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7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unded under the national policy of Confucianism, Joseon faced a huge task of transmitting, spreading, and reviving Confucianism. That series of process began with the edification of the masses into Confucianism. In Joseon, they established Confucian...

      Founded under the national policy of Confucianism, Joseon faced a huge task of transmitting, spreading, and reviving Confucianism. That series of process began with the edification of the masses into Confucianism. In Joseon, they established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political ideology and put an emphasis on the implementation of Five Ritual to promote the stability of the nation, which brought considerable changes to the culture of Joseon.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a ceremony included in Five Rituals thus holds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field of overall cultural history.
      In ceremonies, the types of clothes depended on the nature of ceremony, which raised a need to investigate connections between clothes and ceremonies. There we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forms of Cheonggeumbok, one of the elements to characterize the status of a crown prince at School Entrance Ceremony. Cheonggeumbok was a school uniform for the students at Seonggyungwan and required an investigation into its forms and colors as the most essential clothing element at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ceremonial meanings of each procedure and the changes to the procedures at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at was standardized in Joseon and also the Cheonggeumbok that he wore as a student and the clothes of individuals related to the ceremony. The findings regarding the meanings and changes of procedures and clothes at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a crown prince were as follows:
      First, the ceremonial meanings of each procedure were explained in the aspects of transmission and prevalence of Confucianism, succession of ceremonies, and legitimacy of royal authority, which were parts of effects generated by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ey tried to establish a centralized ruling system by spreading the Five Rituals that represented the totality of Confucian ethics. The Five Rituals were implemented to establish Confucianism as the political ideology and promoted the stability of royal authority, thus causing tremendous cultural changes. School Entrance Ceremony one of Five Ritual based on the combination of Gil-rye and Ga-rye, was held to commemorate the admittance of a crown prince into Seonggyungwan, edified the public visually, and poplorized Confucianism. While there was no longer practice of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a crown prince in China since Tang Dynasty, Joseon held one throughout its duration, refined its procedures further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developed it independently by inheriting the ceremony beyond nations and periods.
      Second, there were two parts whose procedures changed visually at School Entrance Ceremony, and which were the number of salutations between the crown prince and his masters at the stage of Soksuui and the crown prince holding a basket filled with gifts. The changing number of salutations between the crown prince and his masters went against the idea of respecting one’s teachers, which was a part of basic ideologies at a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a crown prince, but the change was made to reinforce the royal authority and to correspond to the emerging scholar-king theory after the spread of Confucianism entering a stable stage. Jipsaja started to carry the gifts basket, which used to be carried by a crown prince at the ceremony, into Myeongryundang, a small means of practice to protect the crown prince.
      Third, Cheonggeumbok, a school uniform worn by a crown prince at School Entrance Ceremony, turned out to follow the regulations of Cheongdanryeong. At School Entrance Ceremony, which was held to establish Confucianism as the political ideology and spread it as a part of edification policy, a crown prince participated as a student. That was the most essential aspect of its implementation. The forms of Cheonggeumbok for a crown prince to wear at the ceremony were derived from Cheongwonryeong, a school uniform for the students at Gukjagam which was, th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of Ming Dynasty. Its name originated from Cheonggeumbok, a school uniform for the students at Gukhak which was, a central educational institution of Tang Dynasty.
      Nansama, which emerged as Cheonggeumbok in Joseon and previous studies, was defined as a costume for the Jesaeng to wear at Saengwonjinsabangbangui at the 22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Chungwantonggo, published in the year of 1788, presented the coexistence of Chenggeumbok for students and Nansam for Bangbangui, which indicates that. It was a fact that Cheonggeumbok was distinct from Nansam in the book of Chungwantonggo.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s of Confucianism wore their personal Dopos instead of Cheonggeumbok. This finding was based on a painting of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Crown Prince Hyomyeong in 1817. Following the Reform of Dress Regulations in 1884 by King Gojong, the doctrine of Sabokbyeonjejeolmok abolished all the Poje clothes including the Dopo and Jikryeong and set a rule that students of Confucianism should wear Jaebok according to the old regulations and apply Chaksuui for their personal clothes, which indicates that the Jaebok for students was not regulated by the Reform. In addition, there were records saying that the students wore their personal Dopos and Yugeons even on the campus with the approval of royal court.
      Finally,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ting in Seonggyungwan were all asked to wear Heukdanryeong. The masters were allowed to wear Gongbok only for Wangbokui and Soksuui. Gwanwon at SeongGyunGwan and Sigangwon who attended MyeongRyunDang and DaeSungJeon, one of the entrance procedures at SeongGyunGwan, wore Heukdanryeong, a costume worn by military and civilian officials at DaeSoJoEui. The masters joined a meeting with Gongbok, a formal costume, while the crown prince asked for a lecture and gave a salute at Myeongryundang. True to their duties as teachers, however, they wore Heukdanryeong, a Sangbok, to teach the crown prince. They wore Gongbok to respect the crown prince as the legitimate successor to the royal throne rather than a student.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detailed research on the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roughout Joseon, and examined the flows of clothes worn at the ceremony in terms of types and names, thus trying to minimize potential problems in research based on visual painting material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present an opportunity to make a more in-depth approach to the meanings and importance of clothes worn by those who participated in rituals in Joseon. The study, however, is lacked of discussion for the specific clothes of individual participants at School Entrance Ceremony for each crown prince due to the extensive scope of research period, which presents a research task for futur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교를 국시로 하여 건국된 조선은 건국초기 유교의 전파, 확산, 부흥이라는 큰 과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유교로의 교화(敎化)에서부터 시작된다. 교화 정책은 양반계...

