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趙在三의 『松南雜識』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57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趙在三(1808~1866)이 편찬한 『松南雜識』의 백과전서적 類書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여, 이 저서의 서술방식과 구성내용을 통해 19세기 지식사에서 『송남잡지』의 위상을 규명하고자 ...

      본고는 趙在三(1808~1866)이 편찬한 『松南雜識』의 백과전서적 類書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여, 이 저서의 서술방식과 구성내용을 통해 19세기 지식사에서 『송남잡지』의 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재삼은 학계에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인물로 벼슬에 나간 적이 없는 재야의 학자이다. 『林川趙氏世譜』와 『송남잡지』의 내용을 통해 추적해 본 결과, 임천 조씨 가문은 대대로 명망 높은 인물들을 배출하였고, 조재삼의 학문은 이러한 가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집안의 혼인 관계를 통해 형성된 학풍은 조재삼에게 이어져 小論·小北계 지식인 그룹과의 영향 관계가 확인된다.
      『송남잡지』는 조선조 유서의 전통과 발달 과정 속에서 성립되었다. 중국에서 기원한 유서는 송대 이후 대규모의 간행과 보급이 가능해지면서 본격적으로 편찬되었고, 조선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유서가 편찬되었다. 유서는 경사자집의 각종 서적에서 자료를 채록하여 역사 사실, 시문 전고, 박물지리 등 다양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대에 실전된 서적들의 자료를 집록할 수 있어 전대 유서의 다양한 내용과 형식을 계승하며 발전을 거듭해왔다.
      『송남잡지』는 전대의 다양한 저술에서 선별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된 지식을 생성해내고 있다. 특히, 중국 문헌을 인용한 양상을 통해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전대의 유서와 총집을 통해 방대한 문헌을 집록하여 문학 공구서의 역할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문헌의 집대성을 이루고 있다. 둘째, 언어·문자와 관련된 소학류의 사전에 해당하는 서적들을 활용하여 물명류 저술들에서 보이는 어휘사전적인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잡가류와 소설가류에 해당하는 서적들을 선별하여 견문학과 박물지리학을 두루 담아내고 있는 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송남잡지』에서는 유서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箚記의 방식으로 지식을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탄생시켰다. 즉, 여러 서적들에서 해당 항목과 관련된 사항들을 뽑아 저자가 서술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순서대로 배치하여 하나의 항목을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문학 작품을 제시하여 문학적 효용을 추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조재삼은 詩料, 즉 시의 재료에 관심을 가지고 시 작품을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아울러 조선 후기 창작 시화에 보이는 풍속시나 사물시 등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어 이를 통해 사물현상과 생활문화를 이해하려는 태도를 볼 수 있다.
      『송남잡지』는 전체를 아우르는 내용이 名物度數를 포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항들에 대해 유래를 설명하고 그 기원과 변화 양상을 살피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조재삼이 어원을 추정하는 방식은 문헌자료를 근거로 내세우는 경우와 함께 민간에서 전해들은 이야기를 통해 추정하는 경우도 빈번히 등장하는데, 이는 다른 유서와 변별되는 『송남잡지』만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우리나라 고유의 어휘와 전래 문헌의 기록을 중심으로 엮음으로써 유서로서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있고, 각 항목별로 고금의 사적과 물명에 대한 해설을 낱낱이 밝혀 오늘날의 전문용어 해설집과 같은 典故事典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조재삼은 새로운 문물과 기술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고, 중국 외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전시기의 지식정보로부터 당대까지 축적된 정보를 총망라하여 정리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왕의 축적된 지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재적소에 기록하여 저술의식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의 시대 인식뿐만 아니라 당대 현실과 생활상을 바라보는 저간의 사유의 단초까지 엿볼 수 있다.
      조재삼은 지방의 재야 지식인으로써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방편으로 『송남잡지』를 편찬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와 견문지식을 두루 활용하여 폭넓고 유연한 지식을 수용함으로써 기존의 유서와 다른 민간 재야의 문인이 만든 유서의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당시의 사회상과 풍속을 이해할 수 있는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보여주고, 당대의 생활상을 드러내고 있어 19세기적인 현상을 잘 나타내주는 유서로 평가할 수 있다. 『송남잡지』는 근대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전시기의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전근대 지식의 총화를 보여줌으로써 19세기의 학술사, 지식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저술임을 입증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松南雜識』의 작자와 異本 현황 9
      • 1. 『松南雜識』의 작자 9
      • 2. 『松南雜識』의 異本 현황과 구성 25
      • Ⅲ. 조선조 類書의 전통과 『松南雜識』 38
      • Ⅰ. 서론 1
      • Ⅱ. 『松南雜識』의 작자와 異本 현황 9
      • 1. 『松南雜識』의 작자 9
      • 2. 『松南雜識』의 異本 현황과 구성 25
      • Ⅲ. 조선조 類書의 전통과 『松南雜識』 38
      • 1. 類書의 성립과 전통 38
      • 2. 類書의 유통과 『松南雜識』 47
      • 3. 『松南雜識』의 조선 후기 類書와의 관계-체제상의 특징 57
      • 1) 전대 類書의 계승과 『松南雜識』 57
      • 2) 전대 分類의 활용과 배치 64
      • Ⅳ. 『松南雜識』의 서술방식 79
      • 1. 文獻의 인용과 考證 80
      • 2. 箚記 방식의 지향 108
      • 3. 文學 知識의 차용과 變奏 130
      • Ⅴ. 『松南雜識』의 내용상 특징 149
      • 1. 名物度數와 博學 152
      • 2. 언어·문자의 辨證과 고유어 163
      • 3. 서양문물의 見識과 문화의식 180
      • 4. 제도비판과 시대상 195
      • Ⅳ. 결론 210
      • 참고문헌 218
      • Abstract 22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전자판, "null", 文淵閣四庫全書, null

