동안 조선과 일본은 동일하게 ‘전형기’로 불린 상황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양국 지식인들의 세계인식에는 자신이 선 자리로부터 비롯되는, 일치될 수 없는 차이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의 ‘전형기’와 일본의 ‘전형기’는 하나의 동일한 개념으로 말해질 수 없는 것이 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1
      • 2. 연구의 시각 및 연구 방법론 18
      • Ⅱ. 1930년대 후반 이전 도스토예프스키 문학의 번역과 이해 31
      • Ⅰ. 서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1
      • 2. 연구의 시각 및 연구 방법론 18
      • Ⅱ. 1930년대 후반 이전 도스토예프스키 문학의 번역과 이해 31
      • 1. 한국어 번역의 빈곤과 도스토예프스키 문학의 전반적 이해 31
      • 2. 김동인과 염상섭의 도스토예프스키 이해 42
      • Ⅲ. ‘전형기(轉形期)’ 도스토예프스키 수용의 정신사적 맥락 53
      • 1. 일본에서의 ‘불안’ 논의와 셰스토프 수용 53
      • 2. 『비극의 철학』과 도스토예프스키 이해의 새로운 국면 79
      • 3. ‘불안’의 사상과 식민지 지식인의 정신적 구도 102
      • Ⅳ. 무력(無力)에의 거부 : 김남천과 임화의 문학적 모색과
      • 도스토예프스키 121
      • 1. 하나의 가설 : ‘발자크 대(對) 도스토예프스키’라는 구도 121
      • 1.1. 1930년대 후반, 김남천과 임화의 문제의식과 발자크 연구 121
      • 1.2. 김남천과 임화 비평에서의 도스토예프스키 141
      • 2. 문학과 정치의 길항 154
      • 2.1. 가메이 가쓰이치로(龜井勝一郞)와 도스토예프스키 154
      • 2.2. 문학과 정치 : 김남천과 가메이 가쓰이치로(龜井勝一郞) 169
      • Ⅴ. 비극적 세계 인식과 어떻게 살 것인가의 물음 : 단층파와 최명익의
      • 문학과 도스토예프스키 187
      • 1. 단층파 ? 셰스토프 ? 도스토예프스키 187
      • 1.1. 단층파의 문학적 경향과 독서 체험 187
      • 1.2. 인물들의 자기 인식 : 개구리들과 유령들, 그리고 지하실 197
      • 1.3. 조선적 ‘지하실’의 딜레마 208
      • 1.4. 단층파의 셰스토프 수용과 실존에 대한 자각 225
      • 1.5. 유항림의 경우 : 소설 창작에 관한 사유와 도스토예프스키 235
      • 2. 고통에의 공감과 역설의 방식 246
      • 2.1. 최명익의 문학적 경향과 도스토예프스키와의 관련성 246
      • 2.2. 질병과 죽음의 상상력과 도스토예프스키 표상 257
      • 2.3. ‘무성격자’라는 유형의 제시와 역설적 의미 구현 269
      • 2.4. 굴욕과 미(美) : 시대의 상처와 정신적 재건에의 희구 279
      • Ⅵ. 결론 301
      • 참고문헌 313
      • Abstract 33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현덕, "현덕 전집", 역락, 2009

      2 이상, "이상 전집 2", 뿔, 2009

      3 김춘미, "김동인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5

      4 방민호, "문명의 감각", 향연, 2003

      5 최재서, "문학과 지성", 인문사, 1938

      6 서영채, "소설의 운명", 문학동네, 1996

      7 나쓰메, 소세키, 노재명, "역. 『회상』", 하늘연못, 2010

      8 서정주, "『미당 산문』", 민음사, 1993

      9 임규찬, "임화 신문학사", 한길사, 한길사, 1993

      10 하정일, "탈식민의 미학", 소명출판, 2008

      1 현덕, "현덕 전집", 역락, 2009

      2 이상, "이상 전집 2", 뿔, 2009

      3 김춘미, "김동인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5

      4 방민호, "문명의 감각", 향연, 2003

      5 최재서, "문학과 지성", 인문사, 1938

      6 서영채, "소설의 운명", 문학동네, 1996

      7 나쓰메, 소세키, 노재명, "역. 『회상』", 하늘연못, 2010

      8 서정주, "『미당 산문』", 민음사, 1993

      9 임규찬, "임화 신문학사", 한길사, 한길사, 1993

      10 하정일, "탈식민의 미학", 소명출판, 2008

      11 백철, "백철문학전집 2", 신구문화사, 1968

      12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홍성사, 1982

      13 김열규, "『염상섭 연구』", 새문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14 이헌구, "『이헌구 선집』", 현대문학, 현대문학, 2011

