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日帝의 朝鮮人 勞動力 收奪에 關한 硏究 : 强制動員을 中心으로 = (The) explotation of Korean labor power by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forced conscri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295157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20.911 판사항(3)

      • DDC

        330.95106951.06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ix, 20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수록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日帝의 朝鮮人 勞動力 收奪을 1939년 이후의 强制動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즉 본 연구는 일제하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동자의 역사적 위치 설정을 통해 우리의 현실적인 여러 ...

      본 논문은 日帝의 朝鮮人 勞動力 收奪을 1939년 이후의 强制動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즉 본 연구는 일제하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동자의 역사적 위치 설정을 통해 우리의 현실적인 여러 모순을 선명하게 부각시키고 아울러 한국 현대사의 출발점을 위한 이정표를 찾으려는 극히 現實的이며, 實踐的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처럼 일제의 식민지 人的收奪의 가장 극명한 현상인 强制動員에 대한 연구는 일제시대사 연구 가운데 그 어느 과제보다도 중차대한 문제이다. 즉 일제의 조선인 노동자 强制動員은 일본 제국주의 특수성의 가장 선명한 표현이자 동시에 제국주의 보편성의 분명한 표출이다. 더우기 근자에 이르러 일본의 軍國主義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을 뿐 아니라, 일본내의 노동력 부족을 메꾸기 위한 수단으로 한국인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諸國의 값싼 노동력을 불법으로 유입, 저렴한 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하에서 취업시키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한층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제하 강제동원의 직접적 결과로 일본에 남아 있는 在日同胞 2, 3세의 法的 地位問題, 戰後 處理問題를 둘러싼 한·일간의 현실적 긴장감 또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더한층 요구하고 있다 하겠다.
      뿐만 이니라 최근 解旅前後史에 대한 폭발적 연구경향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그 前時期인 1930년대말 이후 이른바 '戰時經濟'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현실정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은 또한 크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진행된 본 논문의 내용을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의 조선인 노동자 强制動員과 일본 제국주의의 발전 사이에 내재하는 관계를 구조적으로 밝히기 위해 强制動員의 前史로서 1930년대말 이전 일제의 조선인 노동력 동원정책의 전개과정을 살펴 보았다. 따라서 먼저 조선내에서의 노동력 동원정책의 전개과정 및「地域間 勞務需結 調整策」과 조선 밖으로의 소극적 동원정책 즉,「渡航政策」의 詞整過程을 일본 자본주의 발전과의 상호 유기적인 관련하에서 분석, 정리하였다.
      나아가 1930년대말에 이르러 일제의 朝鮮人 勞動力 動員政策이 이전의「渡航調整策」과「地域間 勞務需給 調整策」에서「强制動員 方式」으로 급변하게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대공황 이후 일본 자본주의의 변화와 1930년대의 군수공업화정책, 조선내에서의 상대적 과잉인구의 고갈과 태평양전쟁기 노동력 수요의 폭발적 증대 및 强制戮員의 布石이라 할 수 있는「國家總動員法」의 조선 적용을 중심축으로 한 法的 體制의 整備過程, 强制動員을 위한「職業 紹介所」의 정비 및 조선내에서의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의 전개과정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둘째, 일제의 조선인 노동자 강제동원의 잔악한 實相을 暴露하고, 그로인해 조선 민중이 당한 고통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强制動員의 구체적인 전개과정과 강제동원된 재일 조선인 노동자의 社會經濟的 收奪의 實態를 생산과정 뿐 아니라 소비 및 생활상 全面을 포괄적으로 實證分析하였다. 즉 강제동원의 개관, 강제동원의 유형 및 그 사례, 강제동원된 재일 조선인 노동자의 사회경제적 수탈의 실태, 그에 대한 조선인 노동자의 對應樣態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세째, 일제의 조선인 노동자 강제동원이 조선의 내재적 발전을 억압, 왜곡시켰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도 여러가지 모순을 안겨주고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해명하기 위해 强制動員의 社會經濟的 影響을 강제동원의 일본 자본주의에 대한 영향과 강제동원으로 인한 조선 농촌 사회에의 충격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일제하 식민지 조선에서의 日本 帝國主義의 人的收奪을 1939년 이후 强制動員에 力點을 두고 고찰하였는 바, 특히 强制動員의 背景, 展開過程, 社會經濟的 影響이라는 과제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일제의 식민지 노동력 정책의 기본 골격과 조선총독부의 조선인 노동력 동원정책의 특징, 태평양전쟁기 일본 자본주의의 구조 변화와 강제동원의 전개의 배경, 그 구체적인 전개과정,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동자의 수탈의 실태, 이에 대한 동원 노동자의 대응양태, 강제동원의 사회경제적 영향 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간 기초적인 사실의 해명의 차원에서 그쳤던 일제하 일본 제국주의의 인적수탈, 특히 强制動員問題를 강제동원의 背景, 展開過程, 實態, 社會經濟約 影響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일제가 전시경제구축을 위해 强制動員해간 朝鮮人 勞動力의 位置設定에 대해 약간의 시사를 주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강제동원 이전 渡航한 조선인 노동자들에 대한 연구, 조선내에서의 강제동원의 전개, 강제동원과 일본 자본주의 발전과의 유기적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 및 강제동원이 우리 經濟에 끼친 被害에 관한 보다 엄밀한 實證分析 등이 여전히 未決課題로 남아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the exploitation of Korean labor power by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Forced Conscription. Tracing the history of forcibly conscripted Korean laborers, I try to elucidate the present contradiction and the future change in Korea. T...