      2 서한석, 정동유, 안대회, "주영편", Humanist, 휴머니스트, 2016

      3 임기중, "松南雜識", 동서문화원, 1987

      4 임형택, "松南雜識", 아세아문화사, 1986

      5 김진봉, "田稅制의 改編", 한국사 13, 국사편찬위원회, 1973

      6 안대회, "담바고 문화사",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5

      7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출판부, 1940

      8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창비, 2008

      9 金致雨, "攷事撮要의 版種考", 한국비블리아 학회, 한국비블리아 학회지, 1972

      10 임형택, "韓國文學史의 視角", 창비, 1984

      1 전자판, "null", 文淵閣四庫全書, null

      2 서한석, 정동유, 안대회, "주영편", Humanist, 휴머니스트, 2016

      3 임기중, "松南雜識", 동서문화원, 1987

      4 임형택, "松南雜識", 아세아문화사, 1986

      5 김진봉, "田稅制의 改編", 한국사 13, 국사편찬위원회, 1973

      6 안대회, "담바고 문화사", 문학동네, 문학동네, 2015

      7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출판부, 1940

      8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창비, 2008

      9 金致雨, "攷事撮要의 版種考", 한국비블리아 학회, 한국비블리아 학회지, 1972

      10 임형택, "韓國文學史의 視角", 창비, 1984

      11 송준호, "朝鮮社會史硏究", 일조각, 1987

      12 안대회, "조선후기시화사", 소명, 2000

      13 박재혁, "彙語의 編成體制", 한국서지학회, 서지학연구 5-6, 1990

      14 옥영정, "조선의 百科知識",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5 김정호, "조선의 탐식가들", 따비, 2012

      16 김용걸, "한자자형의 세계",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2

      17 허흥식, "康侯晉의 생애와 저술", 한국서지학회 , 書誌學報 24, 2000

      18 주영하, "식탁 위의 한국사", 휴머니스트, 2013

      19 이성우, "한국 요리 문화사", 교문사, 1985

      20 김대중, "풍석 서유구 산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1 안대회, "조선의 명문장가들", 휴머니스트, 2016

      22 洪允杓, "物名攷에 대한 고찰", 진단학회 , 震檀學報 118, 2013

      23 안대회, "국역 임하필기 해제", 한국고전번역원, ~2000, 1999

      24 최환, "한중 유서문화 개관",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8

      25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 민족문화연구 47, 2007

      26 심경호, "한국 한문기초학사 2", 태학사, 2012

      27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28 설성경, "『춘향전의 형성과 계통』", 정음사, 1986

      29 정승혜, "物名류 자료의 종합적 고찰", 국어사학회 , 국어사 연구 18, 2014

      30 강민구, 조재삼, "역, 교감국역 松南雜識", 소망출판, 2008

      31 강명관, "조선에 온 서양 물건들", 휴머니스트, 2015

      32 김보성, "이규경의 시가점등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5

      33 진재교, "이조후기 한시의 사회사", 소명출판, 2001

      34 이혜순, "『조선조 후기 여성 지성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7

      35 안재순, "유형원:조선후기 실학의 비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36 강민구, "조선 지식인의 뱀에 대한 의식",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회 , 동방한문학 63, 2015

