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茶山 丁若鏞의 中國易學 批判 硏究 : 『易學緖言』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15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丁若鏞이 <易學緖言>4책12권에서 중국역학을 비판한 핵심내용과 중국역학 비판에 담긴 역학사상의 본질을 분석·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정약용이 비...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丁若鏞이 <易學緖言>4책12권에서 중국역학을 비판한 핵심내용과 중국역학 비판에 담긴 역학사상의 본질을 분석·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정약용이 비판하고 논박한 중국역학자들의 <주역>해석의 중심내용 및 이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쟁점과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정리한다. 둘째, <易學緖言>을 중심으로 정약용의 역학의 이론체계를 검토하고, 나아가 정약용의 독창적이고 비판적인 역학사상의 핵심과 특징을 밝힌다. 셋째, 정약용이 중국역학을 비판한 역학사적 의미와 과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역학서언>에는 정약용이 중국역학을 비판한 철학적 精髓가 담겨있다. 중국의 역학문헌과 역학인물과 역학철학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博學深境한 학문세계가 요구된다. 정약용은 2천년 중국역학사상사[漢·魏·晉·唐·宋·元·明·淸代]에 중요한 영향력을 끼친 鄭玄·王弼·朱熹·邵康節을 비롯하여 수십 명의 중국학자의 역학이론과 역학사상에 대해 논리적이며 구체적인 비판을 하였다. 총 21편의 易學批評論을 수록한 <역학서언>은 <여유당전서> 45권~48권에 실려있다. <역학서언>의 총 21편을 세분하면 中國易學批評論 17편, 古代卜筮論 1편, 易學問答論 2편, 易學書簡文 1편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역학서언> 全文은 아직 國譯과 註解조차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易學緖言>은 '<易>의 첫 시초인 근원에 대한 사상적 실마리를 論究한 책’이며, ‘<易>의 근원과 역학의 학문적 흐름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한 연구문헌’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朝鮮유학자인 정약용이 중국학자의 핵심적인 역학이론에 대해 체계적인 비판을 하였다는 점에서 <역학서언>은 한국유학사에 큰 의미가 있는 문헌이다. 한국유학사에서 <주역>의 辭·變·象·占에 대한 해석 이론체계를 갖추고, 중국학자의 역학문헌·역학이론·역학사상을 전문적으로 비판한 문헌은 희귀하기 때문이다. 정약용은 <주역>의 聖人四道가 辭·變·象·占이라는 점을 인식해 네 가지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이며 전문적인 해석방법론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정약용이 확립한 <주역> 해석방법론의 이론이 다양하고 구체적인 것은 ‘象理·數理·義理’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기 때문이다. 정약용 역학은 <주역>의 作易 의도를 추론하고, 괘의 변화원리와 그 법칙성을 밝히고 있다.
      정약용이 중국역학을 비판한 특징과 학문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Ⅱ.<역학서언> 문헌의 특징과 역학비평론의 형성, Ⅲ.<역학서언> 구성 분류에 따른 중국역학비평론의 특징, Ⅳ.易理의 <주역> 해석학 문제와 방법론 비판, Ⅴ.象理과 數理의 <주역> 해석학 문제와 방법론 비판, Ⅵ.정약용의 비판적 <주역> 해석학의 핵심사상에서 <주역>의 핵심 개념과 도학적 개념 및 時中觀·太極觀·變易觀 등 정약용의 易學觀에 대해 세분하여 연구한다.
      정약용 역학의 특징은 象·數·理를 모두 포괄하고, 易理에 집중해 <易>의 근원을 새롭게 해석한 독창적인 <주역> 철학이다. 정약용 역학은 易義인 ‘變易’의 원리를 밝히는 이론체계에 집중되어 있으며, <易>의 실마리[緖]인 근원사상에 밀접해진 의미가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찰하고자 順時的 관점과 易理的 관점을 적용해 연구하였다.
      정약용 경학의 핵심사상은 易學과 禮學에 내포되어 있지만, 특히 정약용은 <周易>을 ‘洗心經典’이라고 하였고, 改過遷善하는 善의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修己論이 집약된 문헌, 즉 ‘聖人改過遷善之書’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易學緖言>에는 <周易心箋>에서 주해하지 않은 주요한 역학개념을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정약용은 중국학자가 ?역?의 근원을 해석한 이론과 역학사상을 연구하고, 문헌고증과 훈고학 등 분석적 기법을 활용해 상세하게 논박하고, 철학적으로 비판하였다. 정약용은 <易>의 근원과 핵심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이로써 易義는 단일한 ‘變易’이라고 해석하였다. 따라서 <주역>의 卦象·爻象·物象에서 ‘時’와 ‘變易’의 원리를 깨닫는 중요한 방법론의 법칙성을 체계적 이론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또한 <周易>의 易象이라는 상징체계에서 <역>의 근원을 窮究하고, 象理·數理·義理를 모두 포괄해 ‘易理’를 파악할 수 있게 구체적 중국역학 비판을 하였다. 정약용은 易理를 파악할 수 없는 응용역학과 새롭게 창안된 <주역> 해석법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가지고 해석오류임을 논증하였다.