      This study analyses the exploitation of Korean labor power by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Forced Conscription. Tracing the history of forcibly conscripted Korean laborers, I try to elucidate the present contradiction and the future change in Korea. This study analyses specifically the Forced Conscription in the period of 1939 - 1945 during which it was conspicuously executed in magnitude and cruelty.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of the Forced Conscrip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zed Korean economy in the wartime. Also this study is of much help to find the origin of the problem about a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s in Japan who were the decendants of the victims of the Forced Conscription.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roles of the Forced Conscription i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imperialism.
      Second,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the Forced Conscription : the polices of Japanese imperialism in mobilizing Korean laborers before 1939, the structural changes in Japanese capitalism, the growth of the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in Korea, a drastic decrease in the relative-surplus-population in Korea, a sharp increase in the demand for labor forc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legal systems for the Forced Conscription, - for example, The National General Mobilization Law - and the other polices of Japanese imperialism in forcibly mobilizing Korean laborers.
      Third, the barbarian behaviors in the process of the Forced Conscription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conscripted laborers : various patterns and cases of the Forced Conscription, the realities in exploiting the conscripted laborers and their reactions.
      Fourth, the socio-economic influences of the Forced Coscription on Japan and Korea : focusing on capital accumulation of Japanese capitalism through low wages and general breakdown of Korean in the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se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rized as follows:
      First, Japanese policies on the mobilization of Korean laborers into Japan changed over time, which can be broadly differentiated into three periods : 1) 1910-1925, the government enforced no check on Korean immigration ; 2) 1926-1938, an increased check on Korean influx ; and 3) the period of World War II, the Japanese government forcibly conscripted Koreans into Japan. The policy was reversed in 1939-45, reflecting increased labor needs. Under the war time economy, Japan was in need of more materials and labor. Heavy industry expanded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wartime munitions, and state control was strengthended. The National General Mobilization Law was decreed in 1938. This law had jurisdiction not only over the Japanese Island proper but also all over Japanese colonies including Korea. All sectors of the colonies were placed under the wartime control. Recuitment of Korean laborers increased sharply in 1939, and the Forced Conscription was initiated.
      Second, There were three kinds of the Forced Conscriptio : recruitment by the enterpreneurs(September 1939-Janurary 1942), mobilization with the support of government officials(February 1942-August 1944), and forced draft by the government(September 1944-August 1945). The conscripted ammounts to about 1.52 millons. Most of them were forcibly transferred to the mines which were short of labor. Others were allocated into factories which the average Japanese avioded. They worked under unsanitary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While their working day was longer, their wag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Japanese in the same work, Labor control upon them was militant and ideological. Deeply rooted in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side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prevailed among the Japanese. The forcibly conscripted workers' strikes occurred more readily and tended to act more militantly than before. Typical reasons for disputes were discriminatory food rations,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improper compensation for death or injury, and severe expropriation of wages under the pretext of savings or remittance compared with those of Japanese workers. The most vioient group reactions occurred when Korean laborers were severely treated or killed.
