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榮山江流域의 地形과 土地利用 = (The) landforms and land us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857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리학과 , 2002. 2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452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15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榮山江은 우리나라의 주요 穀倉이며, 20세기 중반까지도 국가의 經濟에서 차지한 비중이 상당히 컸다. 영산강유역은 전반적으로 해발고도가 낮으며, 농경지가 넓다. 영산강유역에서는 일제...

      榮山江은 우리나라의 주요 穀倉이며, 20세기 중반까지도 국가의 經濟에서 차지한 비중이 상당히 컸다. 영산강유역은 전반적으로 해발고도가 낮으며, 농경지가 넓다. 영산강유역에서는 일제강점기의 産米增殖計劃에 이어 광복 후의 야산개발, 그리고 1970년대 이후의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며, 이에 따라 土地利用의 내용의 광범하게 변화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 유수의 곡창에 걸맞지 않게 그 내용이 광범하게 변화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 유수의 곡창에 걸맞지 않게 그 내용이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榮山江流域의 곡창으로서의 地域的 特性을 밝히기 위해 주요 지형의 발달과 아울러 조선시대 이후의 수리시설의 확충을 중심으로 농경지의 개발과 그에 따른 土地移用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특히 중심을 두고 추진되있으며, 평야에 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했다. 연구는 현지답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現地踏査는 1996년 이후 2001년까지 여러 차례 실시했다.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는 지도와 통계자료가 또한 많이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영산강유역에는 氾濫原·沖積段丘·丘陵地가 널리 발달되어 있으며, 하구 일대에는 干潟地 또한 넓게 분포했었다. 汎濫原은 영산강의 본류와 여러 지류를 따라 분포한다. 특히 골짜기가 좁은 ‘물목’의 상류쪽에는 범람원이 넓게 펼쳐지며, 이러한 곳은 과거에 수해가 심했다. 丘陵地는 특히 나주시와 여암군에 넓게 분포한다. 干潟地는 영산강 하류의 南海灣에 넓게 발달되어 있었다.
      둘째, 영산강 본류와 지류의 氾濫原은 대부분 조선시대도 논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1920년대 이후 일제의 産米增殖計劃의 추진되면서부터는 汎濫原을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의 水利組合이 곳곳에 설립되었으며 하천변에는 근대적 인공제방이 축조되기 시작했다. 野山開發은 1960년대부터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오늘날 야산의 개간지는 모두 밭이나 과수원이로 이용된다.
      셋째, 南海灣과 木浦灣의 간석지는 1981년에 영산강하구둑이 준공된 이후 대대적인 干拓事業에 의해 농경지로 개발되어, 榮山湖 일대에는 영산강유역에서 농경지가 가장 넓게 분포하게 되었다. 이로써 영산강유역의 평야는 범람원 중심의 羅州平野와 간척지 중심의 ‘榮山平野’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 두 평야는 開發過程뿐만 아니라 水利體系가 다르다.
      넷째, 영산강유역의 수리시설로는 洑·貯水池·揚水場·排水場 등이 중요하며, 管井도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洑는 1950년대까지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했고, 貯水池는 관개면적이 가장 넓은 水源工으로 1960년대 이후 핵심적인 수리시설로 부상했다. 1976년에 4대 댐이 축조되면서 기존 저수지의 상당수는 보조 수원공으로 바꾸었다. 揚水場이 주수원공으로 부각된 것은 1980년대에 들어와서 영산호가 조성된 이후이다. 한편 排水場은 199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설치되어 왔으며, 수해를 덜어주는 수리시설로서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管井은 大型·小型 모두 보급되었으나 관개면적이 좁다. 오늘날 영산호는 생활하수와 축산폐수에 의한 수질오염이 심하다. 영산강유역에 공업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는데도 수질오염이 심한 까닭은 근본적으로 영산강이 작아서 담수의 유입이 적기 때문이다.
      다섯째, 영산강유역의 水利體系는 1970년대를 기준으로 크게 변화했다. 4大 댐 및 榮山湖와 같은 대규모 관개수원의 건설로 水利體系는 廣域化와 함께 일대 혁신을 맞이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수리체계는 幹線·支線과 그밖의 水路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간선구로는 2∼4개의 市郡을 넘나든다.
      여섯째, 영산강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 Ⅰ段階事業地區와 Ⅱ段階事業地區는 水利體系가 서로 다르다. Ⅰ단계사업으로 축조된 4대 댐의 물은 대개 해발 60∼80m의 산록 또는 구릉지에 설치된 幹線水路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반면에 Ⅱ단계사업으로 조성된 영산호의 물은 영산호안을 따라 설치된 대규모의 揚水場에서 퍼올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river valley has been an organizing geographical frame for the analysis of natural environment human activities. As far as physical geographers are concerned, the nver valley bounded by watersheds constitutes a nexus between local and global geomorp...

