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무르-연해주 지역의 중세시대 성곽 연구 = A Study of the Medieval Castles in the Amur Region and Primorsky Kra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13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指出位于阿穆尔-沿海州地区的中世纪城郭的起源,把此城郭分为前∙中∙后期而取出各时期城郭的分布、环境、规模、功能、平面形制、建筑材料和结构特点,并且了解城郭的时间变...

      本研究指出位于阿穆尔-沿海州地区的中世纪城郭的起源,把此城郭分为前∙中∙后期而取出各时期城郭的分布、环境、规模、功能、平面形制、建筑材料和结构特点,并且了解城郭的时间变迁和地域特征。最后,比较周边文化圈的城郭以及其关系来探讨其地区的文化。
      在本稿中分析对象的城郭是一共402座,包括俄罗斯、中国等现在行政地区,以江河为中心,可分为阿穆尔河上游、阿穆尔河中游、阿穆尔河下游、嫩江流域、松花江中游、松花江下游、牡丹江流域、穆棱河流域、绥芬河流域、乌苏里江以及沿海州沿岸地区等11个地区。大多数城郭分布在嫩江∙松花江。
      在此地方发展了可大分为中世纪前期(靺鞨、渤海)、中世纪中期(女真)、中世纪后期的文化,也便形成了多样的城郭建筑传统。中世纪前期城郭(靺鞨城郭)的大部分筑造类似于初期铁器时代城郭。靺鞨城郭主要处于江河沿岸附近的小山坡。大部分城郭规模小,筑造城墙时采用重叠1~3层的土筑方法,城墙外面设置了重叠1~3层的城壕。城墙上面未发现任何附属设施。靺鞨接受周边文化的影响,而筑造了长方形的平地城。靺鞨城分布在除了中国境内以外的阿穆尔-沿海州全地区。靺鞨城具有地域性特点,这是由靺鞨内部集团之间的差异、地区的条件、与渤海文化之间的关系而来的不同点。
      渤海城郭分布于牡丹江、穆棱河、绥芬河、乌苏里江下游地区。渤海城郭是平地城多于山城,筑造为定型的平面形或者未定型的长方形(方形)形制。之外,还可确认使用了土筑、石筑、土石混筑以及城墙外面加石头来加固等多样的筑城技法。渤海城郭中有一部分城郭上发现城垛、角楼、瓮城等。渤海山城的筑造是结合一部分的高句丽筑城传统技术和靺鞨式筑城技法等要素的结果。渤海平地城具有行政中心,且由城郭的周围环境和规模等的要素与行政单位有着密切关系。尤其是山城一般根据其城郭的规模和位置来当做防御-监督。渤海城郭具有的地域差异是,与地域的等级、经济、交通发展差异等大有关的。沿海州沿岸和乌苏里中游地区多发现使用在与渤海时期同一时间的城郭。因为这城郭位于渤海边疆,所以没被包含在渤海疆土里,但其城郭继承了一部分的渤海筑城技法传统。之外,这也可看到波克罗夫卡文化的影响。
      女真时期城郭是除了沿海州沿岸和阿穆尔上游地区以外,分布于阿穆尔-沿海州全地区。金朝的城郭是接近于典型的平地城为主,并具有少数的山城为特点。筑城时使用板筑技法,城墙上设置城垛、角楼、瓮城等多样的附属设施。金朝的城郭按照其规模分为首都、路城、府城、县城等,另有猛安-谋克。
      金朝末期随着东夏国的建立,进入了战争期间,金朝城郭使用为首都、猛安-谋克的中心。城郭一般位于绥芬河、乌苏里江流域、沿海州沿岸地区。城郭都是未定型的山城,城墙上有多样的附属设施、堡垒、内城等,为了扩大生活空间,内部设置了露台。东夏国城大多是使用板筑技法的土城,但也有使用石头堆砌的石筑城。在沿海州还未明确地发现属于东夏国以后的元代的城郭,并在此地方直到19世纪未有城郭(城市),这可判断为筑城传统被断绝。
      女真以后的阿穆尔中游地区的城郭文化一直在发展。城郭都是平地城,使用土筑技法。墙壁的形制为比较定型,但呈现波状为其特点,附属设施有角楼和城垛。当17世纪俄罗斯开发者和移民者到达阿穆尔地方的时候,在此地方开始出现筑造新类型的城郭(雅克萨城),从此结束了中世纪时代。
      根据时期的过去,阿穆尔-沿海州的中世纪时代的城郭上可确认共同点和差异,也能找到地域性的特点。中世纪前期,以土筑城墙来保护土楼和城壕,城郭在江河或者小山坡上筑建。渤海城郭上几乎未发现附属设施。而渤海城郭的数量增多,其规模比之前变巨大。比起之前的城郭,从小型城郭到首都城郭都在行政功能上变为复杂以及多样。与山城比起来,定型化的平地城的数量变激增,使用石筑技法(石筑、土石混筑)也有显眼地增加。中世纪中期的城郭有设置角楼、城垛、瓮城。还有,在东夏国时期的山城上常看见堡垒形的各面堡和内城。城郭除了东夏国的山城,其余的大部分是平地城,也具有平面形制变为更定型化的倾向。中世纪后期的平地城上设置了1~3座土楼和城壕。其城墙上也设置角楼和城垛,而城郭的整体平面形制呈为定型化且具有波状形态。
      阿穆尔-沿海州地区上分布着中世纪的城郭,具有地域性差异。在中世纪前期,靺鞨城郭筑造于除了中国以外的几乎全地区,反而渤海城郭只确认在牡丹江、穆棱河、绥芬河、乌苏里流域。在中世纪中期,女真城郭发现在全地区。东夏国城郭主要分布在绥芬河、乌苏里江流域和沿海州沿岸,并且具有同时期城郭之间的地域性差异。中世纪后期的城郭只发现在阿穆尔中游,这展示着有限的分布局面。如此,每个时期的地方性差异是中世纪城郭的环境、规模、平面形制、筑城材料、功能、附属设施等多样的要素在不同的程度上被每个文化反映的结果。
      通过比较阿穆尔-沿海州地区与其附近文化(中国、高句丽、渤海、辽-金朝、维吾尔)去了解了筑城文化的发展以及交流。其特点为渤海城郭的典型平面形制(方形、长方形)、土筑结构和防御设施。特别,模仿上京城的形制来配置内城以及宫殿建筑的原因是受到唐建筑影响的结果。中世纪中期(金朝)的城郭因受到中原文化的直接影响而具有相似于其典型的平面形制、板筑技法、首都和内部结构(内城、宫殿)。
      中世纪的筑城方面上大反映了高句丽的影响。尤其是高句丽灭亡之后,有一部分的高句丽遗民跟靺鞨族一起建立渤海国,并融合俩民族自己的文化来形成渤海文化。山城的筑城和石筑筑造技法是反映高句丽文化对渤海筑城影响的结果。以后,随着女真的筑城技法传到,高句丽文化的影响力也逐渐被消失。然而到了东夏国时期,高句丽文化影响力再次渐强而出现了以山城为中心、城郭的一部分为石筑、设置附属设备等的特点。但自从辽和金朝时期的城郭上出现附属设施普遍化的点上,不能排除除了高句丽的影响之外,还有中亚、维吾尔的筑城技法传到阿穆尔-沿海州地区而给影响的可能性。另外,这筑城技法以后在中原城郭上普遍地被使用。
      当此地区出现由渤海、女真(金)、东夏国等多民族组成的多民族政治体的时候,受到了周边文化(中原、韩半岛、蒙古等)。所以,可看为筑城技术的原型形成于初期铁器时代,并以周边文化影响为基础而发展,最后表现出每个政治体固有的筑城文化。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В письменных источниках почти нет информации о средневековых городищах, а предыдущ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е охватывали все памятники. В работе представлено описание городищ РЖВ на территории России и Китая, градостроительной традиции, положившей начало формирования раннесредневековых городищ на этой территории. После описания и анализа большинства известных средневековых городищ в Амуро-Приморском регионе, они были разделены на периоды: раннее, среднее и позднее средневековье. На основе разнообразных признаков таких, как расположение городища, топографические условия, форма, размер и функция городища, конструктив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и строительный материал, были рассмотрены временные и территориаль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средневековых городищ. Наряду с анализом градостроительства в соседних культурах, предпринята попытка осветить формирование архитектурной традиции местных культур региона.
      Объектом исследования являются городища в количестве 402 памятников, локализованных на территории Приморья и в бассейне р. Амур (Россия и пров. Хэйлунцзян). Основываясь на данных по расположению городищ вдоль бассейнов крупных рек региона, как Амур, Сунгари, Нонни, Муданьцзян, Уссури и др., они были разделены на 11 групп. Большинство городищ находится в бассейне р. Нэньцзян-Сунгари.
      В регионе были распространены разные культуры раннег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мохэ и Бохай), среднего (чжурчжэней) и позднег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дауры-дючеры), что отобразилось на градостроительной традиции региона.