      37 정만조, "조선 현종조의 私義, 公義論爭",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총 14, 1992

      38 김치우, "攷事撮要의 책판목록연구", 민족문화 1, 1983

      39 한영규, "조희룡의 예술정신과 문예성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40 최윤오, "반계 유형원의 정전법과 공전제",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 역사와 현실 42, 2001

      41 진재교, "조선조 후기 眼鏡과 文化의 生成", 韓國漢文學硏究 62집, 한국한문학회, 2016

      42 손태도, "판소리의 기원으로서의 ‘打令’", 판소리학회 , 판소리연구 8, 1997

      43 강민구, "조선 3대 유서의 형성과 특성", 보고사, 2016

      44 김인규, "귤산 이유원의 임하필기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5 강병수,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의 세계", 동국사학회 , 동국사학 50, 2011

      46 이경미,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한국역사민속학회, 역사민속학 33, 2010

      47 조성산, "17세기 후반 林川趙氏가문의 經世學", 韓國思想史學 30, 2008

      48 강민구, "19세기 朝鮮人의 技術觀과 記述意識", 경북대학교 퇴계 연구소, 한국의 철학 35, 2004

      49 강민구, "松南雜識 <稽古類>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 회 , 한문교육연구 28, 2007

      50 박권수,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소 , 奎章閣 36, 2010

      51 이경미, "松南雜識의 민속문화 자료 검토", 한국역사민속학회 , 역사민속학 35, 2011

      52 주영하, "그림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역사", 사계절, 2005

      53 한미경, "중국 유서의 편찬과 분류에 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韓國書誌學會 , 書誌學硏究 59, 2014

      54 김채식,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5 안정훈, "中國文學과 目錄學에서의 類書의 자리", 한국중국어문학회 , 中國文學 40, 2003

      56 강민구, "조선 3대 類書의 形成經路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 회 , 동방한문학 47, 2011

      57 강민구, "조선 3대 유서의 편찬 의식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강진다산실 학연구원 , 다산과 현대 3, 2010

      58 양영옥, "조선 후기 類書의 전통과 松南雜識", 대동문화연구 원 , 대동문화연구 92, 2015

      59 조성산, "17세기 후반 趙聖期의 學問傾向과 經世論", 韓國史學報 10, 2001

      60 한영규, "漢譯속담집 采葩遺意의 특성과 위상", 국제어문학회 , 국제어문 62, 2014

      61 김일권,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한국역사민속 학회 , 역사민속학 34, 2010

      62 김명호, 한영규, "19세기 필기류 소재 지식정보의 양상", 학자원, 2011

      63 박종성, "兒戱原覽의 文獻的성격에 관한 硏究",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 44, 2010

      64 金永善, "中國類書의 韓國傳來와 受用에 관한 硏究", 韓國書誌 學會, 書誌學硏究 26, 2003

      65 송양섭, "반계 유형원의 公田制論과 그 이념적 지향",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민족문화연구 58, 2013

      66 이민희, "조선시대 서적유통 및 매매의 문화적 의미", 한국문학언어학회, 한국문학언어 학회 , 어문논총 51, 2009

      67 김영진, "조선후기 서적 출판과 유통에 관한 일고찰",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동양한 문학회 , 동양한문학연구 30, 2010

      68 안대회, "和漢三才圖會와 18 19세기 朝鮮의 學問", 國學資料院, 和漢三才圖會 1, 2002

      69 조성산, "조선 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2007

      70 진재교, "동아시아에서의 서적의 유통과 지식의 생성", 한국 한문학회 , 한국한문학연구 41, 2008

      71 金永善, "歷代書目에 收錄된 類書의 分類에 관한 考察", 윤병태 박사정년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韓國書志學論集, 1999

      72 강민구, "朝鮮類書의 武器 防禦具에 대한 기록과 그 의미", 동방 한문학회 , 동방한문학 60, 2014

      73 서유구, 정명현, "임원경제지-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 씨앗을 뿌리 는 사람, 2012

      74 강민구, "類書에 나타난 조선 지식인의 화훼에 대한 인식", 동방 한문학회 , 동방한문학 56, 2013

      75 강민구, "조선후기 類書의 變改樣相:松南雜識의 경우", 동방한 문학회 , 동방한문학 38, 2009

      76 안대회, "18 19세기 조선의 百科全書派와 和漢三才圖會", 대동문화연구원 , 大東文化硏究 제69집, 2010

      77 강명관, "“조선후기 서적의 수입 유통과 장서가의 출현”", 민족문학사학회, 민족 문학사 연구소 , 민족문학사 연구 9, 1996

      78 박경하,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향촌사회 자료의 성격", 한국 역사민속학회 , 역사민속학 33, 2010

