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7-18세기 壯洞金氏 淸陰派의 園林 文化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776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7-18세기 서울 壯義洞에 세거한 金尙憲의 후손 壯洞金氏 淸陰派(이하 安東金門)의 園林 文化를 고찰한 것이다. 김상헌의 손자 金壽增‧金壽興‧金壽恒, 김수항의 아들 金昌集‧金...

      이 논문은 17-18세기 서울 壯義洞에 세거한 金尙憲의 후손 壯洞金氏 淸陰派(이하 安東金門)의 園林 文化를 고찰한 것이다. 김상헌의 손자 金壽增‧金壽興‧金壽恒, 김수항의 아들 金昌集‧金昌協‧金昌翕‧金昌業‧金昌緝‧金昌立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저마다 정치‧문학‧학문에서 일가를 이루어 학계에서 ‘三壽六昌’으로 통칭된다. 본고는 이상의 안동김문 원림에 주목하여, 이들이 경영한 원림의 존재 양상을 개괄하고, 원림의 의미와 활용 면모를 밝혔으며, 새로운 문학적 경향이 도출된 사실을 규명했다.
      17-18세기 肅宗 代 원림 문화가 발전하는 시기, 안동김문은 방대한 원림을 경영하고 소유했다. 이는 위치와 성격에 따라 都城의 京第, 先塋의 丙舍, 寓居의 別墅, 隱居의 別墅로 크게 분류된다. 도성의 경제와 선영의 병사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공간에 바탕을 두었고, 우거의 별서와 은거의 별서는 저마다의 시기와 상황에 따라 새롭게 경영되었다. 이들은 원림에서 일상을 보내며 시문을 창작하고 문화 활동을 전개해 원림 문화를 향유했다.
      안동김문의 원림은 당대의 정치사회적 분위기를 충실히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방대한 원림을 소유한 배경에는 정치적 상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안동김문은 정치 현실에 따라 원림을 오가며 활용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방대한 별서가 나타난 사실을 확인했다. 한편 원림은 일가 문인들의 교유에 핵심적인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안동김문은 同類意識을 확인하는 과정 속에 원림에서 雅會를 열거나 강학을 전개했는데 이는 당쟁이 격화된 사회상을 반영한 결과이다.
      안동김문의 원림은 시문의 주제로 활용되며 새로운 문학적 경향을 선도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이전에 볼 수 없던 원림을 주제로 한 散文과 漢詩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산문에서는 일가 원림의 연혁을 기록한 家記, 원림의 제도를 기록한 園亭記, 원림 인근의 명승을 탐상한 遊記가 창작되었다. 한시에서는 古詩를 중시한 家風을 바탕으로, 원림과 화훼를 읊은 詠物詩와 원림의 소회를 담은 雜詠詩가 連作詩 형태로 창출되었다. 이는 안동김문의 원림 문학에서 시작되어 조선 후기 문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17-18세기 숙종 대는 兩亂의 폐해를 극복하고 사회적 안정을 이루어 英‧正祖시대 르네상스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이다. 안동김문은 최고의 명문가로 위상을 자랑하며 당대의 원림 문화를 영위했다. 이처럼 모든 형태의 원림을 소유하고 원림 문학을 구가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우니, 17-18세기 원림 문화의 전형으로 보아도 전혀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본고는 사대부 일가의 원림을 총체적으로 규명하여 조선 후기 원림 문화의 특징을 밝혔다. 이 논문이 조선 후기 원림 문화가 발전하고 원림 문학이 양산되는 이유를 대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1
      • Ⅱ. 園林의 存在 樣相 9
      • 1. 都城의 京第 10
      • 2. 先塋의 丙舍 32
      • 3. 寓居의 別墅 48
      • Ⅰ. 序論 1
      • Ⅱ. 園林의 存在 樣相 9
      • 1. 都城의 京第 10
      • 2. 先塋의 丙舍 32
      • 3. 寓居의 別墅 48
      • 4. 隱居의 別墅 71
      • Ⅲ. 園林의 意味와 活用 95
      • 1. 政治的 狀況과 園林의 活用 95
      • 1) 換局 政治期 園林의 特徵 97
      • 2) 政治的 安定期 園林의 特徵 111
      • 2. 一家 門人의 結束 空間 125
      • 1) 同類意識과 詩文의 酬唱 126
      • 2) 園林의 雅會와 講學의 展開 140
      • Ⅳ. 園林 文化로 導出된 새로운 文學的 傾向 157
      • 1. 園林의 記文과 遊記 157
      • 1) 家門意識의 繼承과 家記 157
      • 2) 制度를 記錄한 園亭記 170
      • 3) 名勝의 探賞과 別墅의 計劃 185
      • 2. 連作行의 詠物詩와 雜詠詩 199
      • 1) 古體詩의 重視와 새로운 詩體의 摸索 199
      • 2) 園林과 花草를 읊은 詠物詩 212
      • 3) 所懷를 담은 雜詠詩 228
      • Ⅴ. 結論 245
      • 참고문헌 249
      • 부록 263
      • Abstract 26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판권, "『나무사전』", 글항아리, 2010

