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 궁궐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 연구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orytelling of Feng Shui Location in the Palace of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41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지리관이며 전통문화와 함께 보전되고 계승되어야 할 가치를 지닌 사상인 풍수 사상에 주목하여, 이를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조선 궁궐해설과 결합하려는 새...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지리관이며 전통문화와 함께 보전되고 계승되어야 할 가치를 지닌 사상인 풍수 사상에 주목하여, 이를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조선 궁궐해설과 결합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수행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풍수 관련 기록들에 따르면 5대 궁궐은 입지부터 구조, 건축물 특징 등과 같은 측면에서 풍수적 입지 요인들을 가지고 있다. 즉, 궁궐은 문화공간이자 풍수적 장소성을 지닌 공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늘어나는 관광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써 궁궐 해설에 풍수 모티브를 적용한 풍수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대 궁궐에 대한 궁궐해설사의 해설 녹취록을 분석하여 해설 모티브를 분류, 정리하였고, 해당 요소들이 실제 조선왕조실록에는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경복궁의 풍수 모티브는 다섯 가지로 압축하여 접근할 수 있다. 첫째는 금천(禁川)이라 불리는 명당수이고, 둘째는 근정전 앞마당의 명당이며, 셋째는 강녕전・교태전 이 가진 공간적 함의이고, 넷째는 궁궐 안의 핵심적 풍수공간임을 증명하는 아미산(峨眉山), 다섯째는 연못 풍수로 만들어진 경회루와 향원정이다.
      창덕궁의 풍수 모티브 역시 다섯 가지로 압축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창덕궁의 인정전으로, 인정전은 왕기를 받는 명당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풍수지맥이 이어지는 위치, 즉 왕기를 받는 명당자리에 위치해 있다. 둘째는 인정전의 궁궐마당으로 명당수가 흐르는 금천교를 지나 사다리꼴 모양으로 조성된 마당으로 풍수지맥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사다리꼴 형태로 조성되었다. 셋째는 금천이라 불리는 명당수이고, 넷째는 대조전의 향선, 다섯 번째는 비보책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해 바위산이 보이지 않는 곳에 입지했다는 것이다.
      창경궁의 풍수 모티브를 보면, 첫째로 명정전이 풍수지맥에 이어지는 것이며, 둘째로 옥천이라 불리는 명당수, 셋째로 비보책인 문정전이 있다.
      덕수궁의 풍수 모티브는 첫째, 중화전으로 풍수지맥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제왕풍수와 다소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덕수궁의 명당수가 중화문 밖이 아닌 조정 가운데를 지나고 있다는 점에서 엄밀한 의미에서 명당수로서의 입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
      경희궁의 풍수 모티브를 보면 먼저 첫째 풍수기맥으로, 바위로 둘러싸인 지형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명당수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인위적으로 금천을 만들었다. 즉, 경희궁의 금천과 금천교는 궁궐지형으로서의 경희궁이 가진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풍수비보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처럼 조선 시대의 5대 궁궐은 각각 풍수적 입지요건과 해설 모티브를 지니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출된 풍수입지 요건과 해설 모티브를 바탕으로 5대 궁궐에 대한 개별적인 스토리텔링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나리오는 스토리텔링 기법에 근거하여 처음․중간․결말의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풍수 모티브와 풍수 요소를 토대로 해설을 진행하되, 풍수 요소를 관람객들이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내용까지도 포함하였다. 풍수 요소와 풍수 모티브를 구분하는 기준의 가장 큰 틀은 ‘왕기(王氣)’이며, 풍수 모티브를 지닌 공간들이 이러한 왕기를 강화하거나 비보하는 풍수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을 해설하고자 하였다.
      궁궐 풍수입지요건을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5대 궁궐에 대한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을 창작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토대는 5대 궁궐의 풍수지리적 모티브에 두었다. 대표적으로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으로써 전형적인 장풍국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청계천에 의해 득수를 이루고 있는 형태를 취하며, 풍수에 있어서 가장 좋은 길지로 꼽히는 장풍득수(藏風得水)를 이루는 천혜의 명당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복궁에 존재하는 풍수요건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적인 지점을 선정한 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관광객 관람동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 풍수 해설 관광에 익숙하지 않은 관람객과 해설사들을 고려하여 기존 관람동선을 유지하되, 풍수 모티브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5대 궁궐의 궁궐 입지를 토대로 한 풍수 스토리텔링 