      정약용은 <주역>의 형성이 時變之則의 변화원리를 담은 推移에서 비롯되었음을 주장하고, 物象의 변화원리를 토대로 互體·爻變의 이론체계도 명확히 정립하였다. 특히 數理에 함축된 變易의 眞義를 정확히 분석해 중국역학을 비판하였다. 우주자연과 만물의 변화원리를 상징한 <주역>에서 ‘通時變易의 時의 원리에 대한 법칙성’을 집약적으로 주해하였다. 따라서 정약용 역학은 ‘通時變易의 時易’이라는 특징이 있다. ‘通時變易의 時易’이라는 뜻은 <주역>의 易象의 변화원리를 窮理하여 通時變易의 원리의 법칙성을 밝혀 이론적 체계로 정립한 ‘時易’이라는 의미이다. ‘通時變易의 時易’은 象理·數理·義理를 포괄해 易理를 연구한 정약용 역학의 특징과 핵심에 대한 정의이다. 정약용 역학을 ‘時易’이라고 칭하는 것은 ‘時變’·‘通時’·‘變通’·‘變易’·‘時易’·‘通易’의 원리를 중층적으로 내포한 ‘通時變易’의 의미를 밝혔다는 뜻이 압축되어 있다. 정약용의 역학사상, 해석방법의 이론체계, <주역> 주해와 중국역학 비판은 ‘時變’과 ‘變易’의 법칙성을 관통하였으며, 洙泗學의 근본유학과 밀접한 철학사상을 담고 있다.
      <주역>에서 ‘知時’란 우주자연의 변화와 시대를 읽어내는 냉철한 정신사유를 뜻한다. 정약용은 宇宙論·心性論·修養論을 주체적으로 정립하였고, ‘時中之道’는 ‘知命’과 ‘知行’을 궁극적으로 일치시키려는 유학의 궁극적 목적인 도학적 실천으로 인식하였다. 정약용이 중국역학을 비판한 것은 ?易?의 근원을 성찰한 학문적 토대에서 비롯되었고, 時宜에 맞는 학문을 하기 위함이었다. 중국역학 비판은 유학의 내적 비판이며, 철학적 반성에 속한다. 이로써 정약용은 중국역학과 차별화된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한국역학을 發揚하였다. <역학서언>에 담긴 비판적 역학사상과 역학사적 의미를 탐구한 결과 정약용 역학은 <주역> 해석의 근원을 밝힌 역학이며, 또한 한국철학에서 경학 해석학의 비판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초토대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 論 1
      • 1. 問題提起 및 硏究目的 1
      • 2. 硏究範圍 및 硏究方法 11
      • 3. 中國易學批判의 先行硏究 分析 15
      • Ⅱ. <易學緖言> 文獻의 特徵과 易學批評論의 形成 33
      • Ⅰ. 緖 論 1
      • 1. 問題提起 및 硏究目的 1
      • 2. 硏究範圍 및 硏究方法 11
      • 3. 中國易學批判의 先行硏究 分析 15
      • Ⅱ. <易學緖言> 文獻의 特徵과 易學批評論의 形成 33
      • 1. <易學緖言> 書名 意味 33
      • 2. <易學緖言> 文獻의 特徵과 意義 36
      • 3. <易學緖言> 易學批評論의 形成年代 39
      • 4. <易學緖言> 構成 體系 및 內容 區分 45
      • Ⅲ. <易學緖言> 構成 分類에 따른 中國易學批評論 48
      • 1. 漢. 魏代의 易學理論과 解釋方法 批判 48
      • 1) 李鼎祚集解論 48
      • 2) 鄭康成易註論 51
      • 3) 班固藝文志論 52
      • 4) 漢魏遺義論 54
      • 5) 王輔嗣易注論 55
      • 2. 晉. 唐. 宋代 易學理論과 周易 註解의 問題 批判 57
      • 6) 韓康伯玄談考 57
      • 7) 孔疏百一評 58
      • 8) 唐書卦氣論 59
      • 9) 朱子本義發微 61
      • 10) 邵子先天論 63
      • 3. 宋. 元. 明. 淸代의 易學理論과 易學思想 批判 64
      • 11) 沙隨古占駁 64
      • 12) 吳草廬纂言論 66
      • 13) 來氏易註駁 67
      • 14) 李氏折中? 68