      2 심경호, "『산문기행』", 이가서, 2007

      3 이현일, "『紫霞詩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 심경호, "『김시습평전』", 돌베개, 2003

      5 유준영, 이종호, 윤진영, "『권력과 은둔』", 북코리아, 2010

      6 심경호, "『다산과 춘천』", 강원대학교출판부, 강원대학교출판부, 1996

      7 전우용, "『서울은 깊다』", 돌베개, 돌베개, 2008

      8 김창희, 최종현, "『오래된 서울』", 동하, 동하, 2013

      9 강희안, 이종묵, "역, 『양화소록』", 아카넷, 2012

      10 강명관, "『농암잡지평석』", 소명, 소명출판, 2007

      1 강판권, "『나무사전』", 글항아리, 2010

      2 심경호, "『산문기행』", 이가서, 2007

      3 이현일, "『紫霞詩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 심경호, "『김시습평전』", 돌베개, 2003

      5 유준영, 이종호, 윤진영, "『권력과 은둔』", 북코리아, 2010

      6 심경호, "『다산과 춘천』", 강원대학교출판부, 강원대학교출판부, 1996

      7 전우용, "『서울은 깊다』", 돌베개, 돌베개, 2008

      8 김창희, 최종현, "『오래된 서울』", 동하, 동하, 2013

      9 강희안, 이종묵, "역, 『양화소록』", 아카넷, 2012

      10 강명관, "『농암잡지평석』", 소명, 소명출판, 2007

      11 최완수, "『겸재 정선 세트』", 현암사, 2009

      12 이승수, "『三淵金昌翕硏究』",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3 왕의, "『園林與中國文化』", 상해인민출판사, 1990

      14 강혜선, "『金昌協古文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15 김건우, 채현경, 이주형, 유영봉, 오항녕, 서종태, 김수항, "역, 『문곡집 세트』", 흐름출 판사, 2017

      16 안말숙, "「金壽恒의 詩世界」", 『동양한문학연구』 11, 동양한문학회, 1997

      17 김세호, "「김석주의 각건정」", 『문헌과해석』 72호, 문헌과해석사, 2015

      18 김세호, "「김수증의 일사정」", 『문헌과해석』 67호, 문헌과해석사, 2014

      19 김세호, "「김창협의 삼산각」", 『문헌과해석』 76호, 문헌과해석사, 2016

      20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1∼4, 휴머니스트, 2006

      21 이현일, "「篠齋徐淇修詩硏究」", 『동양학』 57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22 안득용, "「農淵山水遊記硏究」", 『동양한문학연구』 제22집, 동양한문학회, 2006