시나리오가 완성되면 관광해설사는 창작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풍수 스토리텔링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해설사는 풍수 지식이 부족한 일반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해설을 제공하게 되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궁궐 해설사들을 위한 교육 과정에 풍수 관련 교육 내용이 전무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때문에 사전에 풍수지리 관련 교육기관에서의 직무연수 및 교육 이수를 통해 자신이 해설하게 되는 풍수 스토리텔링에 포함된 기본적인 풍수지식을 함양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는 향후 풍수 스토리텔링에 의거한 궁궐 해설에 대한 관광객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특히 문화유산과 풍수의 연관성을 명확히 이해시켜야 하므로 풍수 기본용어를 해설해놓은 팸플릿을 제공하거나, 명당도 등과 같은 시각적 자료를 활용해 관람객의 이해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풍수용어에 대한 해설 및 자료를 제공하는 방법 또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5대 궁궐을 찾는 관광객의 상당수가 외국인 관광객임을 고려하여, 스토리텔링 시나리오 및 해설 자료는 이들을 위한 번역본의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정해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기보다는 해설사 각자가 자신의 상황이나 현장, 관람객 수준 등에 맞추어 변경해 사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이를 활용해 문화유산인 궁궐의 의미와 가치를 높이고, 궁궐의 풍수입지요건에 대한 관광객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 유발을 위한 궁궐 풍수 스토리텔링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Feng Shui storytelling techniques to Joseon Royal Palaces wit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nnales record related to Feng Shui, major 5 palaces are very characteristic with Feng Shui contents,...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Feng Shui storytelling techniques to Joseon Royal Palaces wit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nnales record related to Feng Shui, major 5 palaces are very characteristic with Feng Shui contents, which shows cultural and geographic elements space. This study gives insights about an understanding on palaces to number of tourists by storytelling techniques, which are an extension of cultural heritage exposition and analyze the narration record of the palace commentator on the five palaces, classify and explain the commentary motif, how these elements are described in the actual Joseon dynasty annals.
      First, we arranged and classified data of 10 cultural heritage commentators, to compare with contents of the Annals. In the end, Feng Shui contents enrich the storytelling techniques. Second, we analyzed Feng Shui elements in the Annales field and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From analyzing the deposition and the related the Annales, the palace commentators consist 4 motives which are a step for politics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piping times of peace, inner palace’s giving peace to royal family, bedroom arrangement for royal couple, ritual space for caring fathers, and respecting literary and martial arts. Feng Shui 5 elements of royal palaces came up with, which means motives. The inner stream, bright yard, housing, Ami hills, pond and lake are common to all.
      Gyeongbok , Changduk, Changgyeong, Gyeonghee and Duksu that is the Five royal palaces have some Feng Shui contents of which inner water and bright yard are common, naturally having Feng Shui meanings; Gyeongbok has five motives that the first shrines called Gyungcheon, the second is the name of the court in front of the Kunjeongjeon, the third is the spatial implication of Gangnyeonjeon and Gyotaejeon, the fourth is Emeean, which proves to be a key feng-shui space in the palaces, It is made of feng shui Changduk palace has three motives that Myungjeongjeon is followed by the feng shui geomac, the second is the Okangheon which is called the Okcheon, and the third is the Munjeongjeon, a bibo book. When you look at the feng shui motif of Gyeonghee, it is firstly located on the topography surrounded by rocks as the first feng shui. Secondly, the number of people who did not exist was artificially created. Duksu has two motives that is the Geomac as a neutralization war, but it is somewhat distant from the King Feng Shui in that it is not. Secondly,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eople in Deokguk Palace passes through the mediation, not outside the door of China, is not in the strict sense of the word.
