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함허 선사의 불교사상과 그 시적 형상화 연구 = A study on Seon master Hamheo's Buddhist thought and its poetic trans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8380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불교문학전공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00 판사항(6)

      • DDC

        80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36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백원기
        참고문헌: p. 131-13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함허 선사(1376~1433)의 유교·불교·도교의 회통사상, 공사상, 정토사상이 그의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 깨달음을 증득한 후의 보림(保任)과 교화과정, 그리고 ‘방하착(放�...

      본 논문의 목적은 함허 선사(1376~1433)의 유교·불교·도교의 회통사상, 공사상, 정토사상이 그의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 깨달음을 증득한 후의 보림(保任)과 교화과정, 그리고 ‘방하착(放下着)’과 충만의 선심을 노래한 시문학에 어떻게 반영, 형상화 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선의 깨달음은 어떠한 언어로도 표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불립문자를 표방한다. 하지만 선은 언어문자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선사들이 깨침의 세계를 남들에게 드러내 보이거나 설명하기 위해서는 문자를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순으로 인해 선적 사유의 언어는 지극히 압축되고 고도의 상징과 비유, 그리고 상식을 뛰어 넘는 역설적인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선시 역시 탈속 무애한 상즉상입의 세계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함허 선사의 시문학 세계에도 잘 형상화 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그것은 시선일여(詩禪一如)로 시가 언어 가운데 가장 선지에 부응하는 살아 있는 형식이고, 압축적이며 비약과 함축을 가장 잘 표상하는 가능성의 언어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함허 선사는 조선 초기 강력한 숭유억불의 정책이 실시된 상황에서 논리정연하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불교의 정체성을 변호하며 반박 담론을 적극적으로 펼치며 위기에 처한 불교를 수호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는 󰡔현정론󰡕과『유석질의론』등을 저술하여 유가들의 일방적 불교비판과 공격에 대한 반론을 제기함은 물론 그들의 불교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해소하고 불교의 진정한 의미를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함허 선사는 불교와 유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상호 대립보다는 이해와 회통의 길을 모색하고 나아가 유·불·도 삼교회통을 주창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함허 선사는 마음이 만법의 뿌리임을 내세우며 마음을 고요히 하여 진리의 실상을 관찰함으로써 자성을 찾고, 또한 풍부한 선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함축적인 이미지와 언어로 그의 수행정진과 깨침의 세계와 교화의 방편을 시문학으로 담아내고 있다. 여기에는 선적 직관으로 사물을 정관하며 맑고 텅 빈 무심의 경지에서 유유자적하며 걸림 없이 살아가는 그의 수행의 세계가 잘 표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성을 깨닫기 위해 치열한 구도와 마음을 맑히고 비우는 보림의 수행에서 빚어진 그의 시문학은 ‘선심(禪心)’의 시심화(詩心化)라 할 수 있다. 그것은 곧 시심(詩心)과 선심(禪心)이 같다는 ‘시선일여’의 시적 미학을 표상하고 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함허 선사의 이러한 시적 세계를 연구하기 위해 우선, 선시의 기원과 전개 과정, 선시의 유형과 특징을 살피고, 이어 함허 선사의 간략한 생애와 그의 사상의 핵심인 호불사상, 삼교 회통사상, 공사상, 정토사상의 특징과 그것이 그의 시적 세계에 어떻게 형상화 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함허 선사의 선적 사유의 세계를 구도와 깨달음의 시적 형상화, 자연교감을 통한 물아일여(物我一如)의 시적 형상화, 방하착과 비움의 충만, 즉 공만일여(空滿一如)의 시적 형상화, 그리고 ‘선다일여(禪茶一如)’의 시적 형상화를 통해 선심의 시심화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함허 선사의 정토사상의 시적 형상화를 아미타여래의 공덕과 극락세계의 공덕을 중심으로, 그리고 염불을 통해 왕생하는 공덕을 찬양한「미타찬」「안양찬」「미타경찬」등과 유생이나 승려에게 보낸 서신 등을 중심으로 조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trace the characteristic of Samgyohoitong(Unification of three religions), Śunya thought, Pureland thought of Seon master Hamheo(1376~1433), and to look into how they are reflected and transformed in hi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trace the characteristic of Samgyohoitong(Unification of three religions), Śunya thought, Pureland thought of Seon master Hamheo(1376~1433), and to look into how they are reflected and transformed in his poetic world produced in the process of attaining Enlightenment, of refining his enlightenment and saving sentient beings, and of depicting 'letting it go’ and fullness.
