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퇴계의 심성론 연구 = A Study on Toegye 's Theory of Mind and He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7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여말선초麗末鮮初 시기의 주자학朱子學이 퇴계退溪 심성론心性論에 미친 영향을 토대로 하여, 퇴계의 심성론의 이론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퇴계 심성론이 형성...

      본 논문의 목적은 여말선초麗末鮮初 시기의 주자학朱子學이 퇴계退溪 심성론心性論에 미친 영향을 토대로 하여, 퇴계의 심성론의 이론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퇴계 심성론이 형성의 이론 기초와 학문적 연원, 심성론의 특징, 학문의 본질 및 목표에 대해 명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일생 동안 주자학을 계승하여 연구에 몰두했던 퇴계는 유가의 정통적 심성론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이전의 성리학자들보다 한층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퇴계 심성론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주자와 직접적인 비교 속에서만 이뤄져 왔다. 하지만 퇴계는 조선왕조 중기의 사람으로 그 때는 주자학이 조선조에 전래된 시간이 이미 200여년이 지나 있었다. 이렇듯 퇴계학 연구가 주자와의 직접적인 비교뿐이라면 두 학자 간의 300여 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이 배제되며, 또한 200여년의 여말선초 시기를 채우고 있는 주자학의 내용 및 그 역사가 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필자는 퇴계의 철학이 선행하는 여말선초 시기의 주자학자들의 사상과 무관한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에 대한 계승적 연장선에 있다고 이해한다. 이 점을 고려하여 퇴계 심성론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먼저 퇴계 이전의 주자학자들의 사상 전개와 발전과정이 어떻게 퇴계의 철학을 특색이 있는 철학으로 발전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즉 퇴계의 심성론이 기본적으로 주자 심성론의 틀을 벗어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자신이 주장했던 많은 부분이 여말선초 시기의 주자학자들에게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oegye(退溪)'s Theory of Mind and Heart(心性論), by reflecting the effect of Neo-Confucianism(朱子學)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麗末鮮初) on Toegye's Theory of 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oegye(退溪)'s Theory of Mind and Heart(心性論), by reflecting the effect of Neo-Confucianism(朱子學)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麗末鮮初) on Toegye's Theory of Mind and Heart. Especially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oegye's Theory of Mind and Heart, its academic origin and characteristics, its academic essence and objectives.
      Toegye dedicated his life to studying the Neo-Confucianism, which he developed one step further as he succeeded the tradition of Confucian's Theory of Mind and Heart. However Toegye's study focused on direct comparison to the doctrines of Zhu-Xi(朱熹). Toegye lived during the mid Choseon when the Neo-Confucianism were already introduced two centuries ago. If Toegyehak(退溪學) study is only about direct comparison to the Neo-Confucianism, more than three centuries of gap between the two scholars might have been excluded along with the content and history of th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that filled the time of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
      Therefore I think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ideas of the Neo-Confucianism during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 when Toegye's philosophy preceded. Rather, it is the extension of the Neo-Confucianism. Reflecting these aspects to identify Toegye's Theory of Mind and He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development of the Neo-Confucianism before Toegye on development of Toegye's philosophy. The importance of Toegye's Theory of Mind and Heart, even when it is based on Neo-Confucianism of Mind and Heart, lies in the fact that most of his views were affected by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II. 퇴계철학 성립의 역사적 이해 9
      • 1. 여말선초 주자학 형성의 배경 9
      • 1) 여말선초 이전의 주자학 9
      • 2) 주자학의 초기수용 12
      • I. 서 론 1
      • II. 퇴계철학 성립의 역사적 이해 9
      • 1. 여말선초 주자학 형성의 배경 9
      • 1) 여말선초 이전의 주자학 9
      • 2) 주자학의 초기수용 12
      • 2. 여말선초 주자학의 전개 17
      • 1) 여말선초 주자학 이해의 심화 17
      • 2) 사림파의 형성과 그 특징 25
      • 3) 주리론와 주기론의 선구자 31
      • 3. 퇴계 학문의 형성과 그 성과 35
      • 1) 수학시기 36
      • 2) 학문진전시기 39
      • 3) 저술시기 44
      • Ⅲ. 퇴계 심성론의 이론구조 54
      • 1. 퇴계 심성론의 연원 54
      • 1) 주자의 심성론 54
      • 2) 여말선초의 심성론 63
      • 2. 퇴계 심성론의 형이상학적 근거 75
      • 1) 주자의 리기론 75
      • 2) 여말선초의 리기론 78
      • 3) 리의 개념과 성격 83
      • 4) 리와 기의 관계 88
      • 3. 심성에 대한 관점 97
      • 1) 합리기·통성정 97
      • 2) 본연지성·기질지성 105
      • 3) 인심·도심 110
      • Ⅳ. 사단칠정에 대한 관점 118
      • 1. 사단칠정의 의미와 발단 118
      • 1) 사단칠정의 의미 118
      • 2) 여말선초의 사단칠정 122
      • 3) 사단칠정의 발단 124
      • 2. 사칠논변에서 퇴계의 입장 127
      • 1) 방법론상에 있어서 분대간의 입장 127
      • 2) 사칠논쟁에 있어서의 리발설 145
      • 3) 사단칠정론에 대한 여말선초 주자학의 영향 155
      • 3. 사단칠정논쟁이 주자학에서 갖는 의의 162
      • Ⅴ. 결 론 166
      • 1. 여말선초 주자학이 퇴계에 미친 영향 166
      • 2. 퇴계 심성론의 특징 171
      • 참고문헌 176
      • ABSTRACT 18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순목, "『퇴계평전』", 지식산업사, 1999