      유교를 국시로 하여 건국된 조선은 건국초기 유교의 전파, 확산, 부흥이라는 큰 과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유교로의 교화(敎化)에서부터 시작된다. 교화 정책은 양반계층에서는 관학교육으로 성립되지만, 일반백성은 국가적인 오례의 행사를 목도하는 것으로도 가능하였다. 이렇게 조선시대는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확립하고, 국가적인 안정을 도모할 목적으로 오례의(五禮儀)의 실행이 강조되었으며, 이는 조선시대의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오례의에 포함된 예제의 실행과정에 대한 조사는 문화사 전반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오례의와 오례의 관련 복식의 연구는 예악사상과 예치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조선 유교 사상을 이해 할 수 있는 근간이 될 것이다. 의례(儀禮)는 의식의 본질에 따라 복식의 종류가 규정되어 지므로, 복식과 의례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입학례에서 왕세자의 신분을 특정 지어주는 요소인 청금복(靑衿服)은 그 형제(形制)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 있다. 청금복은 성균관의 제학생도들이 착용하는 학생복으로 왕세자 입학례에서 가장 핵심적인 복식요소로 그 형태와 복색을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정법화되어 이루어진 왕세자 입학례에서 각 의식절차의 의례적 의미와 절차상의 변화, 왕세자가 학생으로서 착용한 청금복과 입학례 관련자 복식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의식절차의 의례적 의미는 왕세자 입학례를 행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인 유교의 전파, 성행, 예제의 계승, 왕권의 당위성이라는 측면에서 설명 할 수 있다. 조선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새워진 혁명국가로 건국초기에 유교문화의 전파에 국가적인 총력을 다하였다. 유교윤리의 총체인 오례의(五禮儀)의 보급을 통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오례의(五禮儀)는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확립하고 왕조의 안정을 도모할 목적으로 실행되어 문화적인 큰 변화를 가져왔다. 입학례는 길례(吉禮)와 가례(嘉禮)가 혼합되어진 오례의(五禮儀)의 하나로, 왕세자가 성균관에서 학생의 신분으로 의례를 행함으로써 가시적으로 민중을 교화시키고 유교를 전파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는 의식이다. 또한 중국에서는 당(唐) 이후 황태자의 입학례가 나타나지 않지만 조선시대는 전 기간에 걸쳐 행하여지며, 의식절차도 보다 실정에 맞게 다듬어져 국가와 시대를 넘어 예제를 계승하여 독자적으로 발전시켰다. 또한 건국초기에는 원자부터 군(君)과 종친(宗親)까지 성균관 입학례를 거행하였고 이에 따른 입학 예제(禮制)들이 존재하지만, 세조연간 이후부터는 왕위를 이을 적장자만이 입학례를 거행하게 된다. 세조가 왕위찬탈을 통하여 군왕이 됨으로써 왕권의 정당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왕세자, 왕세손만 제한적으로 왕세자 입학례 의식절차를 행함으로써 성균관 입학례를 통하여 왕권의 정통성을 부여하여 왕권을 확립하고 하고자 한 것이다.