      79 강민구, "조선후기 類書의 오류 양상:松南雜識의 경우", 우리한문 학회 , 한문학보 19, 2008

      80 전혜진, "類苑叢寶의 編纂과 刊行에 관한 書誌學的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81 김일권, "조선시대 민속문화 관련 유서류 편찬물 현황과 특성", 한국역사민속학회, 역사민속학 32, 2010

      82 부유섭, "건륭 연간 연행록을 통해 본 중국도서 유입에 대하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대동한문학회 , 대동한문학 34, 2011

      83 최광만, "磻溪隨錄 敎選攷說에 나타난 柳馨遠의 敎育史觀", 교육사학회, 교육사학연구 20-2, 2010

      84 권진옥, "橘山李裕元의 學問성향과 類書 筆記編纂에 관한 硏究", 고려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5

      85 임완혁, "朝鮮前期筆記硏究-朝鮮前期筆記의 性格糾明을 위하여", 성균관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91

      86 박수밀, "이익의 성호사설에 나타난 유추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고전문학과 교육 26, 2013

      87 김영진, "조선 후기 중국 사행과 서책 문화 , 연행의 사회사", 경기문화재단, 2005

      88 심경호, "大東韻府群玉의 구조 , 국문학 연구와 문헌학", 태학사, 2002

      89 양원석, "小學과 說文解字 연구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漢字學", 한국실학학회, 한국실학연구 29, 2015

      90 최환, "한국 유서의 종합적 연구(Ⅰ)-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영남중국어문학회, 중국어문학 41, (a), 2003

      91 최환,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Ⅱ)-한국 유서의 간행 및 특색", 한국중어중문학회, (b) , 중어중문학 32, 2003

      92 안대회, "李睟光의 芝峯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진 단학회 , 진단학보 98, 2004

      93 임형택, "조선의 백과전서 松南雜識 , 우리 고전을 찾아서", 한길사, 2007

      94 손용택, "성호사설 에 나타난 지리관 일고찰-천지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 한국지역지리 학회지 12, 2006

      95 신로사, "金世濂의 『海槎錄』에 관한 연구:『聞見雜錄』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 『한국한문 학연구』56, 2015

      96 진재교, "이조 후기 차기체 필기 연구-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회 , 한국한문 학연구 39, 2007

      97 김희자, "백과사전류로 본 茶문화-五洲衍文長箋散稿를 중심으로", 국학자료원, 2009

      98 김영진, "海巖柳慶種의 잡록 破寂 연구-작가 고증과 內容提要를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 한 문학논집 30, 2010

      99 오영균, "중국 유서의 전통과 운부군옥이라는 책의 역사 , 조선의 百科知識", 한 국학중앙연구원, 2009

      100 신상필, "筆記의 敍事化樣相에 관한 硏究-慵齋叢話와 於于野談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04

      101 제임스, "B. 팔레 저, 김범 역,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유형원과 조선후기 1 2", 도서출판 산처럼, 2002

      102 강민구, "조선후기 類書의 康熙字典과 韻府群玉 인용 양상-松南雜識의 경우", 한국한문교육학회 , 한문교육연구 31, 2008

      103 진재교, "19세기 차기체 필기의 글쓰기 양상-지수염필을 통해서 본 지식의 생성 과 유통", 한국한문학회 , 한국한문학연구 36, 2005

      104 김영진, "조선 후기 실학파의 총서 편찬과 그 의미-삼한총서 소화총서를 중심 으로", 소명출판 , 한국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2005

      105 정종수, "조선후기 類書類의 평생의례-지봉유설 성호사설 송남잡지를 중심으 로", 한국역사민속학회 , 역사민속학 34, 2010

      106 정환국, "袖香編해제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고서해제 6, 연세대학교 국 학연구원편", 평민사, 2007

      107 이래종, "鮮初筆記의 展開樣相에 관한 硏究-太平廣記詳節과 太平通載의 編刊 과 관련하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08 강민구, "星湖僿說의 芝峯類說, 松南雜識의 芝峯類說 星湖僿說 인용 양 상에 대한 연구", 우리한문학회 , 한문학보 24, 2011

      109 진재교, "19세기 서적의 수입과 유통을 통한 지식생성과 동아시아 문화비평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삼국과 한국", 성균관대 출판부,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