      2 이완재, "『퇴계 이황』", 예문서원, 2002

      3 윤사순, "『한국유학사』", 지식산업사, 2013

      4 이병도, "『한국유학사』", 아세아문화사, 아시아문화사, 1987

      5 柳正東, "「양촌의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대논문집』제13집, 1968

      6 정상봉, "『철학의 시대』", 해냄출판사, 2013

      7 程石泉, "李退溪와 朱子哲學", 『退溪學報』56, 1982

      8 步近智, "이퇴계의 천인지학", 『퇴계학연구논총』8, 1991

      9 步近智, "퇴계학과 孔孟유학", 『퇴계학보』제87.88합집, 1995

      10 이상은, "퇴계의 생애과 학문", 예문서원, 2000

      1 정순목, "『퇴계평전』", 지식산업사, 1999

      2 이완재, "『퇴계 이황』", 예문서원, 2002

      3 윤사순, "『한국유학사』", 지식산업사, 2013

      4 이병도, "『한국유학사』", 아세아문화사, 아시아문화사, 1987

      5 柳正東, "「양촌의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대논문집』제13집, 1968

      6 정상봉, "『철학의 시대』", 해냄출판사, 2013

      7 程石泉, "李退溪와 朱子哲學", 『退溪學報』56, 1982

      8 步近智, "이퇴계의 천인지학", 『퇴계학연구논총』8, 1991

      9 步近智, "퇴계학과 孔孟유학", 『퇴계학보』제87.88합집, 1995

      10 이상은, "퇴계의 생애과 학문", 예문서원, 2000

      11 서용화, "퇴계의 인간관 연구", 퇴계학연구원, 『퇴계학보』제70집, 1991

      12 蒙培元, "퇴계󰡐심'의 敬持說", 『퇴계학연구논총』8, 1997

      13 李東熙, "「왕양명과 이퇴계」",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9, 1988

      14 유명종, "『퇴계의 철학세계』", 세종, 동아대학교 세종출판사, 2000

      15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6 김시표, "「퇴계의 理動 문제」", 『철학논총』제6집, 1990