      둘째, 입학례 중 가시적으로 그 절차가 변하는 것은 속수의(束脩儀) 단계에서 왕세자와 박사간의 배례수(拜禮數) 변화, 왕세자가 폐백이 담긴 광주리를 집비(執篚)하는 과정을 들 수 있다. 국조오례의가 제정되어 편찬되기 전까지는 왕세자는 박사 답재배를 몸을 돌려 피하여 스승에 대한 존경의 의미를 극대화 하는 것이며, 이는 유교의 기본 이념인 스승에 대한 존사(尊師)함에 기인한다. 하지만 국조오례의에서는 박사가 답배로 한번만 절을 하고 왕세자의 환피(還避)과정이 생략되며, 왕세자의 재배에 박사가 답재배를 하여 스승의 위상이 점점 낮아지며, 순종왕세자 입학례에서는 박사가 먼저 재배(再拜)를 하고 왕세자가 답배(答拜)를 하게 된다. 이는 왕세자 입학례의 기본 이념인 스승을 존사(尊師)함에는 배치되는 것이지만 유학 전파가 안정기에 들어서게 되면서 왕권의 강화와 군사론(君師論)의 대두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왕세자가 집비(執篚)하여 들고 가던 폐백 광주리는 소현세자부터 집사자가 다시 들고 명륜당안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는 왕세자를 보호하기 위한 작은 실천수단으로 보여진다.
      셋째, 왕세자가 입학례에서 학생복으로 입는 청금복(靑衿服)의 복제(服制)가 청단령(靑團領)임을 확인하였다.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확립하고 유교를 전파하기 위한 교화(敎化) 정책의 일환으로 실행된 입학례는 왕세자가 학생의 신분으로 의식에 참여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실행사항이다. 왕세자의 청금복 형태는 명(明)의 관학교육기관인 국자감(國子監)의 학생복인 청원령에서 명칭은 당(唐)의 중앙교육기관인 국학(國學)의 학생복인 청금복에서 기원하였다. 당(唐) 이후에는 행하여지지 않은 왕세자의 입학례를 부활하기 위하여. 경국대전을 편찬하면서 유학(儒學)이 사용하는 청금(靑衿)인 단령(團領)이 성균관의 제학생도의 학생복으로 규정되었다. 또한 조선시대와 선행연구에서 청금복(靑衿服)으로 대두된 난삼(襴衫)은 영조22년 생원진사방방의(生員進士放榜儀)에서 제생(諸生)들이 착용하는 복식으로 규정된 후 1788년 편찬된 춘관통고에서 학생의 청금복과 방방의(放榜儀)에서 착용하는 난삼(襴衫)이 함께 공존하는 것을 확인하여 청금복과 남삼은 다른 복제(服制)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1817년 효명왕세자의 입학례를 그린 입학도에서 유생들이 착용하고 있는 도포는 유생들의 사복으로 청금복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1884년 고종 갑신의제개혁의 후속 조치인 사복변제절목의 강령으로 도포, 직령 등의 포제류는 모두 폐지하며 유생의 재복(齋服)은 구제(舊制)대로 착용하되 사복은 착수의(窄袖衣)로 할 것을 규정하고 있어, 학생복인 재복은 의제개혁에 의해 규제 받지 않았음을 고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사복인 도포(道袍)와 유건(儒巾)은 조정의 묵인하에 학생들이 관내에서도 착용하였음을 기록화 등으로 확인하였다.
      다섯째, 성균관에 참여하는 관원은 모두 흑단령(黑團領)을 착용하며, 왕복의(往復儀)와 속수의(束脩儀)에서만 박사가 공복(公服)을 착용하였다. 성균관에서 행하여지는 입학 절차 중 대성전과 명륜당에 참석하는 시강원과 성균관 관원은 상복(常服)인 흑단령(黑團領)을 착용하였으며, 흑단령은 대소조의(大小朝儀)에 문무관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또한 명륜당에서 왕세자가 시학(視學)을 할 때는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를 포함한 관관(館官), 학관(學官)의 성균관 관원은 모두 상복(常服)을 착용하여야 하였다. 박사는 명륜당에서 왕세자가 수업을 청하고 폐백(幣帛)을 올리는 동안 예복인 공복(公服)으로 상견례를 행하지만 박사가 스승의 임무를 맡아 왕세자에게 강독(講讀)을 하게 되면 상복인 흑단령(黑團領) 차림으로 행례하였다. 박사의 공복(公服) 착용은 왕세자를 학생이 아닌 대통을 이어갈 적장자로 예우한 법식인 것이다. 이 공복(公服)착용은 왕세자의 교육 관련 의례 중 동궁에서 사부(師傅)와의 상견례시 사부(師傅)가 입는 예복(禮服)으로 왕세자와 스승 사이의 첫 만남의 자리에서 착용 예법인 것이다.