      23 김은정, "「申翊聖의 東淮別墅」", 『고전문학연구』 36권, 한국고전문학회, 2009

      24 홍순석, "「農巖金昌協과 抱川」", 『국문학논집』 제22집, 단국대학교, 2013

      25 이종묵, "조선시대 臥遊文化硏究", 『진단학보』 98, 진단학회, 2004

      26 이종묵, "「山水와 生態와 文學」", 『한국한문학연구』 제37집, 한국한문학회, 2006

      27 이경구, "「김창흡의 정치 활동」", 『문헌과해석』 21호, 문헌과해석사, 2002

      28 윤진영, "『朝鮮時代九曲圖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97

      29 윤은영, "『金昌協文學理論硏究』",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0 이경수, "「谷雲金壽增의 隱適誇」", 『강원문화연구』 25,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06

      31 안말숙, "「金壽恒의 紀行詩考察」", 『동명논문지』 21, 동명대학교, 1999

      32 김형술, "『白嶽詩壇의 眞詩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3 송혁기, "『金昌協文學論의 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4 심경호, "『한문산문의 내면풍경』", 소명출판, 소명출판, 2001

      35 김성언, "「農巖金昌協의 삶과 시」", 『한국한시작가연구』 13권, 한국한시학회, 2009

      36 김남기, "「金壽興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 11권, 한국한시학회, 2007

      37 김남기, "「金昌集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 12권, 한국한시학회, 2008

      38 이종묵, "「김신겸의 안면도 기행」", 『문헌과해석』 77호, 문헌과해석사, 2016

      39 강혜선, "「농암 형제의 여행시문」", 『문헌과해석』 29호, 문헌과해석사, 2004

      40 정 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글항아리, 2015

      41 이종묵, "『조선시대 경강의 별서』", 경인문화사, (남호편)ㆍ(동호편)ㆍ(서호편), 경인문화사, 2016

      42 구본현, "「老稼齋金昌業漢詩硏究」", 『한국한시작가연구』 13권, 한국한시학회, 2009

      43 오항녕, "「文谷金壽恒과 己巳士禍」", 『한국인물사연구』 25, 한국인물사연구회, 2016

      44 이희목, "「梅泉黃玹의 山水詩小考」", 『한문학보』 제23집, 우리한문학회, 2010

      45 안대회, "「通園兪晩柱의 造景美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7권, 한국전통조경학 회, 2009

      46 윤경희, "「金昌翕의 丹丘日記연구」", 『민족문화연구』 4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47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소명, 소명출판, 1999

      48 황인천, "『文谷金壽恒의 祭文硏究』",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論文, 2004

      49 강신중, "『農岩金昌協의 漢詩硏究』",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50 오승준, "『農巖金昌協의 記文硏究』",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1 이경구, "『조선후기 安東金門연구』", 일지사, 2007

      52 서유구, 안대회, "역, 『산수간에 집을 짓고』", 돌베개, 2005

      53 이종호, "「三淵金昌翕의 삶과 學問」", 『안동한문학논집』 3, 안동한문학회, 1993

      54 이진향, "「淸風溪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9권 제1호, 한국전통 조경학회, 2011

      55 이경수, "「金壽增의 生涯와 時世界」", 『한국한시작가연구』 11, 한국한시학회, 2007

      56 이효숙, "『谷雲金壽增의 한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57 이종호, "「구곡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상문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 제50집, 한국사상문화학회, 년, 2009

      58 박찬수, "「潛齋金益謙의 詩文學硏究」", 『어문연구』 제48권, 어문연구학회, 2005

      59 조남호, "「김창협학파와 진경산수화」",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71권, 철학연구회, 2005

      60 김남기, "『三淵金昌翕의 詩文學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61 김인학, "『三淵의 「葛驛雜詠」硏究』",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62 오용원, "『農巖金昌協의 詩文學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63 이유라, "『鳴岩李海朝의 紀行詩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4 이경구, "「金昌翕의 學風과 湖洛論爭」", 『한국사론』 36, 서울대학교, 1996