      15 김윤식, "『한국 소설사』", 문학동네, 문학동네, 2000

      16 박성창, "비교문학의 도전", 민음사, 2009

      17 백철 (白鐵),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신구문화사, 2003

      18 김윤식, "『이상소설연구』", 문학과 비평사, 문학과비평사, 1988

      19 엄흥섭, "「조그만 체험기」", 『동아일보』. -7.6, 1935

      20 염상섭, "『염상섭 전집 12』", 민음사, 1987

      21 이상화, "독후잉상(讀後孕像)", 『시대일보』, 1925

      22 이기영, "「작가작품연대표」", 『삼천리』9권 1호, 1937

      23 정한모, "『한국현대문학사』", 일지사, 성문각, 1985

      24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25 김진석, "한국 심리 소설 연구", 태학사, 1998

      26 손정수, 정호웅, 김남천, "『김남천 전집』Ⅰ-Ⅱ", 박이정, 2000

      27 최병구, "『임화 문화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8

      28 황종연, "『탕아를 위한 변명』", 문학동네, 2012

      29 미르스끼, 이항재, "역. 『러시아문학사』", 문원출판, 2001

      30 한설야, "우리 시대의 작가수업", 역락, 역락, 2001

      31 권영민,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32 강상희, "한국 모더니즘 소설론", 문예출판사, 1999

      33 임형택, "한국현대대표소설선 1", 창작과비평사, 1996

      34 이무영, "『이무영 문학전집 6』", 국학자료원, 2000

      35 노상래, "한국 문인의 전향 연구", 영한, 2000

      36 복도훈, "『<단층>파 소설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1

      37 이상갑, "『<단층>파 소설 연구』", 일지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2

      38 신승엽, "『민족문학을 넘어서』", 소명출판, 소명출판, 2000

      39 신남철, "『신남철 문장선집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40 이석훈, "「문학풍토기- 평양편」", 『인문평론』, 1940

      41 김환태, "「순수시비(純粹是非)」", 『문장』1권 10호, 1939

      42 최명익, "「장마비와 보-드레르」", 『조광』, 1940

      43 염상섭, "「저수하(樗樹下)에서」", 『폐허』, 1921

      44 이보영, "『역사적 위기와 문학』", 신아, 신아출판사, 2007

      45 문흥술, "『한국 모더니즘 소설』", 청동거울, 청동거울, 2003

      46 임화, "『임화예술문학전집』2-5", 소명출판, 2009

      47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한길사, 1984

      48 김이석, "「동인지 「단층」에서」", 『서울신문』, 1959

      49 조남현, "「패배의 삶, 그 다양성」", 『북으로 간 작가선집 8』. 을서문화사, 1988

      50 Dostoyevsky, Fyodor, "『도스또예프스끼 전집』", 열린책들, 열린책들, 2000

      51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 연구", 일지사, 1976

      52 김경수, "염상섭과 현대소설의 형성", 일조각, 2008

      53 이상규, "이상화 문학 전집 -산문 편", 북랜드, 북랜드, 2009

      54 박성란, "「 단층파 모더니즘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박사논문, 2012

      55 김대행, 최동호, "『어두운 시대의 빛과 꽃』", 민음사, 2004

      56 신재기, "『한국근대문학비평가론』", 월인, 월인, 1999

      57 전기철, "『한국현대문학비평입문』", 느티나무, 느티나무, 1999

      58 장수익, "그들의 문학과 생애-최명익", 한길사, 2008

      59 박진영, "책의 탄생과 이야기의 운명", 소명출판, 2013

      60 고재석, 호쇼, 마사오, "역,『일본현대문학사 (상)』", 문학과지성사, 1998

      61 박진영, "「홍난파와 번역가의 탄생」",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기토』11.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62 백정승, "『최명익의 『심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0