      효명세자 관련 입학도첩 분석만으로 입학례 관련 고증을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청금복(靑衿服)에 관한 내용을 바로 잡았으며, 성균관의 학생복인 청금(靑衿)이라는 명칭은 당(唐)에서 전래된 것으로 국학(國學)의 학생복인 청금복(靑衿服)에서 유래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복식 형태는 명(明) 국자감의 청원령(靑圓領)에 기인함을 고찰하였다. 또한 효명세자의 입학례를 그린 왕세자입학도에 학생들이 입고 입는 도포와 유건은 학생건복(學生巾服)인 청금복(靑衿服)과 복건(幅巾)은 아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착용 실사례가 변한 것으로 확인 되어 학생복은 기록상의 청금복(靑衿服)과 조정의 묵인하에 착용된 도포로 나누어졌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의의 1
      • 2. 선행연구 고찰 5
      • 3. 연구내용 및 방법 9
      • A. 연구내용 9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의의 1
      • 2. 선행연구 고찰 5
      • 3. 연구내용 및 방법 9
      • A. 연구내용 9
      • B. 연구자료 10
      • Ⅱ. 왕세자 입학례 절차의 기원과 실제 13
      • 1. 입학례의 기원 13
      • 2. 예서와 태학지를 통해 본 입학례 의식절차 20
      • 3. 왕세자 입학례 의식절차 실사례 43
      • A. 출궁의(出宮儀) 53
      • B. 작헌의(酌獻儀) 57
      • C. 왕복의(往復儀) 60
      • D. 속수의(束脩儀) 63
      • E. 입학의(入學儀) 67
      • 4.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69
      • Ⅲ. 문헌과 실사례에 나타난 입학례 복식 71
      • 1. 왕세자(王世子) 71
      • A. 상복(常服) 72
      • B. 학생복(學生服) 90
      • 2. 문관(文官) 115
      • A. 공복(公服) 116
      • B. 상복(常服) 127
      • 3. 무관(武官) 137
      • A. 상복(常服) 137
      • B. 융복(戎服) 138
      • 4. 학생(學生) 146
      • 5. 의장군(儀仗軍) 152
      • Ⅳ. 효명세자 왕세자입학도에 나타난 복식 173
      • 1. 효명세자 왕세자입학도연구의 의의 173
      • 2. 효명세자 입학도 절차별 복식 175
      • A. 출궁의 175
      • B. 작헌의 191
      • C. 왕복의 203
      • D. 속수의 208
      • E. 입학의 215
      • F. 수하의 218
      • Ⅴ.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의 특징 221
      • 1. 의식절차상의 내용 변화 221
      • A. 출궁의 222
      • B. 속수의 223
      • 2. 입학례 관련 복식의 착용 흐름과 변천 229
      • A. 왕세자 상복 231
      • B. 학생복(學生服) / 청금복(靑衿服) 233
      • C. 성균관 관원의 공복과 상복의 제관계 236
      • 3. 효명세자 입학도 이모본(移模本) 238
      • A. 산선시위 238
      • B. 연배군 239
      • Ⅵ. 결론 240
      • 참고문헌 245
      • 부록 254
      • ABSTRACT 26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영숙, "한국복식사", 청주대학교 출판부, 서울 : 수학사, 1998