      65 김현, "「곡운구곡 관광자원화 계획」", 한국농촌계획학회, 『한국농촌계획학회지』 제13권 제2호, 한국농촌 계획학회, 2007

      66 김영진, "「조선후기 臥遊錄이본 연구」", 『고전문학연구』 48권, 한국고전문학회, 2015

      67 조준호, "「金昌翕의 정치기반과 활동」", 『한국인물사연구』 2, 한국인물사연구소, 2004

      68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휴머니스트, 휴머니스트, 2007

      69 김은정, "『樂全堂申翊聖의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70 김남기, "「김창흡 한시의 계승과 반발」", 『문헌과해석』 21호, 문헌과해석사, 2002

      71 채환종, "「삼연 김창흡의 사회시 연구」",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 27권, 어문연구학회, 1995

      72 이경수, "「춘천 근교의 은둔자 유적지」", 『국립대학도서관보』 제26집, 국공립대학도서 관협의회, 2008

      73 정우봉, "「金昌協詩論의 批評史的意義」", 『어문논집』 31, 민족어문학회, 1992

      74 최 열, "「그림의 뜻(50) 장시흥 독락정」", 『서울아트가이드』 년 5월호, 2013, 2013

      75 황인건, "『谷雲金壽增의 山水文學硏究』",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76 김순희, "「『文谷集』의 서지학적 고찰」", 『서지학연구』 제50집, 한국서지학회, 2011

      77 오용원, "「農巖金昌協의 삶과 現實認識」", 『국제언어문학』 제8호, 국제언어문학회, 2003

      78 윤경호, "「석실서원의 건립과 교육방법」",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퇴계학논집』 22권, 퇴계학연구원, 2013

      79 고연희,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일지사, 2001

      80 윤경희, "「삼연 김창흡의 기행일기 연구」", 『퇴계학연구』 20집, 단국대학교퇴계학연구 소, 2006

      81 강혜선, "「인왕산 청풍계의 문학적 전통」", 우리한문학회, 『한문학보』 제25집, 우리한문학회, 2011

      82 김창환, 서종철, "「화천 谷雲九曲의 지형과 가치」", 『한국지형학회지』 제19권 제4호, 한국지형학회, 2012

      83 박찬수, "「潛齋金益兼漢詩의 文學性考察」", 『인문학연구』 통권84호, 충남대학교인 문과학연구소, 2011

      84 김영진, "「스승의 뜻이 담긴 책 『文趣』」", 『문헌과해석』 24호, 문헌과해석사, 2003

      85 정혜린, "「三淵金昌翕의 성리학과 시문학」", 『대동한문학회지』 34권, 대동한문학회, 2011

      86 김가희, "「鄭敾의 漢陽眞景과 李春躋家門」", 『미술사학연구』 제279 280호, 한국미술사 학회, 2013

      87 이종호, "「金壽增의 유람의식과 은거의식」", 『동방한문학』 제41집, 동방한문학회, 2009

      88 이종호, "「金壽增의 文藝志向과 家學傳受」", 『대동한문학』 31, 대동한문학회, 2009

      89 구본현, "「老稼齋金昌業의 東庄에 대하여」", 『퇴계학논총』 14, 퇴계학연구원, 2009

      90 이재근, "『朝鮮時代別墅庭園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91 이종묵, 홍경모, "역, 『사의당지 우리 집을 말한다』", 휴머니스트, 2009

      92 신익철, "「조선시대 梅花詩의 전개와 특징」", 『동방한문학』 26권, 동방한문학회, 2013

      93 차미희, "「조선후기 숙종 대 壬辰科獄연구」", 『민족문화연구』 제42호, 고려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원, 2005