      • 4. 기타 中國易學批評論과 古代卜筮論, 易學書簡文, 易學問答論 70
      • 15) 陸德明釋文? 70
      • 16) 郭氏擧正駁義 71
      • 17) 王蔡胡李評 73
      • 18) 卜筮通義 74
      • 19) 周易答客難 75
      • 20) 玆山易柬 76
      • 21) 茶山問答 77
      • Ⅳ. 易理의 <周易> 解釋 問題와 方法論 批判 79
      • 1. 玄學的 <周易> 解釋의 問題와 誤謬 83
      • 1) 貴無論, 虛無論的 <周易> 解釋의 問題와 誤謬 85
      • 2) 太極, 理와 無極의 變容 - 無極而太極, 無極卽太極 94
      • 3) 易理四法과 象·數의 解釋方法論 廢棄 批判 98
      • 4) 玄學的 義理易學 批判의 特徵과 意義 (1)(2)(3) 107
      • 2. 變易의 解釋方法論 適用과 中國易學 批判 113
      • 1) 丁若鏞의 易義 定義 : 變易 114
      • 2) 時의 巨視的 變化 樣態 : 推移, 卦變 119
      • 3) 勢의 力動的인 內的 變易 : 互體 142
      • 4) 時의 微視的 變化와 辭·占의 能變性 : 爻變 156
      • 5) 朱熹의 卦變圖와 卦變說 批判 - 卦變의 歪曲 174
      • 3. 創新의 解釋方法論과 批判的 考察 182
      • 1) 來知德의 解釋方法, 錯綜法 批判 183
      • 2) 錯. 綜 字義와 訓?的 意味 批判 185
      • 3) 錯綜說과 易理四法 189
      • 4) 다양한 變易의 解釋 三法 : 交易, 反易, 變易 192
      • 4. 易詞 解釋方法論 適用과 中國易學 批判 195
      • 1) 建維[13] : 四維卦와 四正卦 196
      • 2) 認字[17] : 字義의 認識 203
      • 3) 察韻[18] : 易詞 解釋의 韻法 208
      • Ⅴ. 象理과 數理의 <周易> 解釋 問題와 方法論 批判 213
      • 1. 物象論, 天象說, 圖書易의 象理論 批判 213
      • 1) 物象論 批判 - 聖人四道[象] 213
      • 2) 天象說 批判 - 鄭玄 218
      • 3) 圖書易 批判 - 邵康節 223
      • (1) 邵康節 八卦次序圖·八卦方位圖의 問題와 解釋誤謬 224
      • (2) 變易의 變容 - 圖書易의 固着化 問題 235
      • 2. 數 槪念과 意味, 數理論의 考察과 批判 238
      • 1) 先天橫圖, 九六七八之說 批判 239
      • 2) 大衍數 槪念과 意味 242
      • 3) 參天兩地의 槪念과 意味 247
      • 4) 九와 六의 數 槪念과 意味 254
      • 5) 算數家의 數理論 批判 259
      • 3. 分卦直日法, 八純卦, 游魂說, 歸魂說의 問題 批判 262
      • 1) 分卦直日法 批判 - 推移의 變容 262
      • 2) 經八純卦, 緯八純卦 批判 267
      • 3) 游魂說, 歸魂說 批判 272
      • Ⅵ. 丁若鏞의 批判的 ?周易? 解釋의 核心思想 279
      • 1. <周易>의 變化原理와 核心槪念 281
      • 1) 宇宙生成과 運行變化의 至誠無息 原理 : 時 284
      • 2) 爻位의 象徵 너머 哲學的 意味 : 中 290
      • 2. <周易> 哲學의 道學的 槪念 295
      • 1) 人道의 動的 平衡 原理 : 中正 295
      • 2) 天人直通의 有機的 妙合 原理 : 時中 298
      • 3. 丁若鏞의 時中觀 - 修養論 304
      • 4. 丁若鏞의 太極觀 - 物理의 宇宙生成論 312
      • 5. 丁若鏞의 變易觀 - 通時變易의 時易 333
      • Ⅶ. 結論 - 丁若鏞 易學의 特徵과 韓國哲學 3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