      63 조남현, "『한국 현대문학사상 탐구』", 문학동네, 문학동네, 2001

      64 권영민, 정호웅, 이주형, "『한국근대단편소설대계』16", 태학사, 1988

      65 이무영, "「기선부지(其先不知)의 나」", 『동아일보』. -7.22, 1935

      66 임화, "『임화 문학의 근대성 비판』", 새물결, 새물결, 2009

      67 김종욱, "1950년대 문학 비평과 실존주의", 이건우 외. 『한국 근현대문학의 프랑 스문학 수용』.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68 김우창, "『김우창 전집 4- 법 없는 길』", 민음사, 1993

      69 박치우, "『사상과 현실: 박치우 전집』", 인하대학교 출판부, 인하대학교출판부, 2010

      70 최명익, "『최명익 단편선 비 오는 길』", 문학과지성사, 2007

      71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와의 대화』", 새미, 새미, 2002

      72 손정수, "개념사로서의 한국근대비평사", 역락, 2002

      73 한기형,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 소명출판, 소명출판, 2014

      74 김외곤, "한국 근대 리얼리즘 문학 비판", 태학사, 1995

      75 김윤식, "한국 현대 현실주의 비평 선집", 나남, 나남, 1989

      76 김두용, "「전형기와 명일의 조선문학」", 『동아일보』. -6.7, 1935

      77 류보선, "「전환기적 현실과 환멸주의」", 『한국현대문학연구』3. 한국현대문학회, 1994

      78 서경석, "김남천의 <발자크 연구노트 >론", 『인문예술논총』19. 대구대학교 인문 과학연구소, 1999

      79 백철, "사조 중심으로 본 33년도 문학계", 『조선일보』, 1933

      80 아르놀트, 하우저, 염무웅, 백낙청, "역.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창작과비평사, 2014

      81 방민호, "「경성모더니즘과 박태원 문학」", 구보학회, 『구보학보』9. 구보학회, 2013

      82 방민호, "「임화의 ‘이식문화론’ 재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관악어문연구』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과, 2002

      83 김학동, "『한국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일조각, 일지사, 1972

      84 류보선, "한국 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소명출판, 2005

      85 김해연, "『최명익 소설의 문학사적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논문, 1999

      86 채호석, "『한국 근대문학과 계몽의 서사』", 소명출판, 2002

      87 박정태, 사르트르, "역.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이학사, 2008

      88 김형준, "「위기에 빠진 현대 문화의 특징」", 『개벽』3호, 1935

      89 김윤식, "『한국 현대 현실주의 소설 연구』", 문학과지성사, 문학과지성사, 1990

      90 김한식, "유항림 소설에 나타난 절망의 의미", 『상허학보』4. 상허학회, 1998

      91 권철근,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92 F. F. 꾸즈네쪼프, "러시아 문학연구와 도스또예프스끼", 한국러시아문학회, 『러시아소비에트문학』 3.1. 한국러시아문학회, 1992

      93 이건우, "한국근현대문학의 프랑스문학 수용",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94 장성규, "1930년대 후반기 소설 장르 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12

      95 구자황, "「‘단층’파 문학의 성격과 의미」", 상허학회, 『상허학보』4. 상허학회, 1998

      96 신동욱, "「러시아 문학의 수용과 한국문학」", 일념, 『교수아카데미총서』3. 일념, 1993

      97 조진기, "「한국 근대소설론의 성립과 현철」", 향토문학연구회, 『향토문학연구』11. 향토문학연구회, 2008

      98 신상전, "「지킹엔 논쟁의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일문학』60. 한국독어독문학회, 1996

      99 이보영, "『동양과 서양: 이보영 문학평론집』", 신아출판사, 1998

      100 안함광, "『안함광 평론선집 1 - 인간과 문학』", 박이정, 1998

      101 장두영, "염상섭 소설의 내적 형식과 탈식민성", 태학사, 2013

      102 김예림, "1930년대 후반 근대인식의 틀과 미의식", 소명출판, 2004

      103 신규호, "「「표본실의 청개구리」와 노문학」", 『비평문학』2. 한국비평학회, 1988

      104 차승기, "‘사실의 세기’, 우연성, 협력의 윤리", 『민족문학사연구』38. 민족문학사 학회, 2008

      105 천정환, "1920~30년대 소설독자의 형성과 분화과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7. 역사문 제연구소, 2001