      94 김의숙, "「화천의 곡운구곡과 김수증 연구」", 강원도민속학회, 『강원민속학』 20, 강원도민속학회, 2006

      95 이승수, "「金昌翕의 生涯와 詩世界의 變貌」", 『한국언어문화』 9권, 한국언어문화학회, 1991

      96 김창협, 송기채, "역, 『국역 농암 김창협 문집 세트』", 한국학술정보, 2006

      97 안대회, "「三淵金昌翕의 「葛驛雜詠」硏究」", 『한국한시연구』 제1호, 한국한시학회, 1993

      98 이종묵, "「조선 후기 燕行과 花卉의 文化史」", 『한국문화』 제62집, 규장각한국학연구 소, 2013

      99 조규희, "「《谷雲九曲圖帖》의 多層的 의미」", 『미술사논단』 23, 한국미술연구소, 2006

      100 정경훈, "「「三一亭記」의 구성과 표현기교」", 『한문학보』 제11집, 우리한문학회, 2004

      101 박명희, "「文谷金壽恒의 靈巖流配중 시문학」", 『한문학논총』 제31집, 한국문학회, 2002

      102 지두환, "「文谷金壽恒의 家系와 政治的活動」", 『한문학논총』 제32집, 국민대학교 한 국학연구소, 2009

      103 윤진영, "「17세기 청풍계 그림, 「청풍계도」」", 『문헌과해석』 12호, 문헌과해석사, 2000

      104 이석해, 이행렬, "「文化景觀으로 본 谷雲九曲의 特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19권, 한국전통조경학회, 2001

      105 이승수, "「金昌翕의 詩世界硏究: 「葛驛雜詠」", 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106 김수진, 심우경, "「高山九曲에 나타난 栗谷의 景觀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3권 제4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05

      107 김문준, "「김창흡의 학문경향과 후대의 영향」", 한국인물사연구소, 『한국인물사연구』 제2호, 한국인물사 연구소, 2004

      108 김남기, "「洛誦樓詩社의 활동과 詩社의 의의」", 『한문학보』 제25집, 우리한문학회, 2011

      109 안대회, "「조선후기 士大夫의 집과 삶과 기록」", 『한문학보』 17, 우리한문학회, 2007

      110 정민, "「18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제35집,한국한 문학회, 2005

      111 이승수, "「삼연의 학문 경향과 그 역사적 의의」", 『문헌과해석』 21호, 문헌과해석사, 2002

      112 김가희, "『鄭敾과 李春躋家門의 繪畵酬應硏究』",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3 이종묵, "성리학적 사유를 구현한 조선 선비의 집", 南冥學硏究院, 『남명학연구』 14권, 남명학연구 원, 2009

      114 이경구, "「壯洞 金門의 문물수용론과 文藝활동」", 『한국학보』 112, 일지사, 2003

      115 박영호, "「農巖김창협 문학연구의 성과와 과제」", 『동방한문학』 제21집, 동방한문학 회, 2001

      116 김정태, 박청인, "「곡운구곡의 형성배경과 경관의 의미」", 안성산업대학교, 『한경대학교논문집』 제33집, 한경대학교, 2002

      117 김세호, "「이민서ㆍ이건명 父子의 선유도 별서」", 『문헌과해석』 68호, 문헌과해석사, 2014

      118 심경호, "「조선후기 서울의 遊賞空間과 詩文學」", 『한국한시연구』 8권, 한국한시학회, 2000

      119 김기완, "「한중교유와 19세기 거주지 재현 예술」",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제51집, 한국한 문학회, 2013

      120 안대회, "「18ㆍ19세기의 주거문화와 상상의 정원」", 『진단학보』 제97호, 진단학회, 2004

      121 이경구, "「谷雲金壽增의 은거 생활과 문예 활동」", 『한국학보』 30, 일지사, 2004

      122 김세호, "「김수증이 노닌 칠선동의 유래와 전승」", 태학사, 『문헌과해석』 75호, 문헌과해석사, 2016

      123 이국진, "「조선 전기 瀟湘八景詩의 형상화 방식」", 『온지논총』 34권, 온지학회, 2013

      124 이종묵, "「조선 초 중기 인왕산에서의 문학활동」", 『인문과학』 제9집, 서울시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125 강혜선, "「조선 후기 眞景文化의 선구자 金昌協」", 『문헌과해석』 12호, 문헌과해석사, 2000