      Были отмечены свойства и особенности градо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ля каждого периода. В раннем средневековье городища небольшие по площади, неправильной формы, расположены чаще на возвышенностях. Валы землянные, защищены рвами. В период Бохая количество городищ значительно вырастает, их функции станосятся усложненными,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размеров, расположения и важности города. Городища перемещаются в долины, однако горные все еще многочислены. Форма городищ в планиграфии обычно прямоугольная, квадратная или неправильная. По составу – их стены грунтовые, каменные или грунтово-каменные, чаще без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защи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В средний период городищ становится больше, функции более разнообразные. Доминируют городища равнинного типа с правильной формой в планиграфии, сооруженны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палобки методом ханту и защищенные угловыми, фронтальными башнями с захабом. Однако в конце этого периода (Восточное Ся) начинают доминировать городища горного типа неправильной формы, укрепленные значительно мощнее, чем ранее. На части городищ отмечена каменная кладка.
      В поздний период преобладают городища равнинного типа, небольшие по площади, правильной по форме, но с волнистой формой стены. Городище обнесено 1-3 рядами землянного вала и рвами. Сильно выделяются угловые защитные башни.
      Для огромного региона характерны территориаль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в расположении средневековых городищ. Мохэские городища расположены на всей территории левобережного Амура и в Приморье. В то же время городища Бохая ограничены бассейном рек Муданьцзян, Раздольная и Уссури. В средний период ареал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охватывает почти всю территорию, за исключением Верхнего Амура и С-В Приморья. Однако территория Восточного Ся охватывает приморскую территорию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В позднее средневековье территор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городищ ограничена Средним Амуром. Территориаль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прослежены и по таким признакам, как топографические условия, форма, размер и функция городища,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и материал.
      На формирование и развитие градостроительства на этой территории повлияли окружающие культуры. Отмечено влияние китайск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мысли в использовании правильных форм (квадрат и прямоугольник), преобладание южно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ворот, земля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тен (способ ханту), отсутствие отдельных оборонительных сооружений в стене, копирование формы Чанъани, внутренний город, расположение дворцовых построек. Влияние когурёск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традиции зафиксировано в использовании горных крепостей, постройке каменной или почвенно-каме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стены, защи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на части городищ (угловые и фронтальные башни, захаб). Тем не менее, такие защитные сооружения характерны для уйгурских и согдийских городищ, переселенцы которых повлияли н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этих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форм в этом регионе.
      Средневековые городища Амуро-Приморского региона, сформировавшись на основе местных культур РЖВ, и, восприняв некотор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элементы из окружающих культур, на примере городищ мохэ, Бохая, чжурчженей (Цзинь), Восточного Ся сформировали своеобразную градостроительную традицию региона.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origin, time and territorial peculiarities of medieval castles in the Amur Region and Primorsky Krai, as well as their relation and contact with architectural traditions of surrounding cultures. It is necessary to und...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origin, time and territorial peculiarities of medieval castles in the Amur Region and Primorsky Krai, as well as their relation and contact with architectural traditions of surrounding cultur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is architectural tradition and how it has influenced other, local traditions.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402 castle sites located across a broad territory spanning modern-day Russia (Amur region and Primorsky Krai) and China (Heilongjiang province). These castles are predominantly found in 11 areas along major rivers, including the Upper Amur, Middle Amur, Lower Amur, Nengjiang, Middle Songhua, Lower Songhua, Mudanjiang, Muling, Suifen and Ussuri, as well as the Primorsky coastal district.
      Exam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location, topography, form, size, function, constructional materials and structure, my research provides an analysis of each castle’s purpose and peculiar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historiography of well-known medieval castles in the Amur Region and Primorsky Krai, all castles in this study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main periods: Early (CE 4/5th-10th centuries) dominated by Mohe and Palhae, Middle (CE 10th-13th centuries) dominated by the Jurchens and Eastern Xia, and Late (CE 13th-17th centuries). My analysis flows in chronological order beginning with the Mohe Culture in the 4th century.