      106 김동인, "『김동인전집 16 - 조선근대소설고 외』", 조선일보사, 조선일보사, 1988

      107 구중서, "『역사와 인간- 구중서 문학평론선집』", 작가, 작가, 2001

      108 와다 도모미, "김남천의 취재원(取材源)에 관한 일고찰", 『관악어문연구』23. 서 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8

      109 박영희, "「조선 지식계급의 고민과 기(其) 방향」", 『박영희 전집 Ⅳ』.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110 송효정, "“식민지 후반기 문학의 근대기획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10

      111 방민호, "『일제 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예옥, 예옥, 2011

      112 이글턴, "테리. 이현석 역. 『우리 시대의 비극론』", 경성대학교출판부, 2006

      113 崔元植, "「동아시아 텍스트로서의 한국현대문학」", 한국어문학회, 『어문학』83. 한국어문학회, 2004

      114 한형구, "『일제 말기 세대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2

      115 김병철, "『한국 근대서양문학 이입사 연구(상권)』", 을유문화사, 을서문화사, 1980

      116 진정석,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의 경험 양상", 『민족문학사연구』8.1. 민족 문학사학회, 1995

      117 김명석, "「단층파 모더니스트의 행로와 작품세계」", 조정래 외, 『년대 한국 모 더니즘 작가 연구』. 평민사, 1999, 1930

      118 전영태, "최명익론: 자의식의 갈등과 그 해결의 양상", 『선청어문』10.1. 서울대 학교 국어교육과, 1979

      119 강헌국, "「반(反)재현론의 행방 - 김동인의 소설론」", 『민족문화연구』48. 고려대학 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120 임화, "『조선문학』의 정의 이러케 규정하려 한다!", 『삼천리』8권 8호, 1936

      121 이용우, "「프랑스 공산당의 변화와 인민전선의 기원」", 서울대학교서양사연구회, 『서양사연구』15. 한국서양 사연구회, 1994

      122 佐藤裕子, "シェストフ哲學と日本のドストエフスキ-受容", 『法政大學敎養部紀要. 外國語學 ․ 外國文學編』편, 東京: 法政大學敎養部, 2001

      123 한설야, "지하실의 수기 -어리석은 자의 독백 일척(一齣)", 『조선일보』, 1938

      124 정홍섭, "1930년대 후반 한국소설에 나타난 허무주의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32. 민족문학사학회, 2006

      125 서은주, "1930년대 외국문학 수용의 좌표 - 세계/민족, 문학", 『민족문학사연 구』28. 민족문학사학회, 2005

      126 신두원, "「계급문학, 민족문학, 세계문학- 임화의 경우」",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21. 민 족문학사학회, 2002

      127 유철상, "「유항림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식과 존재탐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운당 구인환 교수 정년 퇴임기념 논문집』. 대학사, 1995

      128 오천석, "「스터예브스키라는 사람과 밋 뎌의 작품과」", 『개벽』41, 1923

      129 김한성, "김기림 문학 연구 : 비교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14

      130 최혜실, "1930년대 한국 심리소설 연구 : 최명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석사논 문, 1986

      131 이수영,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미적 감각의 병리성」",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26. 민족문학사학회, 2004

      132 이해년, "「한 일 문단 행동주의 문학론 전개의 비교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Comparative Korean Studies』7. 국제비교한국학회, 2000

      133 이경민, "『황순원과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14

      134 申範淳, "「30년대 문학에 있어서 퇴폐적 경향에 대한 논의」", 관동대학교, 『관대논문집』24.2. 관동대학교, 1996

      135 柳仁順, "「「표본실의 청개고리」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이화어문논집』5. 이 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1982

