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1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稿では、1970年代在日朝鮮人文学の展開を朝鮮文学、在日朝鮮人文学、在日朝鮮人社会の3本の軸に分けて研究した。1960年代半ば、在日朝鮮人文学は朝鮮総連から離れて転換期を迎えた...

      本稿では、1970年代在日朝鮮人文学の展開を朝鮮文学、在日朝鮮人文学、在日朝鮮人社会の3本の軸に分けて研究した。1960年代半ば、在日朝鮮人文学は朝鮮総連から離れて転換期を迎えた。在日朝鮮人文学者たちは日本文学界の各領域で活動し、新たな構図を作った。
      始まりは朝鮮文学からだった。戦後~1960年代半ばまで日本における朝鮮文学研究は日本人と在日朝鮮人が各自研究をする形だった。しかし、1963年に「朝鮮文学の会」が登場し、在日朝鮮人文学者と日本人文学者が共に朝鮮文学を研究する形が見え始めた。その後、日本における朝鮮文学研究は、韓国での研究とは相違点が見られ、日本における研究のみの特徴が表れ始めた。その背景には、「朝鮮文学の会」と在日朝鮮人の存在があった。
      在日朝鮮人文学は、1970年代に日本文壇で全盛期を迎えた。当時、日本では人権運動が相次ぎ、マイノリティ問題が社会の争点となっていた。こんな中、日本文壇は文学賞を利用してマイノリティ文学を包み込もうとした。その一環として、1971年に李恢成に第66回芥川賞を授賞した。李恢成は日本文壇のこのような流れを事前に察知し、受賞の可能性を高くする要素を取り入れた作品「砧をうつ女」を書き上げた。その結果、李恢成は芥川賞を受賞し、韓国入国という個人の目的を達成した他、1970年代の朝鮮文学の全盛期を率いた。
      在日朝鮮人文学は、根強い社会の差別、人権問題など様々なマイノリティ問題を全面に出す特徴があった。一方、同時代の在日朝鮮人作家金鶴泳の作品は、一般的な在日朝鮮人文学とは相違点があった。金鶴泳は吃り、民族主義、父を題材にした作品で個人の内面の問題を取り上げた。内向性から始まった問題意識が、社会問題にまで範囲を広げていく傾向は、同時代の在日朝鮮人文学とは異なるものだった。このような特徴は、金鶴泳の4作目の芥川賞候補作だった「鑿」ではっきり表れている。「鑿」で金鶴泳は個人の吃りの根本的な原因は社会差別にあり、この問題は代々続くという問題を取り上げ、個人の内面と社会の問題に同時に触れた。それまで1970年代の日本文壇は「内向の時代」と定義されていた。しかし、金鶴泳で代表される在日朝鮮人文学は既存の定義に反論を提示し、日本文壇と在日朝鮮人文学の新たな関係性を構築した。1970年代の在日朝鮮人文学は、日本文壇という新しい土壌で全盛期を迎えると同時に、在日朝鮮人文学を通じて日本文壇が新しく定義される結果を生んだ。
      在日朝鮮人社会も1970年代に転換期を迎えた。その具体的な模様は在日朝鮮人雑誌『まだん』で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1973年創刊の『まだん』は、紙面でイデオロギー問題を排除し、民族の伝統と結婚、帰化、教育のような在日朝鮮人社会の問題を取り上げた。同時に、人権運動、慰安婦問題など日本を批判できる様々な談論を通じて在日朝鮮人社会の団結を図った。このような『まだん』の特徴は、政治的傾向が強かった従来の在日朝鮮人雑誌と最も異なる点であり、1970年代における在日朝鮮人雑誌メディアの新たな変化を確認できる証でもある。
      上述したように1970年代は在日朝鮮人文学・社会の転換期であった。在日朝鮮人たちは日本という新たな土壌で文学を通じて新しい生き方を模索した。本研究では、朝鮮文学、在日朝鮮人文学、在日朝鮮人社会を共時的に分析し、1970年代における在日朝鮮人文学の具体的な模様、克服と展開を総合的に究明することができた。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의 전개를 조선문학, 재일조선인 문학, 재일조선인 사회 세 축으로 나누어 연구했다. 1960년대 중반 재일조선인 문학은 조총련에서 벗어나며 전환기를...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의 전개를 조선문학, 재일조선인 문학, 재일조선인 사회 세 축으로 나누어 연구했다. 1960년대 중반 재일조선인 문학은 조총련에서 벗어나며 전환기를 맞이했으며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은 일본문학계의 각종 영역에 활동하며 새로운 구도를 만들었다.
      그 시작은 조선문학이었다. 전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일본의 조선문학 연구는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이 각각 연구하는 양상이었다. 그러나 1963년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学の会)>가 등장하며 재일조선인 문학자와 일본인 문학자가 함께 조선문학을 연구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에서의 조선문학 연구는 한국과 차별화를 보이며 일본만의 특징을 나타냈으며 그 이면에는 <조선문학의 회>와 재일조선인의 역할이 있었다.
      재일조선인 문학은 일본문단에서 1970년대 전성기를 맞이한다. 당시 일본에서는 연이은 인권운동의 발생으로 마이너리티 문제가 사회적 화두였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문단은 문학상을 이용해 마이너리티 문학을 포섭하려했으며 그 일환으로 1971년 이회성(李恢成)에게 제66회 <아쿠타가와상(芥川賞)>을 수여한다. 그러나 이회성은 일본문단의 이러한 움직임을 사전에 파악하여 수상가능한 요소를 반영해 「다듬이질하는 여인(砧をうつ女)」을 창작했다. 그 결과 이회성은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했으며 이후 한국입국이라는 개인목적을 달성하고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의 전성기를 이끈다.
      재일조선인 문학은 강한 사회차별, 인권문제 등 각종 마이너리티 문제를 전면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동시대 재일조선인 작가 김학영(金鶴泳)은 이와 다른 양상을 보인다. 김학영은 말더듬이, 민족주의, 아버지를 소재로 개인의 내면문제를 전면화했다. 내향성에서 출발한 문제의식은 사회문제로 확대되며 동시대 재일조선인 문학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김학영의 네 번째 <아쿠타가와상> 후보작 「끌(鑿)」에서 잘 드러난다. 「끌」에서는 개인의 말더듬이의 근본원인이 사회차별에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대를 건너 계속된다는 문제를 다루며 개인내면과 사회문제를 동시에 다루었다. 지금까지 1970년대 일본문단은 ‘내향의 시대’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김학영으로 대표되는 재일조선인 문학을 통해 기존의 정의를 반박하는 동시에 일본문단과 재일조선인 문학의 새로운 관계성을 정립할 수 있었다.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은 일본문단이라는 새로운 토양에서 전성기를 구가하는 동시에 재일조선인 문학을 통해 일본문단을 새롭게 정의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재일조선인 사회 역시 1970년대 전환기를 맞이했으며 구체적 양상은 재일조선인 잡지 󰡔마당(まだ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73년 창간된 󰡔마당󰡕은 지면에서 이데올로기 문제를 배제하고 민족전통과 결혼, 귀화, 교육과 같은 재일조선인 사회문제를 다루었다. 동시에 인권운동, 위안부 문제와 같은 각종 일본비판 담론을 통해 재일조선인 사회의 단합을 도모했다. 이러한 󰡔마당󰡕의 특징은 정치일변도 성향이 주를 이룬 기존 재일조선인 잡지들과의 가장 큰 차이이자 1970년대 재일조선인 잡지 미디어의 새로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이다.