      These Feng Shui element are related the Annals, which help to make storytelling for cultural heritage exposition. Commentators can explain the Feng Shui Thought from 5 palaces by the powerful energy of king, Wangki, standard, which has strong or wea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to create and utilize storytelling based on analysis data of palace Feng Shui contents and to develop a moving line after selecting major place that can represent Feng Shui character. The storytelling composed of the beginning stages, development at age, and ending stages. Scenarios for storytelling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storytelling based on the storytelling technique. The story was based on the feng shui motif and the feng shui factor, but the contents of the feng shui factor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by the spectators Respectively.
      This study gives an sample storytelling techniques of Gyeongbok palace, utilizing pamphlets, Feng Shui bright yard map. Eventually the cultural heritage commentators have to be trained Feng Shui elements. Providing a pamphlet can be a method that explains to general tourists with insufficient knowledge of Feng Shui can enhance their understanding.
      Since, commentary and materials are provided through APP to commentators who should be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reconstruct storytelling scenario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or the condition of tourist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enhanc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alace as cultural heritage and activate the storytelling of palace feng shui for tourists'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feng shui requirements of pala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5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5
      • 2) 연구목적 6
      • 2. 연구범위와 방법 및 구성 6
      • 1) 연구범위 6
      • 2) 연구방법 7
      • 3) 연구 구성 8
      • 4)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풍수지리의 개념과 의의 10
      • 1) 풍수입지의 개념 10
      • 2) 풍수지리와 입지요건 12
      • 3) 풍수입지 선행연구 13
      • 2. 문화관광해설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활용 16
      • 1) 스토리텔링의 개념 16
      • 2) 문화관광해설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동향 18
      • 3. 풍수와 스토리텔링 관련 연구 24
      • Ⅲ. 조선왕조실록 상의 해설 모티브와 실제 궁궐해설 내용의 비교 29
      • 1. 조선왕조실록 상의 궁궐에 관한 기록 29
      • 2.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궁궐 해설의 모티브 46
      • 3. 5대 궁궐 해설의 실제 52
      • Ⅳ.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궁궐의 풍수입지와 풍수요소 77
      • 1. 한양 입지와 풍수적 선정기준 77
      • 2. 경복궁에 적용된 풍수요소 89
      • 3. 창덕궁에 적용된 풍수요소 103
      • 4. 창경궁에 적용된 풍수요소 110
      • 5. 덕수궁에 적용된 풍수요소 114
      • 6. 경희궁에 적용된 풍수요소 120
      • 7. 궁궐의 풍수요소 분류 126
      • Ⅴ. 서울 궁궐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 131
      • 1. 스토리텔링 단계 131
      • 2. 5대 궁궐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의 기본 틀 133
      • 3. 경복궁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 시나리오 136
      • Ⅵ. 요약 및 결론 145
      • □ 참고문헌 149
      • □ Abstract 155
      • □ 부록 15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안창모, "『덕수궁』", 동녘, 2016

