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 肅宗∼英祖代 近畿地域 老論學脈 硏究 = Research on the old doctrine faction in Seoul and Kyonggi region through King Sookjong to King Yeongjo in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14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배세력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인조반정으로 西人이 집권하고, 숙종대 자체적인 분열을 거쳐 결집한 老論은 宋時烈, 閔維重, 金壽恒 등 산림과 척신이 결합한 ...

      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배세력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인조반정으로 西人이 집권하고, 숙종대 자체적인 분열을 거쳐 결집한 老論은 宋時烈, 閔維重, 金壽恒 등 산림과 척신이 결합한 형태였다. 노론은 閥閱의 핵심을 구성하며 근기지역을 중심으로 유력한 정치세력을 형성하였다. 이들 노론 벌열들의 인맥·학맥·혼맥을 규명하는 작업은 조선후기 지배세력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를 제시한다는 의미가 있다.
      크게 4장으로 구성한 이 연구는 내용상 노론학맥의 정치 사회적 기반을 제시한 부분과 학맥의 추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검토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2장은 노론의 인적 구성과 상호관계를 살피기 위해 숙종대 척신가문의 혼인관계를 분석하였다. 척신을 정점으로 혈연관계를 형성한 가문들은 노론 성립과정에서 주축을 이루었다. 이같은 연대는 향후 전개되는 학맥의 인적인 토대를 제공하였다. 노론의 사회경제적 기반은 別墅와 書院의 경영을 통해 살폈다. 별서는 노론의 정치적 현달에 비례하여 근기 전역에 영역을 확산하며 주요한 생활권을 이루었고, 아울러 書院을 학문활동의 무대로 재정비하여 학맥의 활동기반을 마련하였다.
      3장은 農巖 金昌協(1651~1708)·三淵 金昌翁(1653~1722) 형제의 활동을 중심으로 학맥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벌열가문 출신이었던 이들 형제는 李端相·趙聖期 등으로 대표되는 서울지역 학풍의 세례를 받으며 성장하였다. 農·淵 형제는 당대의 이름난 관료 및 벌열가의 자제들과 당색을 뛰어넘는 교유관계를 맺으며 활동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宋時烈과의 世交를 바탕으로 서울지역의 대표적 문인으로 지우를 받았다. 이처럼 서울학풍과 송시열의 의리론을 절충하였던 농·연형제는 경중 학자들의 학풍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학계를 선도하였다. 비록 숙종대 정치적 격변과정에서 노론 의리론에 준절한 主論者로 드러나는 행적을 보였지만, 이들 형제가 지녔던 성향은 향후 근기지역 洛論學脈 형성의 토대로 작용하였다.
      4장은 낙론의 2세대였던 陶庵 李縡(1680~1746)의 활동을 중심으로 학맥의 전개과정을 살폈다. 이재는 척신인 閔維重의 외손으로 영조전반 근기지역 노론의 대표적 학자로 활동한 인물이었다. 이재는 노론 내의 보수적인 정치론이 강조되던 시기에 활동하였다. 경종년간 신임옥사의 참화를 겪은 노론은 영조즉위이후 급변한 정세하에 토역공세를 개시하였다. 辛壬義理에 대한 명확한 판정을 요구하며 소론 신료들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였다. 때문에 의리의 절충을 표방하며 추진된 蕩平策에 대해 반발하였고, 준절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노론 내 탕평책에 대한 비판하에 이재는 峻論의 대표적 인물로 국왕으로부터 지목받았다. 영조대 출사하지 않았던 이재는 寒泉精舍의 講學을 통해 노론 의리론을 전파하였다. 이재의 활동은 근기지역 노론들을 준론으로 결집시켰고, 향후 노론 집권을 위한 정치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재가 활동하던 당시에는 노론내의 분기 조짐도 표면화하고 있었다. 영조 19년 兩宋의 文廟位次를 둘러 싼 파장은 道統論爭의 단초를 제공해 주는 사건이었다. 위차 논쟁의 여파가 가시지 않는 상황에서 湖西의 韓元震은 노론학계의 湖洛論爭에서 제기된 湖論의 주장을 강화하였다. 한원진은 호론 심성설의 근거를 송시열의 주장에서 구하였고, 나아가 이재를 중심으로 한 洛論의 주장을 異端이라 배척하였다. 이같은 갈등은 경향 노론간의 차별성을 증폭시켰고, 門戶의 분립을 본격화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5장은 이재의 졸후 낙론의 3세대로 활동한 渼湖 金元行(1702~1772)의 활동을 중심으로 학맥의 변천을 살폈다. 石室書院에서 낙론의 산림으로 활동한 김원행은 포용적인 학풍하에 학맥의 지역적 외연을 확장하였다. 또한 淸流를 표방했던 준론의 공론을 취합하여 영조 40년 탕평책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 朴世采의 문묘종향 시도에 대한 반대 여론을 전파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김원행 당대에 노론 내부의 갈등양상은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하고 있었다. 노론 준론계의 명분 확립을 목적으로 시도된 金麟厚 문묘종향론 이 낙론 내부의 반발로 좌절되는 데에서 보듯 자체적인 분열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호락논변의 가열화는 華陽洞書院廟庭碑銘의 刻石 시비에서 나타나듯 상호간을 이단시하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이같은 湖·洛論의 대립은 영조후반 중앙의 척리들이 대립했던 정국상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政爭으로 변질되어 갔다.