      이처럼 1970년대는 재일조선인 문학과 사회의 전환기였으며 재일조선인들은 일본이라는 새로운 토양에서 문학을 통해 새로운 삶을 개척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문학, 재일조선인 문학, 재일조선인 사회를 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의 구체적 양상과 극복과 전개를 종합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의의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5
      • 3. 논문의 구성 및 연구방법 27
      • Ⅱ. 본론 34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의의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5
      • 3. 논문의 구성 및 연구방법 27
      • Ⅱ. 본론 34
      • 제1부 1970년대 일본문단과 조선문학, 재일조선인 문학 34
      • 제1장 전후 일본 사회와 조선문학 34
      • 제1절 재일조선인 문학의 형성과 사회 상황 34
      • 1. 전후 일본사회의 구축과 전개 34
      • 2. 전후 분단된 조국과 한국의 사회탄압 40
      • 3. 재일조선인 사회의 형성과 구도변화 44
      • 4. 재일조선인 문학 형성사 52
      • 제2절 전후 일본에서의 조선문학 56
      • 1. 전후 일본에서의 조선문학 연구 동향 56
      • 2. 1960년대 이후 한국과 조선문학 58
      • 3. 일본에서의 조선문학 전개양상 60
      • 제3절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学の会)와 <조선문학―소개와 연구(朝鮮文学―紹介と研究)> 65
      • 1. <조선문학의 회>의 등장과 전개 65
      • 2. <조선문학―소개와 연구>의 등장과 전개 69
      • 3. <조선문학―소개와 연구>의 조선문학, 재일조선인문학 76
      • 4. 조선문학과 재일조선인 문학의 연계 78
      • 제2장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의 전개 90
      • 제1절 「우리 청춘의 길목에서(われら青春の途上にて)」와 인권운동 90
      • 1. 이회성의 등장과 재일조선인 문학의 전개 90
      • 2. 김희로 사건 이후 담론 생성과 전개 94
      • 3. 재일조선인 청년들과 「우리 청춘의 길목에서」 96
      • 4. 「우리 청춘의 길목에서」와 김희로 사건 101
      • 제2절 「다듬이질하는 여인(砧をうつ女)」과 조선(朝鮮) 109
      • 1. 작품소개 및 줄거리 109
      • 2. 작품의 주제와 ‘어머니’ 111
      • 3. 작품 속 ‘조선상’의 구현양상 114
      • 4. 작품 속 가족 구현 형태와 재일조선인 2세대의 조선 118
      • 제3절 <아쿠타가와상>과 이회성(李恢成) 122
      • 1. <아쿠타가와상>의 ‘정치성’과 오키나와 문학 122
      • 2. 「다듬이질하는 여인」과 일본문단의 움직임 132
      • 3. 이회성과 「다듬이질하는 여인」 재평가 145
      • 4. <아쿠타가와상> 수상 이후의 이회성과 한국 149
      • 제4절 김학영(金鶴泳)과 1970년대 일본문단 158
      • 1. 김학영 소개 및 문학적 특징 158
      • 2. 「끌(鑿)」의 인물상과 재생산되는 마이너리티 163
      • 3. 김학영을 통해 본 재일조선인 문학 그리고 일본문단 173
      • 제2부 1970년대 재일조선인 사회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184
      • 제1장 재일조선인 사회상과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184
      • 제1절 <마당>의 서지고찰 및 특징 184
      • 1. 재일조선인 잡지의 흐름과 계보 184
      • 2. <마당>의 창간과 서지고찰 196
      • 3. <마당>과 <삼천리(三千里)>의 서지사항 및 특징 비교 198
      • 4. 정치문제를 둘러싼 <삼천리>와의 지상논쟁 202
      • 제2절 전통의 활용과 민중문화 207
      • 1. <마당>의 특징과 전통문화 207
      • 2. 고전설화, 조선사, 한시 담론의 활용과 전개 210
      • 3. 문화유산의 활용과 민중문화의 형성 213
      • 4. <마당>의 전통담론의 의도 및 의의 216
      • 제3절 <마당>과 결혼·국적·귀화 220
      • 1. 재일조선인 사회의 결혼 및 국적 변동 상황 220
      • 2. 결혼 담론을 통한 일본비판 224
      • 3. 재일조선인 사회의 변화 촉구 및 교육을 통한 사회운동 전개 229
      • 4. 결혼 담론의 의도 및 의의 233
      • 제2장 <마당>의 일본비판 238
      • 제1절 <마당>의 문학작품과 사회문제 238
      • 1. 「안녕히 아버지(アンニョンヒアボジ)」와 귀화하는 민족 238
      • 2. 「무화과(無花果)」와 재일조선인 교육문제 244
      • 3. 문학작품의 특징과 <마당>의 지향점 248
      • 제2절 박종석(朴鐘碩)의 히타치투쟁과 <마당>의 인권운동 251
      • 1. 재일조선인 인권 운동과 히타치투쟁 251
      • 2. 「히타치취업차별재판」 특집을 통해 제시하는 인물상 256
      • 3. <마당>이 제시한 재일조선인 사회 통합 방법과 목적 262
      • 제3절 위안부 특집 연재와 김일면(金一勉) 266
      • 1. 위안부 문제의 등장과 재일조선인 사회의 움직임 266
      • 2. 김일면의 위안부 연재와 전개양상 271
      • 3. ‘위안부 특집’의 영향과 한국 278
      • Ⅲ. 결론 286
      • <참고문헌> 295
      • <부록> 312
      • <초출일람> 319
      • <국문초록> 321
      • <日本語抄録> 32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임종국, "친일문학론",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66