      126 구본현, "「옛 文人들이 사랑한 서울의 동북 지역」", 『인문과학연구』 제15집, 대구가톨 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127 이효숙, "『17∼18세기 장동 김문의 산수문학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28 최기수, "「자연에서 얻는 삶과 지혜: 八景과 九曲」",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2권 제 4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04

      129 송희경, "『中國南宋의 瀟湘八景圖와 그 淵源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130 송혁기, "「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48권, 한국한 문학회, 2011

      131 이경수, "「삼연 김창흡의 설악산 은둔과 한시표현」",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강원문화연구』 26,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07

      132 이진향, "『서울 西村의 歷史文化景觀에 관한 硏究』",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3 김태준, "지음ㆍ최영성 역주, 『역주 조선한문학사』", 시인사, 1997

      134 김순희, "「澤齋金昌立의 『澤齋遺唾』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49집, 한국서지학 회, 2011

      135 이종묵,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주거문화와 四宜堂」", 『한문학보』 제19집, 우리한문학 회, 2008

      136 심노숭, "지음, 안대회ㆍ김보성 외 옮김, 『자저실기』", 휴머니스트, 2014

      137 김남기, "「김창업과 김창흡을 추도한 조정만의 만시」",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10권, 한국한 시연구, 2002

      138 안득용, "「金昌翕散文硏究: 閑寂과 紐帶를 중심으로」", 『고전과해석』 제13집, 고전한 문학연구학회, 2012

      139 노재현, 심우경, 박주성, "「仙遊九曲園林에 나타난 神仙指向的모티프」", 『한국전통조 경학회지』 8권,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

      140 배미정, "「農巖金昌協의 『農巖眞蹟』과 『農巖集』」", 『서지학보』 제34호, 한국서지학회, 2009

      141 김세호, "「17-18세기 安東金門이 享有한 梅花의 文化史」", 『한국한문학연구』 63권, 한 국한문학회, 2016

      142 박명희, "「文谷金壽恒시문에 投影된 月出山의 이미지」", 『호남문화연구』 제29집, 전 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1

      143 김인규, "「김원행의 학문과 석실서원에서의 강학활동」",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제22집,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144 김태수, "『조선시대 은거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이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45 김학수, "「17세기의 名家: 壯洞金氏, 『문헌과해석』 12호", 문헌과해석사, 2000

      146 노재현, 신병철, "「中庸의 미학으로 살핀 道東書院의 경관짜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제30권 제4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147 이경구, "「17세기 후반 농암 김창협의 탈속과 참여 의식」", 仁川敎育大學校 畿甸文化硏究所, 『기전문화연구』 제34집, 기전문화연구소, 2008

      148 양승민, "「매월당 김시습 초상화의 改模과정과 그 의미」", 『열상고전연구』 제38집, 열상고전연구회, 2013

      149 이경구, "「조선후기 安東金門의 의리 실현과 정치 활동」", 『한국문화』 제30집, 규장 각한국학연구소, 2002

      150 박철상, "「조선후기 문인들의 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한문교육연구』 제35호, 한 국한문교육학회, 2010

      151 유가현, "『조선시대 사대부 園林으로서 洞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52 오석환, "「農巖金昌協의 建築記에 나타난 문장기법 연구」", 『한자한문교육』 제22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9

      153 유준영, "「造形藝術과 性理學的측면 에서 본 華陰洞精舍」", 『정신문화연구』 19, 한 국학중앙연구원, 1983

      154 노재현, "「中國武夷九曲의 場所美學과 河川形態學的特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6권 제4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08

      155 김세호, "「정약용이 고친 곡운구곡에 대한 김수증의 반박」", 태학사, 『문헌과해석』 74호, 문헌 과해석사, 2016

      156 조성산, "「18세기 후반 石室書院과 지식ㆍ지식인의 재생산」", 『역사와 담론』 제66집, 호서사학회, 2013

      157 정재훈, "「17∼18세기 노론계 문인의 소옹의 시문 수용 양상」", 우리문학회, 『우리문학연구』 제25 집, 우리문학회, 2008

      158 이승수, "「17세기후반 사대부의 金時習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제 28집, 한국한문학회, 2001