      2 최원석, "『왕도풍수』", 문화와 사상, 2003

      3 장태상, "『풍수총론』", 도서출판 정산, 2011

      4 최영조, "『신한국풍수』", 동학사, 1992

      5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민음사, 1984

      6 신영대, "『풍수지리원리』", 경덕출판사, 2004

      7 고전간행회, "신증동국여지승람", 서경문화사), 1994

      8 이원준, "『부동산학 원론』", 박영사, 1991

      9 최혜실, "디지털 스토리텔링", 『정보과학회지』, 21(2), 한국정보과학회, 12-15, 2003

      10 김광욱, "스토리텔링의 개념", 『겨레어문학』, 41, 겨레어문학회, 249-276, 2008

      1 안창모, "『덕수궁』", 동녘, 2016

      2 최원석, "『왕도풍수』", 문화와 사상, 2003

      3 장태상, "『풍수총론』", 도서출판 정산, 2011

      4 최영조, "『신한국풍수』", 동학사, 1992

      5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민음사, 1984

      6 신영대, "『풍수지리원리』", 경덕출판사, 2004

      7 고전간행회, "신증동국여지승람", 서경문화사), 1994

      8 이원준, "『부동산학 원론』", 박영사, 1991

      9 최혜실, "디지털 스토리텔링", 『정보과학회지』, 21(2), 한국정보과학회, 12-15, 2003

      10 김광욱, "스토리텔링의 개념", 『겨레어문학』, 41, 겨레어문학회, 249-276, 2008

      11 이몽일, "『한국풍수사상사』", 명보문화사, 1991

      12 허균, "『서울의 고궁산책』", 효림 출판사, 1994

      13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14 허문경, "「스토리텔링 마케팅」", 『CERI엔터테인먼트연구』, 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연 구원, 261-273, 2007

      15 류수열, "『스토리텔링의 이해』", 글구림출판사, 2007

      16 송효섭, "「스토리텔링의 서사학」", 『시학과언어학』, 18, 시학과 언어학회, 163-180, 2010

      17 송정란,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실제", 문학아카데미, 2006

      18 장지연,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9 이진삼, "한국 전통풍수 통맥법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0 양보경, "「조선시대의 자연인식체계」", 『한국사시민강좌』, 14, 일조각, 70-97, 1994

      21 곽박, "김규순 역, 『청오경 금낭경』", 서울동인학회, 2011

      22 양균송, "김두규 역, 『감룡경 의룡경』", 비봉출판사, 2009

      23 옥한석, 정택동, "「풍수지리의 현대적 재해석」", 『대한지리학회지』, 48(6), 대한지리학 회, 967-977, 2013

      24 이태진, "「한양천도와 풍수설의 패퇴」", 『한국사시민강좌』, 14, 일조각, 44-69, 1994

      25 옥한석, "『풍수지리 시간리듬의 과학』", 이지출판, 2017

      26 강환웅, "조선초기의 풍수지리사상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7 옥한석, 이한방, "『안동에서 풍수의 길을 묻다』", 집문당, 2012

      28 박지선,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체계」", 한국프랑스 학회, 『한국프랑스학회 학술발표지』, 4, 177-190, 2007

      29 이기동, "「현대 한국사회와 풍수지리설」", 『한국사시민강좌』, 14, 일조각, 123-134, 1994

      30 홍만선, "『산림경제Ⅱ, 민족문화추진회(역)",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6

      31 박시익, "풍수지리설의 발생배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32 이규목, "한국고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5

      33 문다미, "전통 궁궐 공간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4 김기덕, "「고려시대 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사상사학』, 17, 2001

      35 김기덕, "「고려시대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사학연구』, 73, 2004

      36 김동욱,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건축역사연구』, 7(2), 1998

      37 오동기, "「호순신의 생애와 저술에 관한 연구」", 『문화재』, 44(3), 국립문화재연구소, 44-61, 2011

      38 홍보남, "한국 풍수설화에 나타난 풍수이론 특징",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대학교 국학과 명 리풍수전공 박사학위논문, 2014

      39 노대환, "「광해군대의 궁궐경영과 풍수지리설」", 『조선시대사학보』, 63, 조선시대사학 회, 225-256, 2012

      40 박석희, "「농촌관광자원의 관광상품화와 그 전략」", 『농어촌관광연구』, 10(1), 한국농어 촌관광학회, 84-100, 2003

      41 옥한석, "「풍수는 시간리듬을 어떻게 조절하는가」", 『대한풍수연구』, 3, 동북아평화와한 반도통일연구원, 3-11, 2017

      42 김기덕, "「고려시대 강도 궁궐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중세사연구』, 31, 2011

      43 김규순, 박현규, "「덕수궁과 경희궁에 대한 궁궐지형 고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2), 한국사진지리학회, 73-87, 2018

      44 김효정, 서동훈, "「문화콘텐츠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민족문화논총』, 43, 영 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471-501, 2009

      45 김기덕, "「고려시대 개경과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사연구』, 127, 2004

      46 홍성서, "조선시대 음양과 지리학 과시과목의 문헌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7 김규순, 박현규, "「경복궁의 풍수지형과 풍수요소에 관한 고찰」", 『한국지리학회지』, 7(2), 한국지리학회, 199-214, 2018