      17 안유경, 최영진, "『고봉 기대승 연구』", 高峯學術院, 이화사, 2009

      18 윤사순, "『퇴계 이황의 철학』", 예문서원, 예문서원, 2013

      19 금장태,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출판사, 2000

      20 葉 朗, "新世紀의 要望과 유학", 『퇴계학보』제87.88합집, 1995

      21 김봉건, "「주자와 퇴계의 인설」", 『퇴계학논집』6, 2000

      22 이상은, "「퇴계의 학문과 사상」", 『한국유학사상론문선집』14, 1993

      23 유명종, "「퇴계의 횡설과 수설」", 『퇴계학보』제68집, 1990

      24 김보정, "「포은 정몽주의 사상」", 『한국사상과 문화』39, 2007

      25 정상봉, "「이황의 학문과 리기론」", 『철학의 시대』, 해냄출판사, 2013

      26 윤사순, "「퇴계에서 자연과 인간」", 『퇴계학보』제75,76합집, 1992

      27 정순목, "「퇴계학의 構造와 內容」", 『퇴계학연구』제11집, 1991

      28 楊憲邦, "李退溪和朱熹性情觀的異同", 『퇴계학보』58, 1988

      29 양승무, "「주자학과 퇴계학의 同異」", 『퇴계학보』제87,88합집, 1995

      30 반창화, "「퇴계 理철학의 理論特色」", 『퇴계학연구』제4집, 1990

      31 유명종, "「퇴계의 分開說과 剔拔說」", 『퇴계학보』제87,88합집, 1995

      32 이우성, "「퇴계의 리학적 역사인식」", 『퇴계학』제4집, 1992

      33 김시표, "『퇴계리기론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1992

      34 任能彬, "퇴계의 도덕心理學的 一硏究", 『성곡논총』제12집, 1981

      35 장숙필, "「기론과 도학 정신의 융합」", 『조선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2009

      36 友枝龍太郞, "李退溪의 羅整菴.王陽明 비판", 『퇴계학보』제32집, 1981

      37 정상봉, "「주자철학과 퇴계사칠논변」", 『동서철학연구』제29, 동서철학연구회, 2003

      38 최영진, "「퇴계체용론의 타당성문제」", 『성균관대론문집』5, 1990

      39 배상현, "「退溪 이황선생의 禮學사상」", 『퇴계학보』제85집, 1995

      40 최영진, "「退栗의 리기론과 세계인식」", 『대동문화연구』제28집, 성균관대, 1993

      41 성태용,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 현실』26, 철학문화연구소, 1995

      42 정상봉, "「주자 형이상적의 심층구조」", 『한국철학사논집』제33,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43 윤천근, "「퇴계철학의 方法論的 摸索」", 『한국의 철학』제20집, 1992

      44 이원명, "『고려시대 성리학 수용연구」",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1997

      45 정대환, "「권근 성리학의 구조와 특성」", 『중천김충열화갑개념논문집』, 1992

      46 장성재, "「려말 성리학의 흐름과 특징」", 『한국논문사상선집』41, 불함문화사, 1998

      47 양명수, "「퇴계의 칠정론과 악의 문제」", 퇴계학연구원, 『퇴계학보』제112집, 2007

      48 윤사순, "『퇴계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75

      49 정순목, "「臺灣,中國에서의 退溪學硏究」", 『퇴계학연구』제19호, 1991

      50 이해영, "「이황 리발설의 의미론적 고찰」", 『퇴계학보』제80집, 1993

      51 金聲凡, "「퇴계 리기론의 존재론적 접근」", 영남철학회, 『철학논문』제9집, 영남철학회, 1993

      52 이상익, "「퇴계 성리학과 퇴계학의 본령」", 퇴계학연구원, 『퇴계학보』121, 2007

      53 최승호, "「퇴계의 본체론에 대한 재조명」", 『퇴계학보』제15호, 1987

      54 김기현, "「퇴계철학 연구의 반성과 과제」", 『한국의 철학』2, 1992

      55 김종석, "「퇴계철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의 철학』제23집, 1995