      Mohe castles are spread out across the entire area under examination besides Heilongjiang province. Mohe castles are usually located on a small hill near a river. They are relatively small, featuring one to three walls with moats. Their earthen walls were constructed without any special methods and featured no defensive structures along them. Their planning generally did not reflect any geometric layout, besides a few which took on a rectangular form. Castles belonging to the Mikhailovka culture are located only in the Middle-Amur basin and share a lot of similarities with Mohe castles. By the end of 7th century, Palhae begins to supersede Mohe, and a new style of castle began to appear as the preeminent style in the region.
      Palhae castles are located only along the Mudanjiang, Muling, Suifen and the Upper Ussuri Rivers. The style of Palhae castles is predominantly plain, though a far smaller number of some mountain castles prevails. These castles often featured a rectangular or square form. They were generally larger than their Mohe predecessors, though their size varied by location, importance and administrative function. Unlike preceding Mohe castles, they featured a variety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including earthen, stone-and-earth and stone walls. Defense works along the walls are absent or were built only at a few specimens.
      Jurchen period (or Lyao-Jin Dynasty) castles also span virtually the entire territory under discussion, except the Upper Amur basin and Primorsky coastal district. Jurchen-period castles are predominantly situated on plains, reflect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hantu and feature various defensive works along their walls. Rectangular and square patterns pervade in this period. Like Palhae, their size varied greatly by strategic importance and function.
      Eastern Xia castles are located generally along the Suifen, Mudanjiang and Ussuri Rivers, as well as the Primorsky coastal district. These castles defended settlements and were located at strategic positions where they could overlook vast territories. Eastern Xia emerged at the end of the Jin Dynasty and only existed for a short time, during which it was mostly at war with the Mongols. Therefore, irregular mountain castles are the predominant form in this period. They generally feature the rammed-clay hantu method of construction and various defensive works along their walls. Within their walls, large civilian settlements were established and many artificial terraces were built to extend living and handicraft places.
      Late medieval castles are located only in the Middle-Amur basin. This period is dominated by smaller castles featuring rectangular, square or sinusoidal wall layouts, with huge corner towers built like a moats outside each wall. This period came to an end in the 17th century with the onset of Imperial Russian colonization.
      While the architectural tradition of the Amur Region and Primorsky Krai demonstrates a high degree of local evolution, it was also influenced by many surrounding states and cultures. As a multi-ethnic state, Palhae exhibited a confluence of Mohe, Koguryo, Tan Chinese, and Central Asian cultures, and this is strongly reflected in its castles’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Likewise, Jurchen, China, residual Palhae and Lyao’s cultures influenced Jin castles.
      Rectilinear layout, southward-facing gates, earthen walls, few to no defensive works, imitation of Tan China’s capital (Chang’an), inner-walled cities, location of palatial buildings and other Chinese architectural ideas significantly influenced Palhae castle construction. Later on, these concepts continued to influence Jin castle development, but with the increasing proliferation of the hantu method.
      Mountain castles, stone or earth-and-stone wall construction, occasional use of defensive works in wall such as corner or frontal towers, external gate construction onson and other Koguryo architectural concepts strongly influenced Palhae castle construction as well. During the Lyao-Jin period, defensive works along walls became widespread. These trends continue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castle development through several centuries, even up to the emergence of Eastern Xia. But defensive works along walls was typical in Central Asia, including Uighur’s castles. This closely mirrors migration patterns of Central Asian peoples who were absorbed by late Palhae and especially Lyao (Jin).
      Early Medieval castle style in the Amur Region and Primorsky Krai derives from from Early-Iron Age castles. With the course of time, they drew influence from a variety of outside architectural traditions, which the examples from Mohe, Palhae, Lyao-Jin, Eastern Xia and late-medieval cultures exhibited. At the same time, loc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technical developments played a critical role in castle construction for each culture and period. It can be a method to describe medieval city life and society in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무르-연해주지역은 동북아시아의 변방에 해당되어 과거 다양한 역사적 주체가 활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고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러시아와 중...