      노론내의 다양한 계파는 정조초년 친위세력 재편과정에서 성쇠를 거듭하였다. 김원행의 계열을 잇는 金文淳·徐有隣 등은 정조년간 時派로 결집하여 친위관료화하였고, 또한 동왕 24년 金祖淳의 여식이 世子嬪으로 간택되는 것으로 정점에 이르렀다. 청류적 성향을 지녔던 김원행 계열의 척신화는 폭넓은 저변을 점유했던 낙론계의 동향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dicated to verify the identity of ruling clas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t consists of two steps : the first part is to offer a sociopolitical foundation of the Old Doctrine faction(老論), the second one is to define a...

      This study is dedicated to verify the identity of ruling clas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t consists of two steps : the first part is to offer a sociopolitical foundation of the Old Doctrine faction(老論), the second one is to define a shift of the group along the time.
      In chapter 2, the construction of the Old Doctrine faction is analyzed by marital relations of relatives on queen's side(戚臣家門) in the reign of King Sookjong(肅宗). The consanguinity centered on the relatives composed the principal axis of the Old Doctrine faction and became the basis of future group. The socioeconomic foundation of the group is studied through organizations of Beulseh(別墅) and Seuhwon(書院).
      In chapter 3, the process of forming the Old Doctrine faction is approached by the activities of Kirn Chahg-hyeob(金昌協) and Kim Chang-hueb(金昌翕). Being natives of Bulyul family, they grew up under the influence of academic traditions of Seoul. They broadened their area of activities interacting with young people in the family and famous bureaucrats(閥閱) of the time.
      Befriended with Song Si-yeol(宋時烈), the brothers became recognized as representing pupils in Seoul. Combining an academic atmosphere in Seoul and features of Song's theory of loyalty(義理論), they influenced scholars in Seoul. Although they claimed themselves Jooronja(主論者) exclusively based on the theory of loyalty during political storms in the reign of King Sookjong(肅宗), their academic characteristics encouraged the rise of the Nak School(落論) in Seoul and Kyonggi region.
      In chapter 4, the development of the Old Doctrine faction is observed through Lee-Jae(李縡), a second generation of the Nak school. As a grandson of Min You-joung(閔維重), a maternal relative of queen, he became are presenting scholar in Seoul and Kyonggi region in the early reign of King Yeongjo(英祖).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Yeongjo, he criticized Tangpyong Policy(蕩平策) severely. Without entering the service of government office, he concentrated on the theory of loyalty focusing on HanChung-JungSa(寒泉精舍). He condensed the Old Doctrine faction in Seoul and Kyonggi region into an associate school and prepared its political foundation to centralize power in the future.
      During his era, the sign of stirring up surfaced inside the Old Doctrine faction. The struggle over order of seats in a Moonmeow(文廟) of Yangsong(兩宋) which occurred in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initiated the argument in handing down of Confucianism(道統論爭). In the middle of this struggle, Han Won-jin(韓元震) emphasized on opinions of the Ho School(湖論) and rejected that of the Nak School(落論) as heresy. This conflict amplified the academic differences in the capital and the country and caused the division of schools.
      In chapter 5, a shift in academic atmospheres is researched by activities of Kim Won-hang(金元行), the third generation of the Nak School. Studying at Suksil-seuhwon(石室書院), he defined the local relations of the school with an inclusive attitude. He played a great rolein political opinions of hardliners of the Old Doctrine faction.