      136 최범순, "「우치다 로안(內田魯庵) 『죄와 벌』 번역의 위상」", 『일본문화연구』11. 동아시아일본학회, 2004

      137 이동영, "『오늘의 문학과 문학의 오늘 -이원조 문학 평론집』", 형설출판사, 형설출판사, 1990

      138 권철근,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의 병리학: 살인과 간질」", 한국노어노문학회, 『노어노문학』18.3.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139 이종진, "「한국문학의 도스또옙스끼 수용과 그 현재적 의미」",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29.1. 성 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

      140 신형기, "『분열의 기록 - 주변부 모더니즘 소설을 다시 읽다』", 문학과지성사, 문학과지성사, 2010

      141 왕신영, "1930년대의 일본에 있어서의 ‘불안’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 구』47.2.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142 백준현, "「도스또예프스끼의 『백치』에 나타난 미(美)의 주제」", 『러시아연구』 12.2.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2

      143 김기림, "『김기림 전집 6 - 문명비평 시론 설문답 과학개론』", 심설당, 심설당, 1988

      144 함대훈, "「비극철학의 의의 - 도스토옙흐스키 연구의 일(一)단편」", 『동아일보』. 6.24-27, null

      145 손정수, "조이스 현상을 수용하는 당대 비평 담론의 양상과 그 의미", 구보학회, 『구보학 보』10. 구보학회, 2014

      146 이재선,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 : 문학 모티프와 테마를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문학과지성사, 2007

      147 장성규, "일제 말기 소설의 영문학 작품 수용과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민족문 학사연구』47. 민족문학사학회, 2011

      148 극웅, "노국문호 떠스토예스키씨(氏)와 및(及) 그이의 「죄와 벌」", 『창조』 3 호, 1919

      149 김동리, "「신세대의 정신 - 문단 「신생면(新生面)의 성격, 사명, 기타」", 『문장』 2권 5호, 1940

      150 지드, "앙드레. 강민정 역. 『앙드레 지드, 도스토예프스키를 말하다』", 고려문화사, 2005

      151 김민정, "1930년대 후반기 모더니즘 소설 연구 - 최명익과 허준을 중심으로", 서 울대학교 석사논문, 1994

      152 장희권, "「소설 『특성 없는 남자』에 나타난 무질 문학의 실험적 성격」", 『오늘의 문예비평』23. 오늘의 문예비평, 1996

      153 임병권, "「년대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은유로서의 질병의 근대적 의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2, 1930

      154 김동인, "「자긔의 창조한 세계 - 톨스토이와 스터예스키-를 비교하여 」", 『창 조』7호, 1920

      155 김철, "우울한 형/명랑한 동생-중일 전쟁기 ‘신세대 논쟁’의 재독(再讀)", 『상허 학보』25. 상허학회, 2009

      156 김동환, "「김동인 소설의 창작방법과 그 의미 - ‘인형조종술’을 중심으로」", 『한성 어문학』1.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995

      157 홍효민, "「행동주의 문학 운동의 검토 -부(附) 행동주의 문학의 조선적 가능」", 『조 선문단』 속간4호, 1935

      158 장문석, "전형기 임화와 '조선'의 발견 : 출판활동과 신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9

      159 안회남, "「내가 조와하는 소설의 주인공이 실재해 잇다면? -매음소녀 소니아」", 『신여성』7권 2호, 1933

      160 김경수, "『한국 현대소설의 형성과 모색 - 독서체험과 식민지 현실 사이에서』", 소나무, 소 나무, 2014

      161 김예림, "1930년대 후반의 비관주의와 윤리의식에 대한 고찰 - 최명익을 중심으 로", 상허문학회. 『1930년대 후반문학의 근대성과 자기성찰』. 깊은샘, 1998

      162 장혁주, "「정독(精讀)하는 양대가(兩大家) -「떠스토에프스키-」와 「발자크」」", 『동아일보』. -7.13, 1935

      163 차승기,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 식민지 조선 담론장에서의 전통․세계․주체", 푸른역사, 2009

      164 조동길, "「한국 현대소설의 서술기법 및 전략연구 : 김동인의 소설론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29. 한국비평문학회, 2008

      165 이병수, "1930년대 서양철학 수용에 나타난 철학1세대의 철학함의 특징과 이론적 영향", 『시대와 철학』17.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6