      아무르-연해주지역은 동북아시아의 변방에 해당되어 과거 다양한 역사적 주체가 활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고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러시아와 중국에서 조사된 아무르-연해주 지역의 중세시대 성곽 자료를 종합하였으며, 시기별 성곽의 분포와 입지, 규모, 평면형태, 축조재료 및 기능을 분석하고, 각 시기별 특징 및 주변지역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 성곽은 총 402기이며, 수계에 따른 자연지리적 구분에 따라 아무르강 상류지역, 아무르강 중류지역, 아무르강 하류지역, 눈강유역, 송화강 중류지역, 송화강 하류지역, 목단강유역, 목릉하 유역, 수분하 유역, 우수리강 유역 및 연해주 연안지역 등 11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성곽의 분포와 입지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크게 중세 전기(말갈, 발해), 중세 중기(여진), 중세 후기의 문화가 각각 발전하면서 다양한 성곽의 건축전통이 형성되었다.
      아무르-연해주의 중세시대 성곽은 시기별로 공통점과 차이점이 확인된다. 중세 전기에는 불규칙한 토축 성벽을 토루와 해자로 보호하며 강이나 언덕 위에 성곽을 축조한다. 발해 성곽은 부속시설도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성곽의 수가 늘어나며 도성부터 소형 성곽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도 이전보다 다양해진다. 성곽의 규모, 위치, 중요성에 따라 행정의 기능으로서 성곽의 역할이 복잡해진다. 산성보다는 규격화된 평면형태의 평지성이 급격히 늘어나며, 토축 외 석축기법(석축, 토석혼축)의 사용이 눈에 띠게 증가한다. 중세 중기의 성곽에는 각루, 치, 옹성 등의 설치가 보편화된다. 그 외에 동하국시기 산성에서는 요새와 내성이 자주 확인된다. 중세 중기에는 판축기법이 사용되었지만 동하국 시기 성곽 일부는 석축이다. 성곽은 동하국 산성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이 평지성이며 평면형태가 규칙적인 경향을 보인다. 중세 후기의 평지성에는 1-3개의 토루와 해자가 설치되었다. 소형 성벽 위에 각루와 치가 설치되면서 성곽의 전체적인 평면형태는 규칙적이고 성벽은 파상 형태를 이룬다.
      아무르-연해주의 중세시대 성곽은 지역별로 고유한 특징이 확인된다. 중세 전기인 말갈 성곽은 송화강·목단강 유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서 축조되고 발해 성곽은 목단강, 목릉하, 수분하, 우수리 유역에서만 확인된다. 중세 중기의 여진 성곽은 모든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동하국 성곽은 주로 수분하, 우수리 강 유역과 연해주 연안에 위치하는데, 중기의 성곽 간에도 지역적인 차이가 있다. 중세 후기의 성곽은 주로 아무르 중류에서 확인되어 제한적인 분포양상을 보인다. 이처럼 각 시기에 따른 지역적 차이는 중세 성곽의 입지, 규모, 평면형태, 축성재료, 기능, 부속시설 등 다양한 요소가 각 문화에 따라 각기 달리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아무르-연해주 지역에 위치한 성곽에서는 인근의 문화가 영향을 끼쳤다. 성곽의 전형적인 평면형태(방형, 장방형), 토축 구조, 판축공법, 방어시설이 거의 없다는 점, 수도의 형태를 모방하여 내성 및 궁전 건물을 배치한 점 등에서 중원문화의 특징이 보인다. 산성 축성, 석축, 부속시설을 설치한 점에서 고구려 축성의 요소를 볼 수 있다. 다만 중세 중기의 성곽의 경우 부속시설(치, 각루, 옹성)이 보편화되는 점은 고구려의 영향 외에도 중앙아시아, 위구르 축성기법이 아무르-연해주 지역에 전해진 결과로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축성기법은 이후 중원의 성곽에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축성기법의 원형은 초기철기시대부터 형성되어, 주변 문화의 영향을 바탕으로 발전해나가면서 말갈, 발해, 여진(금), 동하국 등 각 집단별 고유한 축성 문화로 발현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はアムール-沿海州地域に位置した中世時代の城郭の起源を明らかにし、これらを前・中・後期に分け、各時期別に城郭の分布、立地、規模、機能、平面形態、建築材料、構造的特...

