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배가사의 담론(談論) 특성과 사적(史的) 전개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40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가사 장르의 존재양식에 기반하여 유배가사의 담론(談論) 특성을 살펴보고, 시대를 달리하며 구체적 실현태(實現態)로 담론화(談論化) 되는 유배가사의 존재양상에 대한 흐름을 ...

      이 논문은 가사 장르의 존재양식에 기반하여 유배가사의 담론(談論) 특성을 살펴보고, 시대를 달리하며 구체적 실현태(實現態)로 담론화(談論化) 되는 유배가사의 존재양상에 대한 흐름을 고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우선 가사 장르를 선택한 유배자, 혹은 그에 준하는 작자의 의도와 메시지의 문화적 편폭을 보다 다양하고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유배가사의 개념 및 범주 설정을 보다 폭넓게 적용하였다. 그리고 초기 유배가사 작품을 ‘의사(擬似)애정담론’이라는 사회문화적 조건과 결부된 담론 층위로 이해하고 이후 각 시기별 유배가사가 지닌 담론의 변화양상에 기대어 유배가사를 다양한 사회문화적 실천행위로 구체화되어 담론의 영역을 구축하는 하나의 ‘담론체’로 인식하고자 하였다.
      우선 Ⅱ장에서는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유배가사 작품 22편을 서술대상과 서술기법, 그리고 텍스트 내의 담화방식의 차이에 따라 ① 사적(私的) 담론화, ② 공동(共同) 담론화, ③ 사적(私的)․공동(共同) 담론화로 분류하였다. 이로써 담론 층위가 변화, 텍스트와 유기적 질서를 형성하면서 상호작용하는 부분에 집중하여 다소 경직된 유배가사의 이데올로기적 연구시각에서 탈피, 텍스트 향유의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가사 장르의 담론적 분석으로 접근해 보면 진지한 자기 목소리에 집중하여 유배지 경험의 진정성을 담아내고자 했던 ‘사적(私的) 담론’은 초기 유배가사에서 ‘의사애정담론’의 패턴으로 담론화 되고, 유교적 이념의 강화를 주제로 하거나 효제(孝悌) 사상의 실천을 드러냄으로써 수용자층의 공감대를 확보하기 위한 유배가사는 ‘공동(共同) 담론화’로 변형되어 창작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후 다양한 문화권과의 교섭으로 인해 유배가사는 이러한 현상들이 각자 고유의 운동성으로 혼재하는 사적(私的)․공동(共同) 담론화 되는 경우로 나아감을 살필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각 시기별로 사회․문화적 조건을 달리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담론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16세기 유배가사에서는 발화의 중심이 화자에 놓임으로써 ‘의사애정담론’의 패턴으로 유배자의 개인적 심정을 진지하게 드러내는 경향으로 담론화 되었다.
      17세기 유배가사의 경우에는 16세기의 담론화 경향을 고수하면서도 유배상황에 대한 현실적인 맥락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에 반해 18세기에는 여항․시정 문화가 형성됨에 따라 텍스트가 활발히 유통됨으로써 가창문화권과 독서문화권에서 수용자층의 욕구를 다양하게 반영하는 방향으로 담론화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텍스트에서 발화의 중점은 청자, 그리고 전언(메시지)에까지 확장됨으로써 전자는 유배자 자신의 개인적 상황을 드러내기 보다는 공동의 관심사를 다룸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후자는 텍스트 자체를 향유하는 방향(노래하기)으로 담론화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19세기 유배가사의 경우에는 발화의 중심이 지시대상물에까지 확장되어 유배상황을 상세하게 알려주거나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둠으로써 보다 사실성에 기반을 두는 방향으로 담론화 양상을 드러내고, 이들은 ‘낭만적 애정담론’이나 가문중심, 혹은 자기애(自己愛)적인 담론으로 극대화되는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초기 유배가사에서 형성된 ‘의사애정담론’의 패턴이 각 시기별로 사회․문화적 조건을 달리함에 따라 수용자층과 더불어 담론의 영역을 폭넓게 확대․확장시켜 나감으로써 유배가사의 명맥을 이어갔다는 점에서 일차적인 문학사적 의의를 짚어볼 수 있었고, 이후 조선조 시가예술에 있어서 다층적 담론분석이 다양한 시가 장르들과 어떻게 텍스트의 내적 질서와 혼융되는지 살필 수 있는 일종의 시금석의 역할을 해 줄 것으로 전망해보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 2. 연구대상 및 논의방향 12
      • Ⅱ. 유배가사의 담론 특성 19
      • 1. 가사의 장르적 특성과 유배가사의 특징 21
      • Ⅰ. 서 론 1
      •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 2. 연구대상 및 논의방향 12
      • Ⅱ. 유배가사의 담론 특성 19
      • 1. 가사의 장르적 특성과 유배가사의 특징 21
      • 2. 서술 대상에 따른 담론화 양상 41
      • 3. 서술기법으로 본 담론 특성 47
      • 4. 의사애정담론의 이데올로기적 표현 미학 52
      • Ⅲ. 유배가사의 사적(史的) 전개에 따른 담론화 양상 57
      • 1. 16세기 유배가사의 담론화 양상 57
      • 1) 텍스트의 담론 기반 57
      • 2) 텍스트의 담론 특성 65
      • 3) 텍스트의 서술 특성 77
      • 2. 17세기 유배가사의 담론화 양상 93
      • 1) 텍스트의 담론 기반 93
      • 2) 텍스트의 담론 특성 95
      • 3) 텍스트의 서술 특성 102
      • 3. 18세기 유배가사의 담론화 양상 106
      • 1) 텍스트의 담론 기반 106
      • 2) 텍스트의 담론 특성 110
      • (1) 의사애정담론의 애정담론화 111
      • (2) 공동(共同) 담론화를 통한 담론 영역의 확대 117
      • 3) 텍스트의 서술 특성 131
      • (1) 서술기법의 다양화 131
      • (2) 텍스트의 향유기반에 따른 서술 원리 135
      • 4. 19세기 유배가사의 담론화 양상 140
      • 1) 텍스트의 담론 기반 140
      • 2) 텍스트의 담론 특성 142
      • 3) 텍스트의 서술 특성 153
      • Ⅳ. 유배가사 담론화의 문학사적 의의 164
      • 1. 담화방식에 따른 담론화 양상 165
      • 2. 의사애정담론의 애정담론화 -호환 가능성 167
      • 3. 다양한 문화권의 교섭을 통한 담론화 양상 168
      • Ⅴ. 결론 170
      • 참고문헌 175
      • ABSTRACT 1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