      2 임종국, "정신대 실록", 정신대 실록 (일월서각, 1981

      3 김정면, 임종국, "데이 신 따이", 임종국(역) 데이 신 따이 (일월서각, 1990

      4 유숙자, "「金鶴泳 論」", 比較文學 24(韓國比較文學會, 1999

      5 원덕희, "「金鶴泳試論」", 日本研究 6(중앙대학교 일보연구소, 1991

      6 김정면, "임종국(역), 정신대", (일월서각, 1992

      7 가와무라 미나토, "전후문학을 묻는다", (소화, 2005

      8 김윤식,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일지사, 1974

      9 김환기,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새미, 2006

      10 하상일, "「김시종과 진달래 」", 한민족문화연구 57(한민족문화학회, 2017

      1 임종국, "친일문학론",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66

      2 임종국, "정신대 실록", 정신대 실록 (일월서각, 1981

      3 김정면, 임종국, "데이 신 따이", 임종국(역) 데이 신 따이 (일월서각, 1990

      4 유숙자, "「金鶴泳 論」", 比較文學 24(韓國比較文學會, 1999

      5 원덕희, "「金鶴泳試論」", 日本研究 6(중앙대학교 일보연구소, 1991

      6 김정면, "임종국(역), 정신대", (일월서각, 1992

      7 가와무라 미나토, "전후문학을 묻는다", (소화, 2005

      8 김윤식,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일지사, 1974

      9 김환기,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새미, 2006

      10 하상일, "「김시종과 진달래 」", 한민족문화연구 57(한민족문화학회, 2017

      11 김환기, "「김학영 문학과 '벽'」", 일본학 19(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00

      12 김학영, "강상구(역), 얼어붙은 입", (한진출판사, 1985

      13 윤정모,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고려원, 1988

      14 윤정모,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인문당, 1982

      15 김학영, "하유상(역), 얼어붙는 입", (화동, 1992

      16 이한창, "재일 동포문학의 연구 입문", 재일 동포문학의 연구 입문 (제이앤씨, 2011

      17 박광현, "「귀국사업과 ‘니가타’」", 동악어문학 67(동악어문학회, 2016

      18 다카하시 도시오, "김재원 외(역), 호러국가 일본", (비(도서출판b), 2012

      19 김환기,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 론」", 日語日文學硏究 39(한국일어일문학회, 2001

      20 이한창,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 1",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 1 (제이앤씨, 2008