      Third, the Forced Conscription made Korean economy break down. Agricultural sector became short of labor at the end of World War II and the produce decreased. Laborers of the sector became much younger and older,with active laborers absent, and most male laborers were replaced by female laborers. Also small Korean factories suffered from labor shortage. Contrary to Korean economy, Japanese capitalism grew repidly. Korean low-wage workers made it possible for the general wage in Japanese labor market to be maintained at low level and contributed to rapid accumulation of Japanese capitalism.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this study does not analyse the problem of the forecibly conscripted Korean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and does not reconstruct systematically testimonies of the survivors among the vivtims of the Forced Conscri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i
      • 表 目次 = iv
      • 그림 目次 = vi
      • 國文 抄錄 = vii
      • 第1章 序論 = 1
      • 目次 = i
      • 表 目次 = iv
      • 그림 目次 = vi
      • 國文 抄錄 = vii
      • 第1章 序論 = 1
      • 第1節 問題提起 = 1
      • 第2節 先行硏究의 검토 = 6
      • 第3節 活用資料의 종류와 그 성격 = 10
      • 第4節 연구방법 및 범위 = 11
      • 第2章 日帝의 조선인 노동력 動員政策의 배경과 전개 = 16
      • 第1節 日帝의 조선인 노동력 動員政策의 단계 구분 = 16
      • 第2節 사회경제적 수탈정책과 노동력 動員政策의 전개과정 = 20
      • 第3節 조선인 노동력 動員政策의 轉換 = 30
      • 1. 勞動力 動員政策 전환의 배경 = 30
      • 1) 勞動力 需給側面에서의 일본자본주의의 구조변화 = 30
      • 2) 식민지 공업화시기의 조선의 勞動事情 = 36
      • 3) 强制動員을 위한 法的 體制의 정비 = 41
      • 2. 노동력 動員政策 轉換 = 46
      • 1) 强制動員을 위한 職業紹介所 기능의 강화 = 46
      • 2) 朝鮮內에서의 노동력 强制動員의 전개 = 51
      • 第3章 强制動員의 전개과정과 勞動力 收奪의 실태 = 55
      • 第1節 强制動員에 대한 개관 = 55
      • 第2節 强制動員의 유형 및 사례 = 66
      • 1.「募集」에 의한 强制動員 = 67
      • 2.「宣韓旋」에 의한 强制動員 = 75
      • 3.「徵用」에 의한 强制動員 = 83
      • 4. 기타 방법에 의한 强制動員 = 92
      • 第3節 勞動力 收奪의 실태 = 95
      • 1. 就業狀況 = 95
      • 2. 生産過程에서의 노동 실태 = 105
      • 1) 勞動條件 = 105
      • 2) 勞動統制 = 110
      • (1) 兵營的 노동통제 = 114
      • (2) 이데올로기적 노동통제 = 117
      • 3. 노동력 수탈과 生活實態 = 123
      • 1) 賃金 = 123
      • 2) 食事 및 寄宿舍 (寮) = 128
      • 3) 福利施設 = 133
      • 第4節 收奪에 대한 對應樣態 = 137
      • 1. 노동자들의 의식상태 = 137
      • 2. 개별적 대응양태 = 140
      • 3. 집단적 대응의 사례 = 143
      • 4. 對廳樣態의 특징 및 의의 = 148
      • 第4章 强制動員의 사회경제적 영향 = 151
      • 第1節 强制動員의 일본 자본주의에 대한 영향 = 151
      • 1. 戰時下 일본 자본주의의 低賃金構造 = 151
      • 2. 强制動員이 일본 자본주의에 미친 영향 = 155
      • 第2節 强制動員의 조선 농촌 社會經濟에 대한 영향 = 158
      • 1. 농촌 노동력의 不足과 劣惡化 = 158
      • 2. 농업 생산력의 低下 및 농촌 사회경제의 破綻 = 165
      • 第5章 要約 및 結論 = 170
      • 參考文獻 = 177
      • 英文抄錄 = 186
      • 附錄 = 1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