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중 문묘일무의 역사적 전승과 철학적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17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묘일무(文廟佾舞)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그 영향을 과시하고 있다. 그 중 유가(儒家) 예악(禮樂) 사상의 상(象)인 문묘일무의 전승과 대외 전파는 매 시기...

      문묘일무(文廟佾舞)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그 영향을 과시하고 있다. 그 중 유가(儒家) 예악(禮樂) 사상의 상(象)인 문묘일무의 전승과 대외 전파는 매 시기마다의 정치・사회・문화 등 요소를 기초로 하고 있다.
      문묘일무는 고려(高麗) 예종 1116년에 한국에 전파되었으며 한국의 정치・문화와 융합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전승되어 왔다. 현재 한・중 양국이 거행하는 석전(釋典)에서의 문묘일무는 이미 삼대(三代)의 모양과는 다르지만 문묘일무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서 그 진면목을 엿볼 수 있으며, 아울러 당대(当代) 문묘일무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심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현대 문묘일무의 복원과 향후 문묘일무의 발전에 튼튼한 발판을 마련하고 더욱 견고한 이론적 기틀을 기초와 근거를 다질수 있을 것이다.
      당대인들이 예악을 제작하는 것은 한 편으로는 옛 것을 본 따[仿古] 덕(德)을 기리고 교화(教化)를 기하려는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는 ‘옛 악을 따르지 않는다[乐不相沿]’고 하면서 악의 명칭을 고치거나 내용 형식을 증보(增補)하면서 당대의 특징을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아악(雅樂)의 한 갈래인 문묘일무는 바로 이러한 특징들을 띄고 있는데 그것이 곧 ‘옛 예의를 따르는 것[仿古之禮]’과 ‘당대지악[當代之樂]’의 결합이다.
      문묘일무와 공자의 예악사상(禮樂思想)은 2000여 년 간의 사연 많은 일로를 걸어왔는데 후세인들이 추구하는 ‘옛 것을 본뜨는[仿古]’ 것은 결국 무엇을 본뜨는 것일까? 이에 대한 사상은 춘추말기의 유가 예악의 미학을 대표하는 『악기(樂記)』에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즉, 『악기(樂記)』에서 천명한 ‘예악’ 사상은 공자 예악사상의 근본에 가장 일치한 학설이라 할 수 있다.
      문묘일무가 걸어온 역사는 지역을 뛰어 넘어 다양한 형식으로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왔으며 동방역사문화의 진귀한 보물이다. 문묘일무 속에 내포된 핵심철학은 바로 ‘마음으로 사물을 감동시키고[人心感物]’, ‘풍악으로 정감을 교화하며[樂以和情]’,‘예로써 절도를 세우고[禮以節之]’, ‘알맞게 처분하여 중화를 이루는[中和之道]’ 것이다. 여기서 ‘문으로 사람을 감화시키고[文以化人]’ ‘덕으로 천하를 교화시킨다[德化天下]’는 문묘일무의 이념은 21세기 인류문화에 매우 뜻 깊은 깨우침을 선사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文廟佾舞起源於中國,卻不僅行於中國。作爲儒家禮樂思想之'象',可以說,文廟佾舞的傳承與傳播,都是以各個時期的政治、社會、文化等因素作爲基礎的。 如此,文廟佾舞在高麗毅宗111...