      56 이애희, "「퇴계철학에 있어서 知의 問題」", 『퇴계학보』제74집, 1994

      57 진래, "지음 안재호 옮김,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2011

      58 장윤수, "「<太極圖說>에 관한 朱陸의 論辯」", 『퇴계학보』제19호, 1991

      59 금장태, "「敬齋箴圖와 退溪의 居敬修養論」", 『퇴계학보』제68집, 1990

      60 강희복, "『퇴계의 '心與理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3

      61 김세한, "「宋代 新儒學과 退溪의 철학사상」", 『퇴계학보』제68집, 1990

      62 주광호, "「퇴계의 미발설과 거경의 수양론」",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연구』40, 2010

      63 성해준, "「퇴계학의 국제적 연구동향 고찰」", 『퇴계학논집』15, 2009

      64 김성범, "『퇴계와 율곡의 심성설 비교연구』", 동아대학교박사논문, 1994

      65 李甦平, "이퇴계의 敬철학과 미래의 인격발전", 『퇴계학보』제87.88합집, 1995

      66 이애희, "「퇴계의 인성.물성론에 대한 연구」", 『퇴계학보』제75,76합집, 1992

      67 최영진, "「퇴계의 체용론과 理에 관한 考察」", 『공주사대논문집』제20집, 1982

      68 김종석, "「퇴계학 연구 분야의 새로운 논의」", 『퇴계학연구』 제20호, 1992

      69 항광명, "『주자 심성론의 퇴계 철학적 전개』", 대전대학교 박사논문, 2001

      70 蒙培元, "퇴계의 心의 경지설과 그 현대적 의미", 『퇴계학보』제87,88집, 1995

      71 이상은, "「價値의 실현으로 본 퇴계의 경사상」", 『퇴계학보』제8집, 1975

      72 류인희, "「退 栗 이전 조선성리학의 문제발전」", 『한국논문사상선집』38,불함문화사, 1998

      73 김병권, "「퇴계 문학의 역학사상적 연원 연구」", 퇴계학부산연구원, 『퇴계학논집』, 2010

      74 최중석, "『나정암과 이퇴계 철학의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9

      75 이희승, "『퇴계와 율곡의 심성론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6

      76 高橋進, "퇴계은 미래에 무엇을 志向하고 있는가", 『퇴계학보』제87.88 집, 1995

      77 조종정, "「退溪與王柏的理氣"不離不雜"說論要」", 『퇴계학연구』6집, 1992

      78 문석윤, "「退溪의 <성학십도> 수정에 관한 연구」", 『퇴계학보』130, 2011

      79 김세한, "「일본에서의 退溪學 硏究動向과 成果」", 『퇴계학연구』 제19호, 1991

      80 김봉건, "「퇴계 <성학십도>에 있어서 심의 구조」", 퇴계학부산연구원, 『퇴계학논집』16집, 2010

      81 양승무, "「퇴계와 율곡의 理氣心性論 비교연구」", 『유교사상문화연구』22, 2005

      82 李海英, "「퇴계 사단칠정론의 론거에 관한 검토」", 한국유교학회, 『유교사상연구』제3집,유교학회, 1988

      83 杜維明, "朱熹의 理哲學에 대한 退溪의 獨創的 解釋", <特輯>退溪學報35, 1982

      84 최영찬, "「고봉의 심성론」 , 『고봉 기대승 연구』", 이화출판사, 2009

      85 김용헌,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과 특징」", 『국학연구』19, 2011

      86 양명수, "「퇴계의 太極生兩儀 해석의 신학적 의미」", 『퇴계학보』125, 퇴계학연구원, 2009

      87 금장태, "「퇴계학연구의 回顧와 展望-哲學的 영역」", 『퇴계학연구』제18호, 1990

      88 금장태, "「퇴계학연구의 回顧와 展望-철학적 領域」", 『한국의 철학』제18집, 경북대, 1990

      89 黃遺腹, "中國內의 퇴계학 硏究動向과 韓國學의 現況", 『퇴계학연구』제16호, 1988

      90 許昌武, "퇴계의 리기심성론적 도덕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의 교육과 윤리』, 1993