      2 이정옥, "관례복식연구", 嶺南大學校 出版部, 경산도 : 영남대학교출판부, 1990

      3 박정혜, 한영우, "왕세자입학도", 안그라픽스, 서울 : 안그라픽스, 2005

      4 김영숙, "한국복식사전", 서울 : 민문고, 1998

      5 강순제,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서울 : 민속원, 2015

      6 문화관광부,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미술문화, 2001

      7 김문자,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 교문사, 2004

      8 김문식, "왕세자의 입학식",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0

      9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민속원, 민속원.:, 2008

      10 정길수, "역주 소현동궁일기1", 서울 : 민속원, 2008

      1 김영숙, "한국복식사", 청주대학교 출판부, 서울 : 수학사, 1998

      2 이정옥, "관례복식연구", 嶺南大學校 出版部, 경산도 : 영남대학교출판부, 1990

      3 박정혜, 한영우, "왕세자입학도", 안그라픽스, 서울 : 안그라픽스, 2005

      4 김영숙, "한국복식사전", 서울 : 민문고, 1998

      5 강순제,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서울 : 민속원, 2015

      6 문화관광부,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미술문화, 2001

      7 김문자,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 교문사, 2004

      8 김문식, "왕세자의 입학식",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0

      9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민속원, 민속원.:, 2008

      10 정길수, "역주 소현동궁일기1", 서울 : 민속원, 2008

      11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김영사, 2003

      12 김태완, "『경연, 왕의 공부』", 역사비평사, 서울 : 역사비평사, 2011

      13 태학지, "번역사업회 , 태학지", 서울 : 성균관, 1994

      14 邊英燮, 安輝濬, "장서각소장회화자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15 김문식, 박례경, 김지연,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파주 : 돌베개, 2013

      16 백영자,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서울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4

      17 최은수,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 민속원, 서울 : 민속원, 2007

      18 유송옥,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수학사, 서울 : 수학사, 1991

      19 김문식, "소현세자의 왕세자 교육",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제 18집, 2011

      20 이강칠, "역사인물 초상화 대사전", 현암사, 서울 : 현암사, 2003

      21 박종배, "“朝鮮時代學校儀禮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2 최순권, "고종과 순종의 국장 사진첩", 민속원, 서울 : 민속원, 2008

      23 김문식,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파주 : 돌베개, 2005

      24 김문식, "「군사 정조의 교육정책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민족문화 23, 2000

      25 신병주,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책과함께, 서울 : 책과함께, 2007

      26 장재천, "조선조 성균관 교육과 유생문화", 아세아문화사, 서울 : 아세아문화사, 2000

      27 何懷宏, "中國의 儒學傳統과 太學(國子監)", 대동문화연구 34, 1999

      28 김영숙, 박윤미, "조선조왕실복식(영친왕복식중심)", 서울 : 十月, 2007

      29 이지원, "조선시대 성균관복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0 손윤혜, "조선후기 왕세자 입학례 복식고증",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1 김종원, "조선조 시강원의 교육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32 전주시, "우석대학교산학협력단, 어진박물관", 태조어진 봉안행렬, 2013

      33 육수화,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의 변화양상",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 연구, 44집, 2011

      34 박해당, 성당제, "역주 숙종강학청일기 숙종춘방일기1", 서울 : 민속원, 2008

      35 한형주, "朝鮮 世宗代의 古制硏究에 對한 考察", 역사학보 136, 1992

      36 박현정, "조선시대 관복 담홍포 담론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35권 9, 2011

      37 박현순, "「영조대 도기유생전강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한국문화 제 64집, 2013

      38 금종숙,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9 김종률, "조선조의 왕세자교육제도에 관한 일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40 손윤혜, 이은주, "1817년 효명세자 입학례의 왕세자 복식 고증",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제46권 제1호, 2013

      41 남문현, "세종조의 누각에 관한 연구 - 보누각자격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57권 0호, 1988

      42 한형주, "조선초기 왕세자의 국가의례 참여와 그 성격", 한국역사민속학회, 역사민속학회 제30호, 2009

      43 하정승, "泮中雜詠에 刑象된 成均館과 儒生들의 생활상", 한림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인문연구, 11권 0호, 2004

      44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화를 수놓다 : 조선의 왕실복식",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45 김은진, "1800년 정조 국장 재현을 위한 의장군 복식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6 이은주, 홍나영, 임재영, "왕세자출궁도의 복식연구 Ⅱ-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복식31호, 1997

      47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 61권 10호, 2011

      48 이은주,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민속원, 2005

      49 이은주, 홍나영, 임재영, "왕세자출궁도의 복식연구Ⅰ-입학례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복식28호, 1996

      50 육수화, "正祖의 성장과정을 통해 본 조선후기 왕위계승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51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 실학, 제43집, 2010

      52 안인숙, "조선시대 왕세자교육에 대한 연구 : 정조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8

      53 김보영, "18세기 成均館 儒生의 생활과 활동 -泮中雜詠과 太學志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4 박순영, "분묘에서 발굴된 사람 뼈로 추정한 조선시대 성인 남성의 키에 대한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 대한체질인류학회지 제 24권 제 4호, 2011

      55 윤정, "18세기 국왕의 ‘文治’사상 연구 - 祖宗 事蹟의 재인식과 ‘繼志述事’ 실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6 김남기, "동궁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세자의 교육 -소현둥궁일기부터 숙종춘방일기까지를 중심으로", 한자한문교육 제 22집,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