      48 안현정, "「쇼핑공간 디자인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9(6), pp. 307-318, 2008

      49 이성수, "여주시의 입지환경과 신시청사 선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7

      50 한명희, "「<그라운드호그 데이 축제>의 스토리텔링 분석」", 『인문콘텐츠』, 50, 인문콘 텐츠학회, 165-184, 2018

      51 강상대, "「도시정체성 구현을 위한 스토리텔링적용시론」", 『인문콘텐츠』, 10, 인문콘텐 츠학회, 167-186, 2007

      52 옥한석, "「안동의 풍수경관 연구: 음택 명당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8(1), 70-86, 2003

      53 박정해, "「경복궁의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논의와 해석」", 『서울과역사』, 83, 서울시 사편찬위원회, 201-263, 2013

      54 김영모, 최기수, "「조선시대 궁궐공간의 관념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4), 한국조경학회, 141-157, 1998

      55 박재락, "종택마을의 풍수적 입지유형과 구조의 계량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56 장원기, "「풍수지리와 관광자원 세계화를 위한 풍수대토론」", 『대풍련 풍수지리학술세미 나』, 2010

      57 송희은,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적 의미의 사회적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19(2),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44, 2007

      58 이병훈, "농촌관광마을의 스토리텔링 구현을 통한 장소성 확보",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1

      59 임은미, 최인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 구』, 32(4), 한국관광학회, 411-421, 2008

      60 박종민, "프랜차이즈 점포의 매출액과 풍수요인의 상관성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8

      61 최원석, "「경남의 풍수-풍수로 본 경남지역의 조선시대 취락」", 『경남문화연구』,30, 경 남문화연구원, 58-59, 2009

      62 박정해, "「양택풍수와 음택풍수 논리 구성의 특징 비교 분석」", 『국토연구, 84, 95-109, 2015

      63 김영순, 정미강,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의 스토리텔링 과정 연구」", 『텍스트언어학』, 2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67-192, 2008

      64 심우경, 정우진, "「경복궁 아미산의 조영과 조산설(造山說)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 경학회지』, 30(2),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65 이승재, "「관광유형다변화에 따른 문화해설사양성에 대한 제언」", 『디지털융복합연구』, 12(4), 한국디지털정책학회, 467-474, 2014

      66 윤정, "「선조후반-광해군초반 궁궐경영과 ‘경운궁’의 수립」", 『서울학연구』, 42, 서울시 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59-299, 2011

      67 장원기, "「대전의 도시풍수와 풍수관광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대풍련 풍수지리학 술세미나』, 2013

      68 옥한석, "「서울의 기후 지형요소와 경관풍수에 의한 왕궁터의 평가」", 『문화역사지리』, 19(1),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78-90, 2007

      69 고제희, 정우진, "「조선시대 궁궐 정전(正殿)의 배치형식에 투영된 풍수구조」", 『한국전 통조경학회지』, 34(1),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70 최규식, "「불교문화관광자원의 풍수론적 입지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관광정보연 구』, 9, 한국관광정학회, 118-119, 2001

      71 박재희, "서울궁궐의 풍수지리분석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7

      72 김정미, "「미디어에 따른 스토리텔링의 의미변화와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 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3-60, 2006

      73 이화, "「풍수 지침표를 통한 생태관광 해설자원으로의 가능성 연구」", 관광경영학회, 『관광경영연구』, 16(3), 405-429, 2012

      74 노재현, "「‘이산구곡가’를 활동한 ‘마이경승’의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전통조경학회 지』, 36(3), 한국전통조경학회, 63-74, 2009

      75 이희원, "Storytelling 要素가 文化觀光祝祭의 企劃과 祝祭效果에 미치는 影響",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6 옥한석, "「경관풍수의 본질과 명당의 선정기준: 북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 리』, 17(3), 22-32, 2005

      77 권기영, 성유정,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와 스토리텔링의 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한 국의류산업학회지』, 11(2), 한국의류산업학회, 210-218, 2009

      78 손병모, 김동수, "관광 스토리텔링 선택속성이 관광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2), 한국콘텐츠학획, 432-445, 2011