      21 하상일, "「1960년대 문학비평과 한양 」", 어문논집 50(민족어문학회), 2004

      22 임상민, "「<재일문학>과 김희로 사건」", 일본문화학보 69(한국일본문화학회, 2016

      23 김윤식, "「日本文壇과 在日僑胞作家」", 세대 (세대사), 1972

      24 이회성, "이호철(역), 다듬이질하는 여인", (정음사, 1972

      25 한선미, "「미점령기 오키나와 소설론」",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26 박광현, "「재일의 심상지리와 사할린」", 한국문학연구 47(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 소, 2014

      27 이한창, "「재일 교포문학의 주제 연구」", 日本學報 29(한국일본학회, 1992

      28 김인덕,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연구",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연구 (국학자료원, 1996

      29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 연구팀,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2 소설", (소명출판, 2017

      30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 연구팀,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3 소설", (소명출판, 2017

      31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 연구팀,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4 평론", (소명출판, 2017

      32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의 글로컬리즘과 문화정치학 연구팀, "재일디아스포라 문학 선집 5 연구", (소명출판, 2017

      33 신상웅, "「교포작가 이회성씨가 남긴 것」", 새가정 8 9월호(통권 206호)(새가정사, 1972

      34 김윤식, "비도 눈도 내리지 않는 시나가와 역", 비도 눈도 내리지 않는 시나가와 역 (솔, 2005

      35 이한창, "「재일동포문학의 작품성향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36 김계자, "「1950년대 재일조선인의 문화운동」", 아시아문화연구 44(가천대학교 아시 아문화연구소), 2017

      37 김인덕, "「일본 우익과 재일조선인의 역사」", 일본학 36(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3

      38 김환기, "「재일 코리안 문학과 디아스포라」", 일본학 32(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39 이한창, "「재일동포 작가와 <아쿠타가와상>」", 외국문학 51(열음사, 1997

      40 이회성, "「조국의 흙을 만져보며」 월간 중앙", (중앙일보사), 1972

      41 신재민, "「재일조선인 잡지 민도(民涛) 연구」", 일본학보 115(한국일본학회, 2018

      42 신재민, "「재일조선인 잡지 민도(民涛)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6

      43 오구마 에이지, "조현설(역),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소명출판, 2003

      44 이승진, "「문예지를 통해 본 재일의식의 양상」", 일본어문학 67(한국일본어문학회, 2015

      45 박정이, "「 季刊三千里 が語る在日の日本定住」", 日本文化學報 62(한국일본문화학회, 2014

      46 이한창, "「이회성의 전기 작품 활동과 문학세계」", 日本語文學 72(한국일본어문학 회, 2017

      47 김환기,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형성과 분화」", 일본학보 74(한국일본학회, 2008

      48 송석원,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회고와 전망」", 아태연구 13(경희대학교 아태지 역연구원, 2006

      49 김환기, "「전후 재일 코리안 문학의 변용과 특징」", 일본학보 86(한국일본학회, 2011

      50 김환기,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과 [제주 4.3사건]」",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1 (한중인문학회, 2009

      51 이승진, "「재일문학에 나타난 ‘집’이라는 장소」", 한국학연구 43(인하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016

      52 이한창, "「작품 발표의 장으로서의 민주조선 연구」", 일본어문학 60(한국일본어문 학회, 2014

      53 장사선, "「재일 한민족 문학에 나타난 내셔널리즘」", 한국현대문학연구 21(한국현대 문학회, 2007

      54 최영호, "「조총련에 의한 민족교육의 어제와 오늘」", 황해문화 47(새얼문화재단, 2005

      55 다케다 세이지, "재일조선인문화연구회(역), 재일이라는 근거", (소명출판, 2016

      56 孫東周, 金玉枝, 申宗大, 沈素暎, 朴美瑩, "「 季刊三千里 季刊青丘 に関する一考察」", 일 어일문학 58(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57 박대현, "「 다리 誌의 현실참여와 행동주의의 의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0(한국 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58 이한창, "「아쿠타가와 상을 통해 본 재일동포 문학」", 일본학 19(동국대학교 일본학 연구소, 2000

      59 최영호, "「재일코리안, 그 Locality 역사에 대한 소묘」", 로컬리티의 인문학 2(부산 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60 한승옥,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민족문학적 성격연구", (국학자료원, 2007

      61 김학렬,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연구",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연구 (국학자료원, 2007

      62 곽형덕, "「1940, 식민지 조선문학의 행방을 둘러싸고」", 한민족문화연구 52(한민족 문화학회, ), 2015

      63 이호철, 이회성, "「在日작가 李恢成―소설가 李浩哲씨 대담」", 동아일보 (동아일보사), 1995

      64 罔山善一郞, "「日本에서의 한국문학 연구현황과 전망(2)」", 語文論集 34(중앙어문학 회, 2006

      65 하상일, "「1960년대 한양 소재 재일 한인 시문학 연구」", 韓國文學論叢 47(한국 문학회), 2007

      66 박광현,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창작과비평 Vol.32 No.3(창비, 2004

      67 이승희, "「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 일본학 43(동국대학교일본학 연구소, 2016

      68 양명심, "「이회성의 새로운 상상력과 구성의 전환점」", 日本文化學報 56(한국일본문 화학회, 2013

      69 남상욱, "「일본인의 식민주체로서의 기억과 그 표상」", 황해문화 88(새얼문화재단, 2015

      70 이재봉, "「해방직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자리 만들기」", 韓國文學論叢 74(한국문학 회, 2016