      本研究はアムール-沿海州地域に位置した中世時代の城郭の起源を明らかにし、これらを前・中・後期に分け、各時期別に城郭の分布、立地、規模、機能、平面形態、建築材料、構造的特徴を抽出し、城郭の時間の変遷と地域的特徴を把握したものである。それと共に、周辺文化圏の城郭とその関係を共に比較しながら、この地域の文化を究明している。
      本稿で分析の対象とした城郭は計403基であり、この地域はロシア、中国など、現在の行政地域を越え、川を中心にアムール川の上流地域、アムール川の中流地域、アムール川の下流地域、嫩江流域、松花江の中流地域、松花江の下流地域、牧丹江流域、穆陵河流域、綏芬河流域、乌苏里江流域及び沿海州の沿岸地域など、11個所の地域に分けることができる。城の大部分は嫩江・松花江に位置している。
      これらの地域では、大きく中世前期(靺鞨、渤海)、中世中期(女真)、中世後期の文化が発展する中で、多様な城郭の建築伝統が形成されたのである。

      アムール-沿海州の中世時代の城郭は、時期別に特徴とその違いが確認された。 中世前期には城壁を単純に土塁と堀で保護し、川や傾斜の険しい丘のような地形条件をうまく利用し、城を築造した。これは城壁の築造にかかる時間と人的資源を減らす方法であっただろう。渤海の城は付属施設もあまり設置されず、城壁を土塁と堀で囲んだのである。靺鞨の城とは違って、渤海の城郭の数が増え、その規模も大きくなった。渤海の城郭が小型から大型まで発見され、重要性によって城郭の行政行政の役割が多様になる。また、城郭そのものに違いがあるが、城は平地に築造され、規則的な平面の形態をよく選択し、築城では石(石垣、土石混築, 外石內土(土石)をよく利用した。中世中期の城郭の量がさらに多くなり、社会が複雑になった故、城郭にとっての行政の役割はさらに増えるのである。中世中期の城郭には 角樓、雉城、甕城が設置されたため、中世前期の城郭よりも、保護に有利だったのであろう。また 東夏国時期の山城では砦(redoubt)と內城が頻繁に確認される。中世中期には板築技法が活発に利用され、城郭築城において、以前の時期とは大きな違いが出てくる。城郭の平面形態がさらに規則的な傾向を見せているが、东夏国では山城が普遍的であるため、ほとんどの形が不規則である。中世後期の平地城には土塁が1-3個設置されたが、城の外側には堀もあり、保護機能を加えた。城は土城であるが、城壁の上に角樓と雉城が設置され、平面の形態は規則的であるが、波状形であることが特徴である。