      Actually, Seon is difficult to express in any language or sign, so it presents 'Bulipmunja'(No dependence on words and letters). But it cannot completely exclude words and letters. In this vein, Seon masters,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have no choice but to depend on words and letters in oder to show or reveal his enlightenment to others. Owing to this contradict, the language of Seon takes an extremely condensed, brief and paradoxical language or highly symbols and metaphors transcending a common sense. This tendency of "Poetry and Seon is the same one" which stresses brevity and implication is well revealed in Hamheo's poetic world.
      In the era of early Joseon Dynasty, under the crisis of Buddhism, Seon Master Hamheo tried to defend and protect Buddhism, especially by writing Hyeonjeonron. Above all, the core of Hyeonjeongron lies in not only correcting the injustice on anti-Buddhism theory and but also in correcting Confucianists' misunderstanding on Buddhism b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Buddhism and by widely spreading it. In this context, he asserted Samgyohoitong(Unification of three religions).
      Asserting that the mind is the root of everything, Hamheo tried to seek the original nature focusing on Samatha-vipassana rather than an ideology.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he Truth and Enlightenment, he expressed his state of Seon-mind and poetic mind in more simple, condensed, clear and succinct poetic diction and images. Consequently, his Seon mind and poetic imagination, based on the mutual interacting with nature, is even more vividly and lyrically well expressed in his poetic world. Futhermore, Hamheo tried to see into and contemplate all things as they are, with the empty mind. That's the very poetic description of Seon mind and 'Poetic mind and Seon mind is the same one.' That's the very poetic description of Seon mind and 'Poetic mind and Seon mind is the same one.'
      In addition, I tried to examine the poetic transformation of Hamheo's Pudreland thought focusing on Amitabha Buddha's merit and Paradise's merit, and also to look into 'Mitachan', 'Anyangchan', 'Mitakyungchan' praising the majesty of nirvana and the benefits of the person going to Nirvana after death as well as delivering a message to Confucianists and Buddhist venerab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3
      • 1.3 연구 방법 및 범위 5
      • 2. 선시의 형성과 전개 및 그 특징 9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3
      • 1.3 연구 방법 및 범위 5
      • 2. 선시의 형성과 전개 및 그 특징 9
      • 2.1 선시의 기원과 전개과정 9
      • 2.2 선시의 유형과 분류 19
      • 2.3 선시의 특징 31
      • 3. 함허 선사 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특징 33
      • 3.1 숭유억불의 시대적 배경 33
      • 3.2 함허 선사의 출가동기와 수행 35
      • 3.3 함허 선사의 법맥과 사상의 특징 38
      • 4. 함허 선사 선심의 시적 형상화 61
      • 4.1. 구도와 깨달음의 시적 형상화 61
      • 4.2 물아일여(物我一如)의 시적 형상화 67
      • 4.3 공만일여(空滿一如의 시적 형상화 78
      • 4.4 선다일여(禪茶一如)’의 시적 형상화 86
      • 5. 함허 선사 사상의 시적 형상화 93
      • 5.1 출가와 호불사상의 시적 형상화 93
      • 5.2 유ㆍ불 회통의 시적 형상화 98
      • 5.3 공사상의 시적 형상화 101
      • 5.4 정토사상의 시적 형상화 110
      • 6. 함허 선사 선시의 문학사적 의의 123
      • 7. 결 론 127
      • 참고문헌 13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준오, "시론", 보고사, 서울: 동문선, 1991