      71 이한정, "「 민주조선(民主朝鮮) 과 "재일문학"의 전개」", 일본학 39(동국대학교 일 본학연구소, 2014

      72 임상민, "「金嬉老事件と<反共>―映画「金の戦争」論」", 일본문학학보 51(한국일본문 화학회, 2011

      73 박광현, "「재일한국인, 조선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일본연구 13(고려대학교 일 본연구센터, 2010

      74 김충영, "「노(能)에 그려진 「기다리는 여인들」의 恨」", 일본학보 106(한국일본학회, 2016

      75 이한창, "「일기와 작품을 통해 본 김학영의 자살 원인」", 일본어문학 47(한국일본어 문학회, 2010

      76 송하춘, "「역사가 남긴 상처와 민족의식―이회성론 (1)」", 한국학연구 10(고려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1998

      77 송하춘, "「역사가 남긴 상처와 민족의식―이회성론 (2)」", 한국학연구 11(고려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1999

      78 박유하, "「<재일문학>의 장소와 교포 작가의 <조선>표상」", 일본학 22(동국대학 교 일본학연구소, 2003

      79 허명숙, "「민족 정체성 서사로서 재일동포 한국어 소설」", 현대소설연구 40(한국현 대소설학회, 2009

      80 서기재, "「1960-70년대 일본 아동문학과〈전쟁아동문학〉」", 日本語文學 62(한국 일본어문학회), 2014

      81 나승회, "「재일한인 잡지의 변화의 양상과 청구 의 역할」", 일어일문학 36(대한일 어일문학회, 2007

      82 다카하시 도시오, "곽형덕(역), 아무도 들려주지 않았던 일본현대문학", (글누림, 2014

      83 박정이, "「이회성 문학의 특징―시대별 특징을 중심으로」",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 포라 1 (제이앤씨, 2008

      84 윤명숙, "최민순(역),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 제도", (이학사, 2015

      85 박광현, "「재일조선인의 ‘전장(戰場)’과 ‘전후(戰後)’」", 한국학연구 41(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86 최영호, "「재일한국인의 일본 지방참정권, 그 현황과 전망」", 21세기정치학회보 Vol. 14 No.3(21세기정치학회, 2004

      87 손동주, 이상수, "「 계간 삼천리 를 통한 재일한인의 커뮤니티 구축」", 동북아시아문화 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 No.5(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2013

      88 최영호, "「재일교포사회의 형성과 민족 정체성 변화의 역사」", 한국사연구 140(한국 사연구회, 2008

      89 손남훈, "「 한양 게재 재일 한인 시의 주체 구성과 언술 전략」", (부산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6

      90 이승진, "「문예지 진달래(ヂンダレ) 와 재일여성문학의 발현」", 일본어문학 63(한국 일본어문학회, 2014

      91 양명심, "「이회성(李恢成)의 청춘소설을 통해서 본 일본 전후」", 일본어문학 52(한 국일본어문학회, 2012

      92 中村福治, "「김석범 문학이 재일조선인 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치」", 용봉인문논총 29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93 권성우, "「김학영의 얼어붙은 입 에 대한 세 가지 해석과 논점」", 한민족문화연구 60(한민족문화학회, 2017

      94 김계자, "「재일코리언 문학의 당사자성―양석일의 밤을 걸고 」", 일본학 41(동국대 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95 이승진, "「현대 일본 대중문화에 재현된 ‘재일남성상’ 고찰」", 일본학 43(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96 김계자, "「장혁주의 「춘향전을 통해 본 제국과 식민지의 변주」", 비교문화연구 38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97 김종회, 이영미, "「재일조선인 귀국(歸國)문제를 기억하는 문화적 방식」", 현대소설연 구 64(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98 최영호, "「在日韓人 民族敎育運動에 나타난 對外連帶 네트워크」", 한일민족연구 13 (한일민족문제학회, 2007

      99 변화영, "「고백과 용서의 담론―이회성의 백 년 동안의 나그네 」",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 3 (제이앤씨, 2008

      100 김계자, "「환기와 소거, 그리고 일본어문학―김석범의 1945년 여름", 한림일본학 25(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2014

      101 김환기, "「김학영 문학과 '恨'―‘恨'의 내향적 승화를 중심으로」", 일본학 21(동국대 학교 일본학연구소, 2002

      102 지은숙,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본 재일조선인 여성의 결혼문제」", 在外韓人硏究 25 (在外韓人學會, 2011

      103 전갑생, "「오무라(大村)수용소와 재일조선인의 강제추방 법제화」", 역사연구 28(역 사학연구소, 2015

      104 최영호, "「일본패전 직후 참정권문제에 대한 재일한국인의 대응」", 한국정치학회보 34(한국정치학회, 2000

      105 강재언, 김동훈, "비서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 치는 영향", 재일 한국 조선인―역사와 전망 (소화, 1999

      106 임상민, "「梶山季之と金嬉老─「俺は半島人―小説⋅金嬉老」論」", 동북아문화연구 3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107 이승희, "「식민지 시기 재일조선인에 대한 일본 치안당국의 인식」", 한일관계사연구 44(한일관계사학회, 2013

      108 원덕희, "「金鶴泳文學硏究―作家의 經驗이 갖는 의미를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4