      91 하영석, "「정주학 정통에서 본 退溪.高峯 論爭檢討」", 『한국의 철학』제9호, 1980

      92 정상봉, "「퇴계의 주자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색」", 『한국철학논집』제37, 2013

      93 송휘칠, "「毆美諸國에서의 退溪學 硏究動向과 成果」", 『퇴계학연구』19, 1991

      94 나대용, "『이기호발설의 이기융합구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9

      95 이동희, "「조선 전기 주자학의 성격」, 『유학연구』3", 충남대유학연구소, 1995

      96 李永慶, "「퇴계의 인성론에 있어서 선악과 도덕의지」",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한국문화』, 2002

      97 성태용, "「퇴계 이황의 사상;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철학과 현실』24,철학문화연구소, 1995

      98 李光虎, "「이퇴계 학문론의 체용적 구조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서울대학교박사논문, 1993

      99 이상하, "「퇴계 고봉 사칠논변의 인식논리와 그 의미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53, 2007

      100 김기주, "「여말선초 주자학의 전개과정과 시기별 특징」", 『양명학』제8집, 2007

      101 김영식, "「퇴계의 리기관과 신유학 전통상에서의 위치」", 『퇴계학보』제81집, 1994

      102 조현기, "『퇴계 심성론의 도덕교육적 함의에 관한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13

      103 홍원식, "「퇴계학의 독창성에 대한 외국 학자들의 관점」",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104 서의명, "「주자의 심성론이 퇴계의 사단칠정에 끼친 영향」", 『퇴계학논집』6, 2000

      105 정상봉, "「한국에서 주자학 연구성과에 대한 회고과 전망」", 『중국학보』제38, 1998

      106 안재호, "「『불씨잡변』에 드러난 정도전의 불교비판 분석」", 『동서철학연구』53, 2009

      107 홍원식, "「退溪 李滉의 『宋季元明理學通錄』에 대한 硏究」", 『동아인문학회』13, 2008

      108 이광호, "“도학적 문제의식의 전개를 통해서 본 퇴계의 생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동양학』22, 1992

      109 성태용, "「기본적 관점의 제시를 통한 한국유학사 연구의 반성」", 한국철학회, 『철학』27, 1987

      110 강경현, "「퇴계 이황의 <천명도>에 대한 분석-천명도를 중심으로」", 퇴계학연구원, 2012

      111 금장태, "「퇴계에 있어서 <태극도>와 <천명신도>의 해석과 상관성」", 『퇴계학보』제87.88합집, 1995

      112 남지만, "「퇴계 互發설의󰡐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동양철학』33, 2010

      113 안재호, "퇴계 “理發”설 再論: ‘理의 能動性’ 의심과 부정에 대한 반성", 韓國儒敎學會, 『유교사상문화연구』45, 2011

      114 전호근, "『16세기 조선성리학의 특징에 관한 연구: 退,高,栗,牛논변을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7

      115 장윤수, "「韓中 儒學의 전통과 변화; 퇴계철학에 있어서 리의 능동성 이론과 그연원」",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2

      116 방현주, "「<천명도天命圖>의 판본문제 고찰- 사칠논변의 발단이 된 「천명도」에 대하여」", 『한국철학논집』40, 2014

      117 이동희, "『주자학의 철학적 특성과 그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퇴계,율곡사상 형성과 관련하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0

      118 최영성, "「퇴계 사칠리기호발론의 연원에 대한 일고찰--홍치의 『心學章句集註大全』과 관련하여」", 『한국철학논집』제37, 2013

      119 이동희, "「고봉 기대승과 율곡 이이의 성리설 비교」,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속편)』", 성대유교문화연구소, 2010

      120 홍원식, "「퇴계학과 <맹자>, 그리고 맹자」,『퇴계학과 유교문화』36, 홍원식,「권근의 성리설과 그 철학적의 위치」", 『한국사상사학』28, 2007,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