      2 함 허., 김달진 역, "『현정론』", 서울: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8

      3 진래,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서울: 예문서원, 1997

      4 이종은, 李能和,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서울: 보성문화사, 1977

      5 홍윤식, "『정토사상』", 춘추사, 서울: 한겨레사, 1981

      6 金煐泰, "불교사상사론", 민족사, 서울: 민족사, 1992

      7 김달진, 마명 역주., "『붓다차리타』", 서울: 고려원, 1988

      8 박태원, "『한국사상사』", 원광대학교 출판국, 서울: 원광대학교출판국, 1991

      9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서울: 일조각, 1976

      10 한국철학회편, "『한국철학사』", 동명사, 서울: 동명사, 1990

      1 김준오, "시론", 보고사, 서울: 동문선, 1991

      2 함 허., 김달진 역, "『현정론』", 서울: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8

      3 진래,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서울: 예문서원, 1997

      4 이종은, 李能和,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서울: 보성문화사, 1977

      5 홍윤식, "『정토사상』", 춘추사, 서울: 한겨레사, 1981

      6 金煐泰, "불교사상사론", 민족사, 서울: 민족사, 1992

      7 김달진, 마명 역주., "『붓다차리타』", 서울: 고려원, 1988

      8 박태원, "『한국사상사』", 원광대학교 출판국, 서울: 원광대학교출판국, 1991

      9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서울: 일조각, 1976

      10 한국철학회편, "『한국철학사』", 동명사, 서울: 동명사, 1990

      11 한기두, "한국선사상연구", 일지사, 서울: 일지사, 1991

      12 차차석, "『법화 사상론』", 운주사, 서울: 운주사, 2005

      13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정선 시선집』",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사상총서. 09,, 2009

      14 이기훈, 정도전, "역. 『불씨잡변』",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15 이기영, "『한국불교연구』", 한국불교연구원, 서울: 한국불교연구원출판부, 1983

      16 박규리, "「경허 禪詩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7 채정수, "「권근의 불교관」",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아대대학원 논문집』, 1984

      18 이능화, "『조선 불교통사』", 민속원,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2

      19 裵宗鎬, "율곡의 이통기국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제27집. 서울: 연세대학교 국학연 구소, 1981

      20 박영기, "「유석질의론연구」", 동국대학교, 동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21 김영태, "「유석질의론해제」", 『불교학보』 9,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1972

      22 김영태, "『한국불교사개설』", 서울: 경서원, 1985

      23 한국ㆍ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한국정치사상사』", 대경, 서울: 백산서당, 2005

      24 안계현, "한국불교사상사연구", 동국대출판부, 서울: 동국대 출판부, 1983

      25 박해당, "함허당득통화상어록", 동국대학교 출판부, 한글본『한국불교전서』조선 38,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26 권정안, "「유교의 역사이해」", 『현대한국종교의 역사 이해』, 한국정신문화연 구원, 1997

      27 한우근, "『유교정치와 불교』", 서울: 일조각, 1993

      28 차차석 편저., "『중국의 불교문화』", 서울: 운주사, 2007

      29 홍윤식, "『한국불교사 연구』", 서울: 교문사, 1988

      30 퇴옹 성철., "『한국불교의 법맥』", 경남: 장경각, 2000

      31 홍윤식, "『한국의 불교미술』", 대원사, 서울: 대원사, 2003

      32 정중환, "「이조 불교의 구조」", 『한국불교사상사』 숭산 박길진박사 화갑기념, 원광대학교, 1975

      33 송천은, "「함허 선사의 사상」", 『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 소, 1975

      34 이재창, "한국불교사원경제연구", 불교시대사, 서울: 불교시대사, 1993

      35 권기종, "「조선전기의 선교관」", 『한국 선사상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 원, 1984

      36 한영우, "『정도전사상의 연구』", 서울: 서울대출판부, 1983

      37 불교신문사편., "『한국불교의 제조명』", 서울: 불교시대사, 1994

      38 불교문화연구원, ". 『한국불교사상연구』",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4

      39 박해당, "「함허 선사의 삼교론」", 『태동고전연구』 12, 태동고전연구회, 1995

      40 박병기, 추병완 저., "『윤리학과 도덕교육1』", 서울: 인간사랑, 2004

      41 이기백, "『한국사 근세 전기편』", 서울: 을유문화사, 1966

      42 김용옥,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통나무, 서울: 통나무, 2004

      43 김기령 역주, ". 『현정론, 간폐석교소』",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2003

      44 채상식, "『고려후기 불교사연구』", 서울: 일조각, 1993

      45 백원기, "『불교설화와 마음치유』", 동인, 서울: 동인, 2017

      46 송천은, "『열린시대의 종교사상』", 원광대학교 출판국, 서울: 원광대학교출판국, 1992

      47 황선명, "『조선종교사회사 연구』", 서울: 일지사, 1985

      48 불교신문사편, ". 『한국불교인물사상사』", 서울: 민족사, 1985

      49 박재금, "「무의자 혜심의 詩세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50 이종익, "「정도전의 폐불론 비판」", 『한국불교』 8, 서울: 동국대 불교문화연 구소, 1975