      109 박정이, "「김학영문학에 있어 ‘정체를 알 수 없는’ 표현의 의미」", 일어일문학 34(대 한일어일문학회, 2007

      110 김환기,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계의식과 ‘트랜스네이션’」", 횡단인문학 Vol.1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111 후지무라 마이, "「1950년대 일본의 탄광노동자 화가 센다 우메지(千田梅二)」", 인물 미술사학 8(인문미술사학회), 2012

      112 이승진, "「문예지 진달래(ヂンダレ) 에 나타난 ‘재일’의식의 양상」", 일본연구 37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113 최범순, "「 계간 삼천리 (季刊三千里)의 민족정체성과 이산적 상상력」", 일본어문학 41(한국일본어문학회, 2009

      114 이회성, "「[이 사람의 삶] 23년 만에 조국 찾은 재일 동포 작가 이회성」", 시사저널 (㈜시사저널사, 1995

      115 신재민, "「박중호의 回帰 론―민족사로서의 글쓰기와 정주의 재일성」", 일어일문학 77(대한일어일문학회, 2018

      116 오오야 치히로(大屋千尋), "「잡지 내선일체(內鮮一體) 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양상 연구」", 사이間SAI 1(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6

      117 최영호, "「해방 직후의 재일한국인의 본국 귀환, 그 과정과 통제구조」", 한일관계사연 구 Vol.4(한일관계사학회, 1995

      118 송인선, "반역하는 “단카이(團塊)” -전공두(全共鬪)와 일본의 대중사회", 현대문학 의 연구 50(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119 윤건차, "박진우, 박이진, 남상욱, 황익구, 김병진(역), 자이니치의 정신사", (한 겨레출판, 2016

      120 마이, 후지무라, "「‘정치의 계절’ 1950년대 일본의 사회참여미술에 관한 연구」", (국민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121 이승하, "「재일교포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민단 조총련 간의 갈등 양상」", 한국문예창 작 11(한국문예창작학회, 2012

      122 양명심, "「이회성(李恢成)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정체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123 김환기,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혼종성’과 세계문학으로서의 가치」", 일본학보 7 8(한국일본학회, 2009

      124 김용안, "「 계간 삼천리 연구―「우키시마마루호 폭침」 기사를 중심으로」", 日本硏究 72(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125 오미정, "「전후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수용―잡지 민주조선 을 중심으로」", 우리 어문연구 40(우리어문학회, 2011

      126 김혜원, "「역사의 빛 아래 드러나야 할 한―《군대 위안부》의 저자 김일면」", 딸들 의 아리랑 (허원미디어, 2007

      127 장사선, "「일본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역사적 반성 및 협동 연구 전망」", 한국 현대문학연구 30(한국현대문학회, 2003

      128 홍선영, "「기쿠치 간(菊池寛)과 조선예술상―제국의 예술제도와 히에라르키」", 日本 文化學報 50(한국일본문화학회, 2011

      129 이미주, "「잡지 미디어를 통해 본 재일한인 문학― 계간 삼천리 를 중심으로」", 고려 대학교 대학원, 2012

      130 소명선, "「재일한인 에스닉 미디어의 계보와 현황―에스닉 잡지를 중심으로」", 일어 일문학 30(대한일어일문학회, 2006

      131 유지아, "「한국과 일본에서의 한일회담 반대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의」", 한일 관계사연구 53(한일관계사학회, 2016

      132 김환기, "「 청구(靑丘) 와 재일코리안의 자기정체성―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일본 연구 22(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133 손지연, "「류큐 오키나와(인)의 아이덴티티 형성사―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일본 학연구 33(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134 김주영, "「이회성의 유역으로 연구―죄의식 서술을 통한 이동 서사의 방법화」", 日 語日文學硏究 Vol.102 No.2(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135 최영호, "「재일한국인의 참정권에 대한 한일 양국의 정치적 태도에 관한 연구」", 영 산논총 7(영산대학교, 2001

      136 손남훈, "「 한양 게재 시편의 변화 과정 연구―庚連과 鄭英勳의 시를 중심으로」", 韓國文學論叢 70(한국문학회, 2015

      137 김환기, "「김학영 문학론―작가적 고뇌의 원질(原質), 그로부터의 해방구 모색」", 한 일민족문제연구 9(한일민족문제학회, 2005

      138 마경옥, "「오무라(大村)조선문학회 기관지 오무라문학(大村文学) 에 관한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45(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139 서세림, "「한국소설과 재일조선인 귀국사업―체제의 의도와 주체의 의지 사이」", 한 국문예비평연구 57(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140 김주영, 양명심, "「재일문예 민도(民濤) 연구― 민도 의 서지고찰과 이회성의 문제의 식」", 일본어문학 62(한국일본어문학회, 2014

      141 장문석, "「1960~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學の會)’」", 한국학연구 40(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142 송하춘, "「재일 한인소설의 민족 정체성에 관한 연구―이회성의 소설을 중심으로」", 韓民族語文學 38(韓民族語文學會, 2001

      143 이재봉, "「해방 직후 재일한인 문단과 "일본어" 창작문제― 朝鮮文藝 를 중심으로」", 韓國文學論叢 42(한국문학회, 2006

      144 손동주, 이수진, 이상수, 신종대, "「재일한인의 커뮤니티 구축― 계간 삼천리 를 통하여 본 정책변화를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35(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145 오미정, "「1950년대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특징― 新日本文學 과 人民文學 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5(한국근대문학회), 2012