      アムール-沿海州地域は中世の城郭が分布してあるが、地域的な違いがある。 中世前期の靺鞨城は中国 黑龍江省を除くほぼすべての地域で築造され、渤海城は 牧丹江, 穆陵河, 綏芬河, 乌苏里江流域でのみ確認される。中世中期の女眞城はほぼすべての地域で確認された。东夏国の城は主に綏芬河, 乌苏里江流域や沿海州沿岸に位置しているが、中期の城郭の間でも地域的な違いがある。中世後期の城は主にアムール中流でのみ確認され、制限的な分布の様相を見せている。このように各時期による地域的な違いは、中世城郭の立地、規模、平面の形態、築城材料、機能、付属施設など、多様な要素が文化によってそれぞれ反映されたものとみえる。
      アムール-沿海州地域と周辺の文化(中国、高句麗、渤海、遼・金国、ウイグル)を比較し、築城文化の発展と交流を把握した。渤海城郭の典型的な平面形態(方形、長方形)、土築構造と防御施設はほとんど存在しないという点が特徴である。特に上京城の形態を模倣し、內城及び宮殿建物を配置したのは、唐の建築から影響を受けたものとみえる。中世中期(金時代)の城は中原文化の直接的な影響として典型的な平面形態、板築技法、水道や内部構造(內城、宮殿)などでとても似ている。
      中世時代の築城には高句麗の影響が大きく反映されている。特に、高句麗が滅亡した後、一部の人口が靺鞨族とともに、渤海を建国することによって、自分たちの文化を融合し、渤海文化を形成した。山城築城、石垣の築造技法などは高句麗文化の影響が渤海の築城に反映された結果とみられる。以降、女眞の築城技法が伝わり、高句麗の影響は徐々に消えることになる。しかし、东夏国の時期に高句麗の要素が再び強まることになるが、山城が中心となり、一部の城を石垣で築いたこと、付属施設を設置したことなどで高句麗の要素が見える。ただし、遼と金時代の城郭で付属施設(雉城、角樓、甕城)が普遍化される点は高句麗の影響のほかにも、中央アジア、ウイグル(モンゴル地域)の築城技法が、アムール-沿海州地域に広がり、影響を与えた可能性も排除できない。一方、この築城手法は、その後、中原の城で広く使用されるようになった。
      この地域で渤海、女眞(金)、东夏国などの多民族で構成された政治制が登場するようになり、周辺文化(中原、韓半島、モンゴルなど)の影響を受けたが、築城技法の原型は初期鉄器時代から形成され、周辺文化の影響をもとに発展する中で、各政治体別に固有の築城文化が発現されたものとみられる。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1
      • 1.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1
      • 2.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지리환경 4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1
      • 1.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1
      • 2.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지리환경 4
      • 3.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역사적 배경 6
      • 4.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 성곽 연구현황 9
      • Ⅱ. 아무르-연해주지역 중세시대 성곽의 분포와 현황 19
      • 1. 아무르강 상류지역의 중세 성곽 19
      • 2. 아무르강 중류지역의 중세 성곽 22
      • 3. 아무르강 하류지역의 중세 성곽 37
      • 4. 눈강유역의 중세 성곽 39
      • 5. 송화강 중류지역의 중세 성곽 44
      • 6. 송화강 하류지역의 중세 성곽 54
      • 7. 목단강유역의 중세 성곽 59
      • 8. 목릉하유역의 중세 성곽 70
      • 9. 수분하유역의 중세 성곽 72
      • 10. 우수리강유역의 중세 성곽 81
      • 11. 연해주 연안지역의 중세 성곽 106
      • Ⅲ. 아무르-연해주지역 중세시대 성곽의 기원과 시기별 특징 120
      • 1.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시대 성곽의 기원 121
      • 2. 아무르-연해주지역의 말갈시기 성곽 126
      • 3. 아무르-연해주지역의 발해시기와 후발해 시기 성곽 133
      • 4.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요금시기 성곽 152
      • 5. 아무르-연해주지역의 동하국 시기 성곽 167
      • 6.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시대 후기 성곽 170
      • Ⅳ. 아무르-연해주지역 중세시대 성곽과 주변지역의 성곽 174
      • 1. 중원지역의 성곽과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 성곽 174
      • 2. 고구려 성곽과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 성곽 179
      • 3. 발해 성곽과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 성곽 188
      • 4. 요금시기 성곽과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 성곽 198
      • 5. 위구르 성곽과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 성곽 210
      • Ⅴ. 아무르-연해주지역 중세시대 성곽의 변천과 발전 217
      • 1. 아무르-연해주지역 중세시대 성곽의 변천 217
      • 2. 아무르-연해주지역 중세시대 성곽의 지역 특징 224
      • Ⅵ. 맺음말 234
      • <참고문헌> 241
      • <부록> 아무르-연해주지역의 중세시대 성곽 일람표 257
      • Abstract 280
      • 러시아어 요약 282
      • 中文提要 284
      • 論文要旨 28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방학봉, "『발해성곽』", 延邊人民, 연변인민출판사, 2001

      2 구난희, 정석배, 이병건, 백종오, 김진광, "발해 유적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 부, 2015