      文廟佾舞起源於中國,卻不僅行於中國。作爲儒家禮樂思想之'象',可以說,文廟佾舞的傳承與傳播,都是以各個時期的政治、社會、文化等因素作爲基礎的。
      如此,文廟佾舞在高麗毅宗1116年傳至韓國,與當地政治文化結合,其面貌也得以被更多樣化地保存了下來。雖然如今韓・中兩國所行於釋奠的文廟佾舞,已不再是三代時的模樣,但我們可以通過不同時期所作之佾舞,窺探其本來面目,並且了解當代對文廟佾舞的理解與詮釋,從而爲現代文廟佾舞的複原與今後文廟佾舞的發展奠定更完善的理論基礎和依據。
      當代人制禮作樂,一方面有沿襲古制的‘仿古’之意,頌德以教化;另一方面認爲樂‘不相沿’,改名或增補,突顯當代特征。作爲雅樂之分支的文廟佾舞,自然也有著這樣的特征,那就是‘仿古之禮’與‘當代之樂’的結合。
      那麼,文廟佾舞與孔子的禮樂思想曆經二千多年的跌宕起伏,後人所試圖追求的‘仿古’究竟是仿什麼?其根本思想可追溯至春秋末期的初期儒家樂之美學之作『樂記』當中去。『樂記』中所闡述的‘禮樂’思想,當是最符合孔子禮樂思想之本意的學說了。
      文廟佾舞走過曆史、跨越地域,以多樣的形式流傳至今,是東方曆史文化的瑰寶。文廟佾舞中所蘊含之核心哲學,即‘人心感物’、‘樂以和情’、‘禮以節之’和‘中和之道’。其‘文以化人’、‘德化天下’的理念,將會給21世紀的人類帶來深刻的啟迪。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 5
      • 3. 선행 연구 7
      • Ⅱ. 문묘일무의 시원과 역사적 발전 19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 5
      • 3. 선행 연구 7
      • Ⅱ. 문묘일무의 시원과 역사적 발전 19
      • 1. 문묘일무의 시원 19
      • 1) 문묘일무의 유래 19
      • 2) 육대대무의 확립 29
      • 2. 문묘일무의 발전 38
      • 1) 주나라 춘추전국 시기 38
      • 2) 진한 시기 38
      • 3) 위진남북조 시기 43
      • 4) 수당 시기 47
      • 5) 오대십국 시기 53
      • Ⅲ. 문묘일무의 확립 56
      • 1. 중국 56
      • 1) 송원 시기 56
      • 2) 명청 시기 74
      • 2. 한국 79
      • 1) 고려시대 79
      • 2) 조선시대 81
      • Ⅳ. 문묘일무의 전승현황(1900-현재) 86
      • 1. 중국 86
      • 1) 중화민국 시기 - 문화대혁명 86
      • 2) 현행 문묘일무 전승 지역 93
      • 2. 한국 103
      • 1) 1930년경의 문묘일무 105
      • 2) 1980년 문묘일무의 복원 107
      • 3) 2006년 문묘일무의 복원 127
      • Ⅴ. 문묘일무 구성의 역사적 전승 147
      • 1. 중국 문묘일무 구성의 전승 147
      • 1) 무용(舞容) 147
      • 2) 무위(舞位) 165
      • 2. 한국 문묘일무 구성의 전승 174
      • 1) 무용(舞容) 174
      • 2) 무위(舞位) 182
      • Ⅵ. '화(和)'에 입각한 일무의 철학적 의미 188
      • 1. 춤은 외재적 표현양식으로서의 악(樂)이다 190
      • 2. 춤은 절도와 중화의 예(禮)이다 194
      • Ⅶ. 결론 198
      • 부록 202
      • 참고문헌 205
      • 中文摘要 21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영숙, "現行佾無考.",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1

      2 임학선, "문묘일무의 도해", 성균관대학교출판사, 2005

      3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사, 2006

      4 임태승, "유가사유의 기원", 학고방, 2004

      5 彭松, "觀祭孔儀, 釋古樂舞", 曲阜祭孔樂舞(50년대 초): 16-24, null

      6 임학선, "문묘일무의 예악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사, 2011

      7 蔡秉衡, "關於文廟釋奠奏樂圖的流變", 釋奠學과 文廟문화: 19-45, 2014

      8 배옥영, "周代의 上帝意識과 儒學思想", 다른세상, 2003

      9 이보름, "『春官通考』의 文廟佾舞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05

      10 김영숙, "韓國祭禮佾舞의 美學思想研究.",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5

      1 김영숙, "現行佾無考.",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1

      2 임학선, "문묘일무의 도해", 성균관대학교출판사, 2005

      3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사, 2006

      4 임태승, "유가사유의 기원", 학고방, 2004

      5 彭松, "觀祭孔儀, 釋古樂舞", 曲阜祭孔樂舞(50년대 초): 16-24, null

      6 임학선, "문묘일무의 예악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출판사, 2011

      7 蔡秉衡, "關於文廟釋奠奏樂圖的流變", 釋奠學과 文廟문화: 19-45, 2014

      8 배옥영, "周代의 上帝意識과 儒學思想", 다른세상, 2003

      9 이보름, "『春官通考』의 文廟佾舞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05

      10 김영숙, "韓國祭禮佾舞의 美學思想研究.",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5

      11 백로, "중국 제공(祭孔)악무의 시원과 변천", 釋奠學과 文廟문화: 305-322, 2014

      12 임학선, "明代의 文廟佾舞춤사위에 대한 考察", 儒敎文化硏究, no. 8 : 91-124, 2006

      13 吳曉邦, "關於整理和研究曲阜孔廟樂舞的情況", 曲阜祭孔樂舞(50년대 초): 1-3, null

      14 박지선, "儒教祭禮舞의 禮樂思想에 관한 研究.",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06

      15 안정은, "“문묘일무 춤사위의 원형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6 임학선, 김기화, "문묘일무의 춤사위 '진퇴'에 담긴 교육철학적 가치", 우리춤연구소, 우리춤연구소 : 77-96, 2011

      17 유혜진, "“한국 문묘일무 춤사위의 원형고찰과 그 타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5

      18 최희나, "現行文廟佾舞와 『頖宮禮樂全書』文廟佾舞의 관계성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05

      19 유혜진, "『南雍志』의 文廟佾舞와 現行文廟佾舞의 춤사위 비교분석.",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03

      20 임학선, 김기화, "문묘일무 무보해(舞譜解) 동작의 형식을 활용한 춤사위 분석체계연구", 한국무용연구회, no. 2 : 1-2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