      146 유은숙, "「李恢成의 다듬이질하는 여인 연구―재일교포 작가로서의 특수성을 중 심으로」",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7 신승모, "「재일문예지 민도(民涛) 의 기획과 재일문화의 향방―서지적 고찰을 중 심으로」", 일본학연구 43(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148 김형규, "「귀국 운동과 ‘재일(在日)의 현실―재일본문학예술가동맹의 소설을 중심으 로」", 한중인문학연구 15(한중인문학회, 2005

      149 박광현, "「재일문학의 2세대론을 넘어서―‘역사화와 영역화’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 로」", 일어일문학연구 53권 2호(한국일어일문학회, 2005

      150 김성환, "「일본이라는 타자와 1960년대 한국의 주체성―한일회담에 관한 논의를 중 심으로」", 어문론집 61(중앙어문학회), 2015

      151 가네코 루리코(金子るり子), "「 季刊三千里 における日本進歩的知識人の「在日朝鮮人 観」―1975~1977年を中心に」", 일본어문학 79(일본어문학회), 2017

      152 남상욱, "「디스토피아의 언어세계―다와다 요코의 「불사의 섬」과 「헌등사」를 중심 으로」", 비교문화연구 51(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153 김계자, "「조선과 일본에 사는 시인 김시종―장편시집 니이가타 에 표현된 ‘재일’ 의 의미」", 비교문화연구 45(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154 김주연, "「李恢成의「砧をうつ女」과 「人面の大岩」硏究―在日의 記憶과 回歸를 中心 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5 고명철, "「1960년대의 한양 에 실린 소설의 문제의식― 한양 의 매체사회학적 위 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 46(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156 곽형덕, "「전후 일본의 ‘반지성주의’와 마이너리티―양정명과 도미무라 준이치를 중 심으로」", 일본사상 34(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8

      157 김정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전개와 문제인식에 대한 연구―정대협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58 박정이, "「 季刊三千里 が語る日本人の朝鮮蔑視観―日帝強占期に創造された「停滞論」 を基に」", 일본근대학연구 53(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159 지충남,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이주와 집거지 형성 비교 연구―올드커머와 뉴커머 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0권 2호(대한정치학회, 2012

      160 이한창, "「소외감과 내향적인 김학영의 문학세계―「얼어붙은 입」과 「흙의 슬픔」을 중심으로」", 일본학보 37(한국일본학회, 1996

      161 양호민, "「한국현대사의 재조명;"민주기지"의 남북통일노선―8.15 해방이후부터 6.25전쟁 직전까지」", 국제문제연구 16(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1992

      162 조나단 글레이드, "「미군정기 남한과 일본의 문학으로서의 탈식민화 1945-1948 ― 문학 과 민주조선 의 두 사례」", 한국어문학연구 57(한국어문학연구학 회), 2011

      163 최영호, "「新聞을 통해 보는 解放直後 在日朝鮮人의 動向―「民衆新聞」 특집호 (1945년 10월 15일자)」", 한일민족연구 9(한일민족문제학회, 2005

      164 이한창, "「재일 동포조직이 동포문학에 끼친 영향―좌익 동포조직과 동포작가와의 갈등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8(한국일본어문학회, 2000

      165 조경희, "「‘조선인 사형수’를 둘러싼 전유의 구도―고마쓰가와 사건(小松川事件)과 일본/‘조선’」", 동방학지 158(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166 고명철, "「민족의 주체적 근대화를 향한 한양 의 진보적 비평정신―1960년대의 비 평 담론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19(한민족문화학회), 2006

      167 손남훈, "「4 19 혁명 정신의 계승과 정권 비판 논리―1960년대 한양 소재 4 19 혁명 담론과 시를 중심으로」", 문창어문논집 52(문창어문학회), 2015

      168 정계향, "「경계인(境界人)의 뿌리 찾기―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2세의 정체 성 문제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Vol.7 No.1(한국구술사학회, 2016

      169 이영호, "「위안부 문제의 등장과 재일조선인 김일면―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의 기사를 중심으로」", 日本學報 113(한국일본학회, 2017

      170 이영호,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과 민중문화―지면의 구성과 전통 담론을 중심으로」", 일본학 46(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8

      171 강우원용, "「일본 마이너리티문학의 양상과 가능성―오키나와문학과 재일한국인 조 선인문학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14(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0

      172 이상봉, "「재일한인의 전후보상운동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연대의 특징―일본군위안 부 운동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제16집 2호(21세기정치학회, 2006

      173 김환기, "「재일 코리언 문학에 나타난 ‘아버지상’ 고찰―전세대의 생활공간과 이데 올로기를 중심으로」", 비교일본학 29(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3

      174 마경옥, "「 땅에서 배를 저어라( 地に舟をこげ ) 에 관한 고찰 2―재일' 여성문예지 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일본언어문화 43(한국일본언어문학회, 2012

      175 이헬렌, "「이회성의 다듬이질하는 여인 과 나카가미 겐지의 미사키 를 통해 보는 ‘마이너리티’와 장소론」", 동악어문학 71(동악언문학회, 2017