      A river valley has been an organizing geographical frame for the analysis of natural environment human activities. As far as physical geographers are concerned, the nver valley bounded by watersheds constitutes a nexus between local and global geomorphological continuum. Some physical geographers make use of the river valley as a testing ground for the land-forming processes. Other scholars look into the mid-range mechanism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caused by human agency. Still others seek to learn a traditional wisdom of sustainable uses of land and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river valley area, especially the down-river portion has gathered geographer's attention with its implication for agrarian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details of landforms and land uses in the region drained by the Yeongsan River. The region conunonly known as the 'Naju Plains' has until very recently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breadbaskets in Korea. The region feeds the populations in the region and the other parts of the nation. In retrospect, it was in the 19205 that the region began to experience a massive transformation of landforms and land-use patterns. Used heretofore piecemeal by local people, the region was during that period exposed to large-scale projects initiat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Against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e author sets out to do a systematic survey and interpretation of the geographies of the region. To find answers for several questions raised with respect to changing configurations of landforms and uses of land, I review literature, search primary sources, collect quantitative data, compare old and new maps, and bolster the evidence through field works. Five main findings result from the research. Firstly, the Yeongsang river valley consists of three distinct landfonns, namely, floodplains, tidal flats, and low-lying hills. It is confirmed that the floodplains and tidal flats meet somewhere in the Dashi plain, whereas hills are scattered over the span of area between Jisok and Yongam streams. Secondly, the sustained process of geomorphic changes was set in during the 1920s, wh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itiated a nation-wide project for the increase of rice production. This was succeeded by the hillside-development project in the 1960s and the master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Greater Yeongsan Region in the 1970s. The combined effects of the grand projects have been dramatic changes in landforms and land-use patterns. Thirdly, the construction of levees at various periods and places along the main channel helped to ease the devastating effects of periodic floodings, which eventually paved the way for the large-scale reclamation of coastal plains. A vast area of tidal flats was turned into fertile fields for the mass production of rice.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hills created an expansive area of dry fields. The most dramatic change, however, occurred in the areas adjacent to the Yeongsan Lake. The newly-added arable lands exceed the Naju Plains in extent.
      The fourth finding is associated with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The region as a whole features diversion dams, reservoires and pump stations which has been introduced at different time periods and put into use in different fashion. Diversion dams('bo') were a popular mode of irrigation before, during and sometime after the 1920s. The reservoires which alongside diversion dams formed the mainstay of traditional irrigation systems came to be the single most effective facility by the 1970s. Needed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reservoires were minimum degrees of gradient to push the water forward to the fields and webs of aqueducts and artificial canals to carry it over. The pump stations, although introduced rather early in the 1930s, played a minor role in watering the rice paddy. It was in the 1980s that the presence of the mechanized system was recognized and their contribution was appreciated. Here in pump stations the water is raised 30 to 40 meters above the sea before pouring down the slope of the aqueducts. Finally, the sphere of benefits from the advanced irrigation systems has been gradually extended to comprise more than two counties - a great achievement considering that the gains hardly reached beyond the boundary of one county until the mid-1970s. This advance is attributed, to a greater extent, to the four multi-purpose dams, the watergates and the Yeongsan Lake which came into being with the master planning of land improvement in the Greater Yeongsan Region. In sum, the breath-taking progression of the transfonnation of landforms and land uses in the Yeongsan River Valley has been driven by the institutional agency called the state. The century-Iong struggle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tate ends up with the emergence of mega-landscape which is entirely different from what we have been familiar with. Given that the state-charted projects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 terms of their impacts on the environment, this research might lend insights to the debate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論文槪要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ⅳ
      • 그림목차 = ⅳ
      • 사진목차 = ⅵ
      • 論文槪要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ⅳ
      • 그림목차 = ⅳ
      • 사진목차 = ⅵ
      • 부록목차 = ⅶ
      • Ⅰ. 序論 = 1
      • Ⅱ. 地形의 發達 = 4
      • 1. 河川과 氾濫源 = 4
      • 2. 丘陵地와 土壤 = 16
      • 3. 干潟地와 갯골 = 23
      • Ⅲ. 農耕地의 開發 = 30
      • 1. 沖積地의 開發 = 30
      • 2. 丘陵地의 開墾 = 40
      • Ⅳ. 水利施設의 擴充 = 59
      • 1. 灌漑水源의 開發 = 61
      • 2. 灌漑用水의 供給 = 82
      • Ⅴ. 結論 = 96
      • 참고문헌 = 99
      • ABSTRACT = 105
      • 부록 =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