      159 김용기, 이원호, "「抱川金水亭一圓의 立地와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한국전통조경 학회지』 제24권 제3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06

      160 조영임, "「농암 김창협 시세계의 한 국면: 輓詩를 중심으로」", 『우암논총』 제6집, 충북 대학교 우암연구소, 2012

      161 이경구, "「金元行의 實心강조와 石室書院에서의 교육 활동」", 『진단학보』 88, 진단학 회, 1999

      162 노재현, "「傳統景觀의 原型으로 본 瀟湘八景의 형식과 구조」", 『온지논총』 34권, 온지 학회, 2013

      163 노재현, 최종희, 박주성, "「蒼玉屛의 위치 比定및 思菴朴淳의 정원유적 연구」", 『한국 전통조경학회지』 34권 4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164 고연희, "「조선후기 산수기행문예에 나타나는, “奇” 추구」", 『한국한문학연구』 49권, 한국한문학회, 2012

      165 최은혜, "『金壽增의 谷雲九曲경영과 문학 활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6

      166 이효숙, "「조선 후기 서인 노론계 문인들의 구곡시와 장소성」",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국제어문』 제59집, 국제어문학회, 2013

      167 고연희, "「瀟相八景, 고려와 조선의 詩 畵에 나타나는 受容史」", 『동방학』 제9집, 한서 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3

      168 여희정, "「金昌翕매화시의 특징: 「松栢堂詠梅」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48권, 한국한문학회, 2011

      169 노재현, "「瀟湘八景, 전통경관 텍스트로서의 의미와 결속구조」", 『한국조경학회지』 제 37권 제1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09

      170 고연희, "「金昌翕, 李秉淵의 山水詩와 鄭敾의 山水畵비교 고찰」", 『한국한문학연구』 20권, 한국한문학회, 1997

      171 김동현, 최종희, 이원호, 김재웅, "「조선후기 원림 石坡亭의 공간변화양상에 관한 고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3권 제1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172 안대회, "「1710년대 한강변 누정 조사, 엄경수의 「연강정사기」」", 『문헌과해석』 68호, 문헌과해석사, 2014

      173 유준영, "「谷雲九曲圖를 중심으로 본 17세기 實景圖發展의 一例」", 『정신문화연구』 3 권, 한국학중앙연구원, 1980

      174 조준호, "「경기지역 서원의 정치적 성격 - 석실서원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제11집, 한국국학진흥원, 2007

      175 김한배 ( Han Bai Kim ), 이승희 ( Seung Hee Lee ), "서울 서촌지역 조선조 원림의 위치추적을 통한 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 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제3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176 고연희, "「17C말 18C초 白岳詞壇의 明淸代繪畵및 畵論의 受容양상」", 『동방학』 3,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1997

      177 박명희, "「문곡 김수항의 시문에 구현된 영암 유배지에서의 생활」", 『호남문화연구』 제43집,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8

      178 진영미, "「농암 시론에서의 사치와 문예미 탐색: 자연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 21 권, 동방한문학회, 2001

      179 이종묵,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한국한시연구』 18권, 한국한시학회, 2010

      180 장성덕, "「文谷金壽恒의 處世양상: 『문곡집』 奏議類를 중심으로」", 『한국인물사연구 』 25, 한국인물사연구회, 2016

      181 조성산, "「17세기 후반∼18세기 초 金昌協ㆍ金昌翕의 학풍과 현실관」", 『동양학』 제41 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7

      182 박명희, "『朝鮮後期時論硏究: 農巖金昌協과 三淵金昌翕을 中心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83 신경훈, "「고전문학: 삼연 김창흡 시에 나타난 관물정신의 변모 양상」", 사림어문학회, 『사림어문연 구』 23권, 사림어문학회, 2013

      184 박은희, 조병상, 장운기, 이재근, 윤민규,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 제4곡 분 천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제2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185 부유섭, "「壯洞金門의 서적 유통과 지식 재생산: 명청 서적을 중심으로」", 민족문화 제41집, 한국고전번역원, 2013