      176 이영호, "「재일조선인 잡지 계간 마당(季刊まだん) 연구― 계간 삼천리(季刊三千 里)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61(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177 박정진, "「도쿄도의 에스닉 정책과 재일조선인 시책―대 총련 시책을 중심으로 본 그 형성과 변화의 인과성」", 일본연구논총 33(현대일본학회, 2011

      178 박정진, "「재일조선인 ‘북송문제’와 일본인의 ‘귀국협력’―‘일조우호운동’의 연속이라 는 관점에서」", 사회와역사 91(한국사회사학회, 2011

      179 김태영, "「在日コリアン敎育と民族アイデンティティ―雜誌 三千里 靑丘 にみられ る在日コリアン敎育言說」", 한국민족문화 27(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6

      180 신승모, "「재일조선인 문학과 ‘스파이 이야기’―김학영과 원수일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의 내면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73(동악어문학회, 2017

      181 이정은, "「"난민" 아닌 "난민수용소", 오무라(大村)수용소―수용자, 송환자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103(한국사회사학회, 2015

      182 이정민, "「비교문화 연구의 현재적 지평―재일 코리안 화가 오병학(吳炳學)의 작품 에 있어서의 민족관념 분석」", 人文科學 55(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 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183 이정희, "「김학영(金鶴泳)론―<얼어붙는입(凍える口)> <끌(鑿)> <서곡(序曲)> <흙의 슬픔(土の悲しみ)>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84 윤송아, "「재일(在日)을 사유하는 여러 겹의 길―다케다 세이지(竹田靑嗣), ‘재일' 이라는 근거 在日という根據 」", 일본학 44(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185 마경옥, "「저항담론으로서의 ‘재일’일본어―재일여성문예지 땅에서 배를 저어라 ( 地に舟をこげ )를 중심으로」", 일본언어문화 19(한국일본언어문학회, 2011

      186 김보현, "「식민지기 조선 대만 일본전통시가 비교연구―로컬컬러 관련 하이쿠(俳 句) 단카(短歌) 문헌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187 이재봉, "「국어와 일본어의 틈새, 재일 한인 문학의 자리― 漢陽 , 三千里, 靑丘 의 이중 언어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韓國文學論叢 47(한국문학회, 2007

      188 정계향, "「재일조선인, 일본의 지역사회를 살다―해방 후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 인의 정주와 생활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Vol.8 No.2(한국구술사학회, 2017

      189 임상민, "「김희로 사건과 내파하는 한일 미디어―츠츠이 야스타카(筒井康隆)의 「신 킨타로(晋金太郎)」를 중심으로-」", 인간과 문화 연구 25(동의대학교 인문사회 연구소, 2014

      190 이영호, "「197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 장르 형성 연구―1971년 이회성(李恢成)의 <아쿠타가와상>(芥川賞) 수상을 중심으로」", 한림일본학 27(한림대학교 일본 학연구소), 2015

      191 이승진, "「재일 한국인 문학과 일본 근대문학과의 영향관계 고찰―재일 한국인 2세 대 작가 김학영(金鶴泳)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33(가천대학교 아시아 문화연구소, 2014

      192 이승진, "「재일조선인잡지 호르몬 문화 (ほるもん文化)연구―재일조선인잡지사에 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일본학보 113(한국일본학회, 2017

      193 김환기, "「재일코리안의 정체성과 초(超)국가주의―재일 코리언 문학과 디아스포라 ―이회성의 유역(流域) 을 중심으로」", 일본학 32(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194 趙堈熙, "「在日韓人 雜誌에 나타나는 言語生活의 樣相― 民主朝鮮 朝鮮文藝 三 千里 靑丘 의 「特集」과 「對談」을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33(일본어문학회, 2006

      195 이영호, "「김희로 사건과 재일조선인 문학―이회성(李恢成)의 「우리 청춘의 길목에 서(われら靑春の途上にて)」 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7(고려대학교 글로벌일 본연구원, 2017

      196 이영호, "「1970년대 일본에서의 조선문학 연구 경향 분석―조선문학의회(朝鮮文学 の会)의 등장과 재일조선인 작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일본학보 107(한국일본 학회), 2016

      197 윤송아, "「이언어(二言語)의 장(場)에서 끌어올린 목소리들의 향연―宋惠媛, 「在日 朝鮮人文學史」のために-聲なき聲のポリフォニ- 」", 일본학 42(동국대학교 일 본학연구소, 2016

      198 하상일, "「재일 한인 잡지 소재 시문학과 비평문학의 현황과 의미― 조선문예 , 한 양 , 삼천리, 청구 를 중심으로―재일 한인 잡지 소재 시문학과 비평문학의 현황과 의미」", 韓國文學論叢 42(한국문학회, 2006

      199 최영호, "「특집(特集)―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과 일본(日本)의 식민지배(植民支 配) ; 일본(日本)의 패전(敗戰)과 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 부관항로(釜關航 路)의 귀환자(歸還者)들」", 한일민족연구 11(한일민족문제학회, 2006

      200 최영호, "「특집(特集)―재일한인(在日韓人) 정치사회운동(政治社會運動)과 대외연 대(對外連帶) ; 재일한인(在日韓人) 민족교육운동(民族敎育運動)에 나타난 대 외연대(對外連帶) 네트워크」", 한일민족연구 13(한일민족문제학회,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