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麗末鮮初 宮闕 막새기와의 變化와 그 背景 硏究 : 磨硏技法을 中心으로 = A study on changes and background of roof-end tiles of palaces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 focusing on polishing techniq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3174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龍仁大學校,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龍仁大學校 文化財大學院 考古美術史學科 考古學專攻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31 판사항(6)

      • DDC

        738.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 116 p.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金吉植
        권말부록 수록
        참고문헌: p. 101-10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말선초 궁궐에서 사용된 막새기와의 형태·문양·제작기법이 양식적으로 유사한 원인을 조선 초 정치·사회적 배경에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제작기법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

      본 연구는 여말선초 궁궐에서 사용된 막새기와의 형태·문양·제작기법이 양식적으로 유사한 원인을 조선 초 정치·사회적 배경에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제작기법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마연정면에 초점을 맞추어 특징을 분석하고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아련기와가 마연정면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궁궐은 국왕이 거주하며 국가를 통치한 장소로 최상위의 공간이며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그러므로 궁궐에서 사용된 기와는 당대를 대표하는 요소들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그 중에서도 막새기와가 가진 제작기법상 특징이 고려와 조선의 궁궐에 사용된 막새기와를 비교하는 대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여말선초 대표 궁궐인 개성 고려궁성과 서울 경복궁을 중심으로 국가와 관련이 깊은 권위유적에서 출토된 막새기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려 말 고려궁성에서 확인되는 막새의 형태, 막새와 평기와의 갈퀴접합, 용·봉황문, 마연정면으로 요약되는 요소들이 조선 초 경복궁에 사용된 막새기와에도 연속적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속성을 나타내는 제작 속성 중 막새기와와 평기와의 노출면에 적용되는 마연정면에 주목하였다. 궁궐·사찰·도성의 성문 등 권위건물에서 출토된 기와 일부에서, 표면을 마연한 기와를 분석하여 윤광을 통한 장식성과 기와의 2차 정형에 목적이 있는 특수기와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아련기와를 마연정면한 기와로 이해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마연정면과 아련기와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아련기와가 궁궐·사찰·정자각과 같이 권위건물에 사용됐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기와의 표면을 정면하여 제작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즉 마연정면으로 제작된 기와와 아련기와가 동일한 특징을 공유하는 바 조선시대 아련기와의 존재를 고고자료로 확인한 것이다.
      고려와 조선의 궁궐에 사용된 막새기와의 양식적 연속성은 어떤 배경에서 이루어졌을까. 그 근거는 한양도성의 건설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 말 관영건축을 담당했던 환관이 조선 초의 관영건축에도 깊숙이 참여했다는 점과 경복궁과 숭례문의 건축을 비롯하여 한양도성의 건설 및 조선시대 기와제작에 승려들이 참여하여 주도했다는『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고려와 조선의 궁궐에서 사용된 막새기와 양식의 연속성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y forms pattern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roof-end tiles used in palaces in late Goryeo(高麗) and early Joseon(朝鮮)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this study placed emphasis on the possibility that Aryeon roof ...

      This study examined why forms pattern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roof-end tiles used in palaces in late Goryeo(高麗) and early Joseon(朝鮮)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this study placed emphasis on the possibility that Aryeon roof tiles(牙鍊瓦) found in the literature during the Joseon period were produced by polishing for surface treatment with a focus on the production attributes of repeated polishing for surface treatment on the roof tile surface using tools.
      Roof tiles have been considered as a building material representing the prestige of authority buildings since ancient times and excavated from building sites frequently. Moreover, palaces as representative of authority buildings are the supreme space where the king resides and governs the state. Therefore, elements representing the period appear in roof tiles used in palaces. Among them, it was considered appropriate to select roof-end tiles as a targe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alaces in both periods because patterns at the roof end are expo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authority buildings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royal authority with a focus on Kaesong-Royal Palace of Goryeo(開城高麗宮城) and Gyeongbokgung(景福宮) as a representative palace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lements summarized as the form roof-end tiles, rake joining method between roof-end and flat roof tiles, dragon and phoenix designs, and polishing for surface treatment were maintained in Gyeongbokgung in early Joseon.
      Moreover, this study focused on polishing for surface treatment applied to the exposed surface of roof-end and flat tiles among the production attributes. Polishing for surface treatment is a method of repeatedly polishing the surface using tools after roof tiles dry to some extent and was performed to acquire decorativeness by glazed roof tiles and to conduct the secondary formation of roof tiles.
      On the other hand, it was regarded that specific name of Aryeon was used for Aryeon roof tiles found in the literature during the Joseon period because they are glazed by polishing the surfa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ryeon roof tiles were used in roofs of buildings with high spatial hierarchy such as palaces and Jeongjagak(丁字閣: T-shaped shrine for tomb rite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polishing for surface treatment found both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was the production method for Aryeon roof tiles used in the Joseon period.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tylistic continuity of roof-end tiles used in the palaces of Goryeo and Joseon was established. Although Joseon was founded due to changes in thought that dominated Goryeo, it would be difficult to remove the old customs of Goryeo lasted for about 500 years at once. Joseon was founded by bureaucrats who had Neo-Confucian ideology, a variety of social strata such as eunuchs, Buddhist monks, and Feng Shui(風水) experts participated in building Hanyangdoseong(漢陽都城: the Fortress Wall of Seoul).
      As describ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eunuch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public buildings in late Goryeo participated actively in that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Buddhist monks took the initiative in participating in producing roof tiles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constructing Hanyangdoseong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and Sungnyemun(崇禮門), the continuity of the roof-end tiles used in the palaces in both periods was suppor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연구현황과 연구방법 3
      • 1. 기존 연구성과와 문제점 3
      •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8
      • Ⅰ. 머리말 1
      • Ⅱ. 연구현황과 연구방법 3
      • 1. 기존 연구성과와 문제점 3
      •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8
      • Ⅲ. 궁궐 출토 막새기와의 분석과 유형 11
      • 1. 분류기준 13
      • 2. 유형분류 24
      • Ⅳ. 막새기와의 제작기법 37
      • 1. 막새기와 제작기법 38
      • 2. 마연정면과 조선시대 牙鍊기와 61
      • Ⅴ. 궁궐 막새기와의 변화와 그 배경 77
      • 1. 여말선초 궁궐 막새기와의 변화 77
      • 2. 여말선초 정치·사회적 배경과 조선기와의 제작 86
      • Ⅵ. 맺음말 99
      • ▣ 참고문헌 101
      • ▣ ABSTRAC 106
      • ▣ 부 록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