      However, during his time, the conflict inside the Old Doctrine faction faced new challenges. The Nak School went through a dissolving movement itself, which explained the breakdown of Kim In-hoo(金麟厚)'s Moonmeow-jonghang theory(門廟從享論). Both schools considered each other as heresy quarreling over WhaYangDong-Seuh Won(華陽洞書院) MeowJungBeeMeuyong(廟庭碑銘). The quarrel developed into a political one reflecting disagreements between relatives on queen's side.
      The followers of Kim Won-hang(金元行) composed the Party of expediency(時派) after reorganization of royal power in the reign of King Cheongjo(正祖). The Party was in the height of their prosperity when a daughter of Kim Jo-soon(金祖淳) was selected as a crown princess in the reign of King Cheongjo. Kim Won-hang's affiliating with relatives of queen was very suggestive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Nak School, which influenced vastly on the lowest stratum of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ⅳ
      • Ⅰ. 緖論 = 1
      • 1. 主題의 選定 = 1
      • 2. 硏究史 檢討 = 5
      • 3. 硏究의 槪要 = 14
      • 目次 = ⅳ
      • Ⅰ. 緖論 = 1
      • 1. 主題의 選定 = 1
      • 2. 硏究史 檢討 = 5
      • 3. 硏究의 槪要 = 14
      • Ⅱ. 政局의 動向과 老論의 成立 = 17
      • 1. 西人의 分岐와 老論의 構成 = 17
      • 1) 肅宗代 政局과 老論의 成立 = 17
      • 2) 老論의 人的 性向과 通婚圈 = 23
      • 2. 老論의 在鄕基盤과 地域別 分布 = 46
      • 1) 別墅의 분포와 經營 = 46
      • 2) 書院의 분포와 運營 = 57
      • Ⅲ. 肅宗後半 近畿地域 老論學脈의 形成 = 66
      • 1. 金昌協 兄弟의 學問的 交遊와 活動 = 66
      • 1) 出身背景과 成長過程 = 66
      • 2) 政治活動과 性格 = 76
      • 2. 交遊人脈과 學脈의 形成 = 90
      • 3. 湖論과의 葛藤과 學脈의 定立 = 102
      • 1) 道峯書院의 宋時烈 入享 논란 = 102
      • 2) 老論內 異見과 餘波 = 108
      • Ⅳ. 英祖請半 近畿地域 老論學脈의 展開 = 116
      • 1. 蕩平策의 推進과 老論의 反應 = 116
      • 2. 李縡의 講學과 山林的 活動 = 127
      • 1) 義理論의 강조와 寒泉精舍의 講學 = 127
      • 2) 門人集團의 構成과 활동 = 142
      • 3. 正統性 論爭과 京鄕老論의 分岐 = 154
      • Ⅴ. 英祖後半 近畿地域 老論學脈의 變遷 = 163
      • 1. 金元行의 政治 學問的 傾向 = 163
      • 2. 石室書院의 講學과 位相 = 170
      • 1) 講學의 再開와 學風 = 170
      • 2) 朴世采 從享論 批判 = 177
      • 3. 學脈의 分岐와 湖論과의 葛藤 = 183
      • 1) 金麟厚 從享論의 挫折과 洛論內 動向 = 183
      • 2) 華陽書院廟庭碑銘 刻石논쟁의 變質 = 191
      • 4. 洛論學脈의 變遷과 向背 = 201
      • Ⅵ. 結論 = 215
      • 附錄 = 224
      • 1. 부록2-1 肅宗代 老論 中央堂上官職 歷任者 名單 = 224
      • 2. 부록2-2 淸風金氏 家系圖 = 227
      • 3. 부록2-3 光山金氏 家系圖 = 228
      • 4. 부록2-4 驪興閔氏 家系圖 = 230
      • 5. 부록2-5 慶州金氏 家系圖 = 231
      • 6. 부록2-6 肅宗代 近畿地城 院宇 分布 : 建立年度 順 = 232
      • 7. 부록3-1 安東金氏 家系圖 = 233
      • 8. 부록4-1 牛峯李氏 家系圖 = 234
      • 9. 金昌協(1651년, 효종 2-1708년, 숙종34)·金昌翕(1653, 효종4~1722,경종 2) 교유인물 = 235
      • 10. 李縡(1680, 숙종 6-1746, 영조 22)의 교유인물 = 243
      • 11. 金元行(숙종 28, 1702~영조 48, 1772)의 교유인물 = 252
      • 〈參考文獻〉 = 257
      • 〈ABSTRACT〉 = 2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