      3 張之恒, "中國考古學通論", 南京: 南京大學出版社, 1995. 353 p, 1995

      4 신창수, "「발해의 성곽」", 『발해의 역사와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7

      5 이병건, "발해건축의 이해", 백산자료원, 백산자료원, 2003

      6 방학봉,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연변인민출판사, 2002

      7 양시은, "『고구려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논문, 2013

      8 김연진, 윤광수, 리철영, "발해의 성곽과 건축", 진인진, 조선고고학전서 41 (중세편 18), 사 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진인진., 2009

      9 주국침, "주위, , 『발해유적』", 동북아역사재단 내부자료-번역 20, 2006

      10 장상렬, "「발해 성곽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호, 1987

      1 방학봉, "『발해성곽』", 延邊人民, 연변인민출판사, 2001

      2 구난희, 정석배, 이병건, 백종오, 김진광, "발해 유적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 부, 2015

      3 張之恒, "中國考古學通論", 南京: 南京大學出版社, 1995. 353 p, 1995

      4 신창수, "「발해의 성곽」", 『발해의 역사와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7

      5 이병건, "발해건축의 이해", 백산자료원, 백산자료원, 2003

      6 방학봉,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연변인민출판사, 2002

      7 양시은, "『고구려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논문, 2013

      8 김연진, 윤광수, 리철영, "발해의 성곽과 건축", 진인진, 조선고고학전서 41 (중세편 18), 사 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진인진., 2009

      9 주국침, "주위, , 『발해유적』", 동북아역사재단 내부자료-번역 20, 2006

      10 장상렬, "「발해 성곽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호, 1987

      11 송기호, "「한국과 연해주 발해」", 『발해와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8

      12 서길수, "『고구려 축성법 연구』", 학연문화사, 학연문화사, 2009

      13 한규철, "「발해5경의 성격과 기능」", 『발해5경과 영역변천』, 동북아역사재단, 2007

      14 임상선, "발해의 도성체제와 그 특징", 고려사학회, 『한국사학보』 제24호, 고려사학회., 2006

      15 한규철, "「북한의 발해유적과 성격」", 부산경남사학회, 『발해와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 의 발표논문집, 2008

      16 조윤재, "「중국 도성제와 백제도성」", 『백제 도성제와 주변국 도성제의 비교연구』, 2012

      17 복기대, "「거란성에 대한 초보 연구」", 동아시아고대학회, 『동아시아 고대학』, 제 26집, 2011

      18 송기호, "「발해 성지의 조사와 연구」", 『한국사론』 19호, 1991

      19 구난희, "「상경 일대의 수로와 교역」", 『발해 상경, 여러 성들을 거느리다』. 학술대회 자료집, 2013

      20 방학봉, "『발해 주요 유적을 찾아서』", 연변대학출판사, 2003

      21 김종복, "「발해사의 전개와 영역 변천」", 『발해5경과 영역변천』, 동북아역사재단, 2007

      22 이블리예프 A.L., "러시아 연해주의 중세시대 성곽", 『2013 Asia Archaeology』, 국제 학술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74-93쪽, 2013

      23 이종수, "「발해 서고성 현황과 그 의의」", 『고구려발해연구』 34집, 2009

      24 정영진, "「연변지역의 성곽에 대한 연구」", 고구려연구회, 『고구려연구』 8집, 1999

      25 이병건, "발해의 교통로와 24개돌유적의 기능", 『발해5경과 영역변천』, 2007

      26 여호규, "「고구려 성곽과 방어체계의 변천」", 『한국군사사-성곽』, 14, 육군본부, 2012

      27 승성호, "「발해초기의 성과 무덤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호, 1998

      28 최종택,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경영』", 서경문화사, 서울 : 서경문화사, 2013, 2013

      29 양정석, "「궁궐유적을 통해 본 발해의 도성」", 『발해5경과 영역변천』, 동북아역사재 단, 2007

      30 이종수, "「夫餘城郭의 特徵과 關防體系 硏究」", 『白山學報』, No.67, 783-829쪽, 2003

      31 신희권, "「중국 고대도성의 연구현황과 과제」", 『중국 고대도성 조사보고서』, 2005

      32 STOYAKIN MAKSIM, "「발해성곽의 구조와 형식에 대한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연구』, 42집, 2012

      33 전인학, "「서고성 발굴과 궁전 건축에 관하여」", 『발해와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8

      34 스토야킨 막심, "식물유체로 본 콕샤로프카 유적의 성격", 『동북아시아 고대문화 교류속의 환동해문화권』, 2014년도 아시아 극동지역 유적조사연구 워크숍, 2014

      35 한용걸, "「발해 건축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호, 1998

      36 이병건, "발해 상경성 주변 평지성의 건축적 검토", 『발해 상경, 여러 성들을 거느 리다』, 학술대회 자료집, 2013

      37 이병건, "발해, 요, 금 상경성의 성곽건축 비교연구", 『북국 발해, 요, 금 상경의 인 문과 기술의 만남』, 2015년 고구려발해학회 춘계학술대회., 2015