      79 김민정, 현은령, "「체험전시의 스토리텔링기법 연구:과학박물관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1(16), 한국디자인트렌트학회, 103-112, 2007

      80 김귀곤, 전용준, 오구균, 손창구, 김익수, "「창덕궁 연구(Ⅰ) -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전통 공간의 시대적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40, 한국조경학회, 87-100, 1991

      81 이영, 한경호, "「한 중 일 도성계획에서 『주례 고공기』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 163-170, 2011

      82 김기국,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 연구:기호학 이론과 분석모델을 중심으로」", 『한국 프랑스학회 학술발표회, 4, 한국프랑스학회, 151-158, 2007

      83 최진식, "「실내디자인의 감성적 접근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적용방법에 대한 연구」", 『기 초조형학연구』, 8(4), 한국기초조형학회, 731-739, 2007

      84 옥한석, "「공감을 위한 지리와 스토리텔링 : 합강문화제와 영춘 하안단구 시나리오」", 『문화역사지리』, 23(2),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63-78, 2011

      85 김동기,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 인식과 관광경험 구성요인과의 관계 에 관한 연구", 세종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6 이정주, "「세종대-단종대의 정치변동과 풍수지리 : 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36, 한국역사민속학회, 125-160, 2011

      87 박재락, "종택마을의 풍수요소를 적용한 계량적 명당 연구 –대구 근교 종 택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56,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31-263, 2014

      88 이원준, 정상수, "「소비자 브랜드 스토리의 지각된 특성이 전반적인 브랜드 태도에 미치 는 영향」", 『마케팅논집』, 17(2), 한국전략마케팅학회, 57-89, 2009

      89 조경진, 한소영, "「덕수궁(경운궁)의 혼재된 장소성에 관한 연구-대한제국시기 이후를 중 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한국전통조경학회, 45-56, 2011

      90 정용, "韓.中宮闕의 立地및 三朝空間構成에 關한 比較硏究: -景福宮과 紫禁城을 中心 으로",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91 심재열, "풍수사상의 입지선정 영향에 관한 연구: 전통적 풍수지리와 현대적 입지요건의 비교",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2 이훈, 윤현호, 송영민, "「관광지 스토리텔링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관점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6(1), 대한관광경영학회, 267-286, 2011

      93 박성대, 백재권, "「문화유산 관광 스토리텔링에 풍수 적용 방안 연구-경주 교동 최부자 고택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51,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97-331, 2013

      94 정민경, "관광 스토리텔링 특성이 관광지 러브마크에 미치는 영향 : 관광지 매력지각을 조 절효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5 정현숙, "문화관광 해설사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고궁 해설사 제도 및 교육프로 그램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6 양정임, "관광객의 스토리텔링 경험이 관광목적지 브랜드가치 인식과 러브마크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호텔관광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97 김혜진,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가 관광목적지 매력 지각, 브 랜드 자산,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8 강서연, "「周禮『考工記와 후대 해석 -匠人의 서술 중, 조선시대 도시공간의 형성과 관 련된 화두를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206, 2012

      99 진영재, "「문화관광해설 프로그램 만족 향상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에 관한 연구 -문 화유산해설사의 해설기법 개선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정보학회지』, 20, 한국관광정 보학회, 41-71, 2005

      100 김주연, 이민재, 안경모, "「문화관광 해설이 인지, 감정, 몰입 및 문화유산 방문의도에 미 치는 영향 –경복궁, 창덕궁의 문화해설사 서비스 이용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 구』, 35(9), 한국관광학회, 361-381, 2011

      101 김주연, 이민재, 안경모, "「해설매체에 따른 방문객의 해설속성평가, 만족도 및 문화유산 에 대한 태도의 차이 및 영향관계 : 궁의 문화해설사와 해설판을 대상으로」",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11(11), 한국콘텐츠학회, 434-443, 2011

      102 김홍길, 윤병국, "「한국 전통산사(山寺)의 야생차산지 관광테마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 『유라시아 연구』, 15(3), 175-210,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