      51 김기령, "「조선시대 호불론 연구」", 동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52 고병익, "「유교사상에서의 진보관」", 『중국의 역사인식』상, 서울: 창작과 비 평, 1985

      53 함 허., "『현정론』 (한국불교전서7)",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6

      54 한형조, "「주희와 정도전의 배불론」", 한국철학회, 『철학』 제61집, 한국철학학회, 1999

      55 이종찬, "『韓國禪詩의 이론과 실제』", 서울: 이화문화출판사, 2001

      56 백원기, "『선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동인, 서울: 동인, 2014

      57 유초하, "「정도전의 사회ㆍ윤리사상」", 삼봉 정도전선생기념학술회의, 한국공 자학회, 1992

      58 한종만, "「조선조 초기의 노불융합론」", 『한국종교』 10집, 원광대, 1985

      59 송석구, "「조선조에 있어서 유불대론」", 성곡언론문화재단, 『성곡논총』 15, 성곡학술문화재단, 1984

      60 한종만, "「여말선초의 배불, 호불사상」", 『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 1974

      61 최승희, "『(조선초기)정치문화의 이해』", 지식산업사, 서울: 지식산업사, 2005

      62 남희영, "「백곡처능의 활동과 호불상소」", 동국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3 함 허., "『유석질의론』 (한국불교전서 7)",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6

      64 안계현, "「불교 억제책과 불교계의 동향」", 『한국사』11, 국사편찬위원회, 1974

      65 고익진, "「종교간의 대립과 불교의 관용」", 『불교와 현대세계』, 서울: 동국 대, 1977

      66 이철헌, "「함허 선사의 『현정론』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67 임선영, 황광욱, 정성식, "공저. 『한권으로 읽는 한국철학』", 서울: 동녘, 2007

      68 김영미,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시공사, 서울: 시공사, 2000

      69 조남국, "「여말선초 불교교섭에 관한 연구」", 『강원대논문집』 15호, 1981

      70 김영태, "「조선초 함허 선사의 염불 정토관」", 「한국불교학』 15, 한국불교 학회, 1990

      71 유인회, "「통일한국에서 유교와 불교의 역학」", 제13회 국제불교문화학술회의 원광대, 1992

      72 김만규, "「퇴계와 율곡의 이기론적 정치사상」", 김운태 편, 『한국 정치ㆍ행정의 체계』, 서울: 박영사, 1982

      73 유명종, "「한국 유불도 삼교교섭의 사적 회고」", 제13회 국제불교문화학술회 의, 원광대, 1992

      74 함 허., "『함허득통화상어록』, 한국불교전서 7",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6

      75 이봉춘, "「조선 개국 초의 배불추진과 그 실제」", 『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 회 편, 1995

      76 유승국, "「조선조 성리학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대동문화연구』, 13.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9

      77 박병련, "「朝鮮朝 儒敎官僚制의 性格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78 이영춘, "「불씨잡변」을 통해 본 정도전의 불교비판", 서울: 『다보』 18호, 1996

      79 한자경,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제6집, 2003

      80 이인혜, "「함허 선사의 『선종영가집과주설의』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89

      81 최창규, "조선조 유학과 한민족의 주체성. 「사문논총」, 1", 서울: 사문학회, 1973

      82 고익진, "「함허 선사의 『금강경오가해해설의』에 대하여」", 『불교학보』11집, 서울: 동국대, 1974

      83 박경환, "「유불논쟁―현세적 가치와 출세적 가치의 대립―」",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1995

      84 오경후, "「조선초 함허 선사당 기화의 『유석질의론』연구」", 동국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85 윤사순, "한국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서울: 우석, null

      86 백원기, "「신미의 ‘훈민정음’ 창제 관련 설화와 문화융합의 콘텐츠 방안」", 한국융합학회, 『한국융합학회논문지』제8권 제2호, 2017

      87 금장태, "「성리학적 가치관의 전통」, 『한국사상사대계』 4, 「근세 전기편」", 한 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