      38 김종혁, "『동해안 일대의 발해 유적에 대한 연구』", 중심, 2002

      39 이블리에프 A.I., "최근 연구성과로 본 연해주 발해국의 경계", 『발해와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8

      40 윤용구, "「고구려의 평지성과 ‘한군현성’ 운용」", 『고구려연구』 8집, 1999

      41 심광주, "「고구려 성곽 발굴조사 성과와 축성기법」",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역사적 가치와 보존 방안』, 학술자료집, 19-53쪽, 2014

      42 심정보, "「풍납토성과 중국 고대도성과의 비교연구」", 『중국 고대도성 조사보고서』, 2005

      43 엄장록, "「연변지구 발해시기의 옛성터에 관한 고찰」", 『발해사연구』 1, 연변대학출판 사, 1993

      44 김은국, "「끄라스끼노성 북서지구 발굴의 전개와 전망」", 『발해와 동아시아』, 동북아 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8

      45 김창호, "「발해의 상경성방어체계에 대한 몇가지 고찰」", 『조선고고연구』 2호. 董鑒泓 編, 성주탁 譯, 1993, 『中國都城發達史』. 서울: 學硏文化社. 257p, 2008

      46 스토야킨 막심, "러시아 아무르지역 중세시대 성곽의 현황과 특징",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 연구』, 48집, 107-159쪽, 2014

      47 이병건, "화전 소밀성과 화룡 서고성의 건축형식 비교연구",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연구』 34집, 2009

      48 정석배, "「한 러 공동 발해유적 발굴조사의 성과와 과제」", 『고구려발해연구』 32집, 2008

      49 孫在賢, "韓國 古代 盛土構造物에서 土塊의 사용과 그 의미", 한신대학교 한국사 학과 석사논문, 2015

      50 리준걸, "함경남북도일대의 발해유적유물에 대한 조사보고", 『조선고고연구』 1호, 1986

      51 정석배, "「목단강유역 발해 장성의 현황과 축조시기 문제」", 『발해 상경, 여러 성들을 거느리다』. 학술대회 자료집, 2013

      52 송기호, "「용해구역 고분 발굴에서 드러난 발해국의 성격」",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연구』 38집, 2010

      53 정석배, "「아무르ㆍ연해주 지역의 말갈 - 연구현황과 과제」", 『고구려발해연구』 35집, 2009

      54 홍형우, "「토기를 통해 본 동(東)아무르 지역 중세문화의 전개」", 『고구려발해연구』 42집, 2012

      55 스토야킨 막심, "콕샤로프카 유적의 식물유체로 본 발해와 한반도의 관계",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학 연구, 제28호, 239-281쪽, 2015

      56 정석배, "「요, 금 상경과 원 상도를 통해 본 발해 상경의 제문제」", 『북국 발해, 요, 금 상경의 인문과 기술의 만남』, 2015년 고구려발해학회 춘계학술대회, 2015

      57 김동훈, "「2008∼2010년 연해주 콕샤로프카-1 발해평지성 발굴성과」", 『2010년 국 내·외 유적조사 성과와 활동』, 2010

      58 강인욱, "靺鞨文化의 形成과 2~4세기 挹婁ㆍ鮮卑ㆍ夫餘系文化의 관계", 『고구려발 해연구』, 33집, 2009

      59 홍형우, "「발해 후기 및 후발해시기 연해주와 아무르 토기 비교연구」", 『발해와 주변 민족의 역사와 문화』, 자료집, 127-158쪽, 2014

      60 정석배, "「연해주 발해시기의 유적 분포와 발해의 동북지역 영역문제」",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 연구』, 40집, 2011, 2011

      61 강인욱, "「三江平原 滾兎嶺ㆍ鳳林문화의 형성과 勿吉ㆍ豆莫婁ㆍ靺鞨의 출현」", 『고 구려발해연구』, 52집, 2015

      62 오치르, "A.(이평래 역), , 「몽골과 동아시아의 교류(10∼11세기)」, 『발해와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8

      63 임상선, "발해 성곽의 고구려 요소(-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성에 나타난 특징을 중심으로-", 『발해와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8

      64 홍형우, "「서(西) 아무르 지역 말갈(靺鞨) 토기의 특성과 그 전개 - 최근 발굴 유적 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74호, 2011

      65 이종수, "「三江平原地域초기철기문화의 특징과 사용집단 분석: 挹婁 勿吉과의 관련 성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41집, 9-36쪽, 2011

      66 이성제, "「고구려와 발해의 성곽 운용방식에 대한 기초적 검토(-연변지역의 성곽 분 포 현황을 중심으로-)」", 『고구려와 발해 문화의 특성과 상관성』, 고구려발해학회 편,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