      186 유준영, "「九曲圖의 發生과 機能에 대하여: 한국 實景山水畵發展의 一例」", 『미술사학 연구』 151, 한국미술사학회, 1981

      187 김은정, "「17세기 초 문학작품의 易學차용 양상 : 申欽주변인물을 중심으로」", 『한 국한문학연구』 제45집, 한국한문학회, 2010

      188 이근호, "「蕩平政局下安東金門의 政治的位相: 英祖代淸陰家系를 중심으로」", 『한자 한문연구』 제7호,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11

      189 이경구, "「17-18세기 안동 김문이 조성한 공간들: 이념과 은거의 공간적 구현」", 『한 자한문연구』 제7호,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11

      190 이종호,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 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한문 학논집』 30, 근역한문학회, 2010

      191 이효숙, "「장소성 개념을 통해 살펴 본 「무이도가」와 「곡운구곡가」비교」", 동아시아고대학회, 『동아시아 고대학』 제24집,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192 신동섭, "『조선 후기 명승에 대한 사실적 인식의 발전: 장동 김문을 중심으로』",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3 류제헌, 전종한, 유영석, "「전통 명승의 현재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화천 谷雲九曲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제25권 제1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194 박경남,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散文의 진면목: 商販碑誌文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연구』 46집, 한국한문학회, 2010

      195 노재현, "「구곡원림의 원류, 중국 武夷九曲의 텍스트성: 국내 傳承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권 6호, 한국조경학회, 2009

      196 김형술, "「조선후기 한시 쇄신의 방향성에 대한 소고: 백악시단의 시론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국문학연구』 제32호, 국어국문학회, 2015

      197 이종호, "「三淵金昌翕의 詩論과 그 批評史的意義: 朝鮮後期詩論批評의 基調와 方 向」", 『동양한문학연구』 11, 동양한문학회, 1997

      198 조남호, "「김창협 학파의 우리 문화 인식: 진경산수화가 지닌 진경의 의미를 중심으 로」", 『인천가톨릭대학교 논문집』 제17호, 인천가톨릭대학교, 2005

      199 윤경희, "「18세기 초 장동 김씨 일문의 연행 체험: 金昌集의 「연행훈지록」을 중심으 로-」", 『한자한문교육』 19권,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7

      200 이종묵, "「鄭歚의 그림 속에 살던 사람들: 「廣津」, 「鴨鷗亭」, 「銅雀津」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제32호, 국어국문학회, 2015

      201 안득용,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山水遊記硏究: 農巖金昌協과 三淵金昌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02 이경수, "「18세기 한시에 나타난 설악산의 心象: 삼연 김창흡과 그 주변 인물들을 중 심으로」", 『한국시가연구』 제32집, 한국시가학회, 2012

      203 김형찬, "「安東金門의 지식논쟁과 지식권력의 형성: 農巖金昌協의 학문적 입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56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204 박경남, "「金昌協의 산문 批評을 통해 본 글쓰기 방법론: ‘주제 잡기’와 ‘단락 구성’의 문제」", 『국문학연구』 제21호, 국어국문학회, 2010

      205 윤지훈, "「農巖金昌協의 唐宋派受容과 變奏에 관한 一考: 金昌協選『八大家文十選 』을 중심으로」", 『한문학보』 제23집, 우리한문학회, 2010

      206 정재훈, "「17세기 후반 조선사상계의 분화 17세기 후반 노론학자의 사상: 송시열 김 수항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제13권, 한국역사연구회, 1994

      207 이종호, "「壯洞金門의 隱遁地(外圃) 經營과 金昌翕의 隱逸意識: 梅月堂과 谷雲이 간 자리에 三淵이 둥지를 틀다」", 『동방한문학』 제32집, 동방한문학회, 2007

      208 박은정, "『17C 말 18C 전기 農巖계열 문장가들의 古文論연구: 金昌協 李宜顯 李德 壽 申靖夏 李夏坤의 韓歐正脈論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