      166 조연정,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숭고’에 관한 연구 : 주체의 ‘윤리’를 중심으 로",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8

      167 염무웅, "「근대시의 탄생을 보는 하나의 시선 - 수용사적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 토」",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한어문교육』21.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9

      168 조진기, "「한일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비교연구(Ⅱ-2) -년대 창작방법론을 중심 으로-」", 『한민족어문학』28. 한민족어문학회, 1995, 1930

      169 김예림, "1930년대 후반 몰락/재생의 서사와 역사기획 연구 - 역사철학 담론을 중 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3.2. 한국근대문학회, 2002

      170 안석주, "「내가 조와하는 소설의 주인공이 실재해 잇다면? - 라스콜니콥프의 소니 아」", 『신여성』7권 2호, 1933

      171 이준형, "「똘스또이와 도스또예프스끼의 비교 연구 - 연구방법과 연구사를 중심으 로」", 『러시아소비에트문학』3. 한국러시아문학회, 1992

      172 이진형,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 임화, 최재서, 김남천의 소설 장르 논의", 소명출판, 2013

      173 조은주, "「일제 말기 만주의 도시 문화 공간과 문학적 표현 - 신경, 하얼빈을 중심 으로」", 신범순 란명 외. 『동아시아 문화 공간과 한국 문학의 모색』. 어 문학사, 2014

      174 강인숙, "『일본모더니즘소설연구: 요코미쓰 리이치, 류탄지 유, 이토 세이를 중심으 로』", 생각의나무, 생각의나무, 2006

      175 모출스키, "콘스탄틴. 김현택 역. 『도스토예프스키: 영혼의 심연을 파헤친 잔인한 천 재 1』", 책세상, 2000

      176 허민, "「탈-중심적 문학사의 주체화와 그 가능성의 조건들- 임화 「개설 신문학 사」재독」", 『상허학보』34. 상허학회, 2012

      177 마르크스, "칼 ․ 엥겔스, 프리드리히. 최인호 외 역.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 작선집 6』", 박종철 출판사, 1993

      178 정주아, "不安의 문학과 轉向時代의 균형 감각 - 1930年代 平壤의 학생운동과 『斷層』派의 문학 -", 『어문연구』39.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179 신지영, "「1부: 로베르트 무질의 『특성 없는 남자』에 나타난 유토피아 구상과 그 이념사적 구상」", 『독일어문화권연구』16.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 소, 2007

      180 김윤식, "한국 근대문학에 비친 외국 문학의 영향 — 민족의 해방과 자유에서 개인의 해방과 자유에로", 『비교문학』56. 한국비교문학회, 2012

      181 변현태, "「소설의 ‘형식’에 대한 두 사유 - 이바노프의 ‘소설-비극’과 바흐찐의 ‘소설 -대화’」", 『안 과 밖』35. 영미문학연구회, 2013

      182 호병탁, "『이상과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의 비교문학적 연구: <날개>와 <지하생활자 의 수기>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2000

      183 김동식, "‘리얼리즘의 승리’와 텍스트의 무의식 - 임화의 「의도와 작품의 낙차와 비평」에 관한 몇 개의 주석", 『민족문학사연구』38. 민족문학사학회, 2008

      184 나카무라, 이경훈, 미츠오, "역. 『태평양 전쟁의 사상 - 좌담회 ‘근대의 초극’과 ‘세계사적 입장과 일본’으로 본 일본정신의 기원』", 이매진, 2006

      185 박수현, "에로스/ 타나토스 간(間) ‘내적 분열’의 양상과 의미 -최명익의 소설 <무성격자 >와 <비 오는 길 >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37. 한국문학 연구학회, 2009

      186 김석수, "맑시즘과 실존주의 수용에서 본 한국 현대(1920-60년대) 정신의 갈등 구 조 - 한국 현대철학의 위상에 대한 반성적 고찰", 『동아 연구』37. 서강 대학교 동아연구소, 1999

      187 권일경,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실재관(實在觀)과 ‘재현(再現)’ 개념에 관한 고 찰 - 최재서의 리얼리즘론과 ‘내성(內省) 소설’을 중심으로", 『관악어문연 구』2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