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湛軒 洪大容의 實用主義的 敎育思想 硏究 = (A) Study on Damheon Hong Dae Yong's Pragmatic Educational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082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실학이 하나의 脈을 이루어 사상으로서의 학파를 형성한 北學波의 巨匠 湛軒 洪大容(1731~1783)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18세기 사회적 모순을 변혁하는데 교육...

      이 논문은 실학이 하나의 脈을 이루어 사상으로서의 학파를 형성한 北學波의 巨匠 湛軒 洪大容(1731~1783)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18세기 사회적 모순을 변혁하는데 교육사상과 교육제도의 개혁이 그 사회가 안고 있는 총체적 모순의 기본적 해결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오늘날 한국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18세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민중의 생활은 궁핍하였다. 이때 시급한 것은 부국강병과 의식주의 해결을 꾀하는 일이었으나 집권자들은 그들의 특권에 안주하여 통치 질서를 유지하기에 급급함으로써 정치적 혼미를 거듭하였다. 또 성리학은 관념론적 理氣論과 형식적 禮論에 집착하여 공리공론에 치우침으로써 사회적 모순과 병리적 사회현상을 제거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였다.
      이때 지식인들의 성리학에 대한 자각과 반성은 서구문물에 대한 이해와 양명학 등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實事求是·經世致用·利用厚生 등 실용적 학풍을 일으키고, 보수적 전통사회를 개조함으로써 보다 전향적인 사회 발전을 추구하는 실학사상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홍대용은 氣를 만물의 근본으로 여기는 氣哲學的 宇宙觀을 통하여 도덕적 이상보다도 현실적 이상을 펴고자 하였다. 즉 인간의 평등성과 개별성을 인정하고, 윤리적 구속에 얽매인 도덕적 理想人이 아닌 인간 본래의 모습을 긍정하였다. 그리고 以天視物의 관점에서 자기중심적 관념과 위계적 질서관을 부정하는 객관적 세계관을 형성 하였다. 이러한 자신의 철학적 구조아래 사회문제를 비판적으로 해결하고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 체계를 확립하였다. 그리하여 利用厚生, 四民 평등과 萬民皆勞사상, 以天視物의 과학사상, 전통적 華夷사상을 극복한 자주의식을 형성하였다.
      홍대용의 사상체계는 기존의 성리학적 교육론과 다른 새로운 교육사상을 가능하게 하였다. 학문관에서는 주자학 절대 우위, 禮숭상, 명분론적 사고에 빠진 학문을 虛學이라 진단하고, 진정한 학문정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實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四民평등과 萬民皆勞사상의 실현과 동시에 實心, 實事, 實地의 본령을 갖춘 도덕적 실천인을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현실생활에 이용이 가능한 실용중심 교육과 實證에 기초한 과학기술 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실험과 관찰을 통해 객관적이고 실증적이며 경험적인 교육방법과 글을 통해 얻은 진리를 현실에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는 실천중심의 독서교육을 지향하였다. 또 의무교육과 함께 여성교육을 위한 교육제도의 개혁을 제창하였다. 특히 학교교육과 관리등용을 연계시키는 貢擧制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bout Damheon Hong Dae Yong's Pragmatic Educational Thought, the master in the school of Pukhak(北學), one sect of Shilhak (實學), which had been continued and formed a sect. This thesis aims to remind that to revolutionize the iron...

      This thesis is about Damheon Hong Dae Yong's Pragmatic Educational Thought, the master in the school of Pukhak(北學), one sect of Shilhak (實學), which had been continued and formed a sect. This thesis aims to remind that to revolutionize the irony in the 18th century, educational reformation can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general irony of a society and indicate the maner in which we should view Korean education today.
      In the 18th century, the lives of the people were living in destitution due to the two wars, Japanese invasion and Manchus' attacks. The pressing matters were to recover the wealth and strength of the nation and settle the necessities of the life. However, the holders of power continued to be engrossed in guarding their own privileges and brought about political confusion. Sungrihak(性理學) kept dwelling upon the theory of YiKi(理氣) and persisted on the theory of courtesy and therefore fail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eliminate the social irony and pathological social phenomena.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s began to realize what Sungrihak(性理學) was and reflect on it, which led to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adopting the philosophy of Wang Yang ming(陽明學). Eventually it gave birth to realistic and practical academic tradition such as Silsagusi(實事求是), Kyungsechiyoung(經世致用), Yiyonghoosang(利用厚生), and reformed a conservative traditional society. As a result, the idea of Shilhak(實學) pursuing a more progressive social development came to the front.
      In this contemporary social circumstances, Hong Dae Yong intended to pursue the realistic ideal rather than the moralistic ideal through Ki (氣) philosophical outlook on the universe, which considered Ki(氣) the very source of all things. In other words, he recognized equality and individuality of all humans and affirmed original human nature other than the idealistic human bound to moral restriction.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Sungrihak(性理學), he established an objective outlook on the world destroying self-centered conceptions and hierarchical concept of order
      Under his philosophical structure, he established a whole new system of idea with which people could cope with and solve social problems critically. He formed Yiyonghoosang(利用厚生), the idea of SaminpyungdeOng(四民平等), the idea of Manminkaeroh(萬民皆勞), the scientific idea of Yichunsimul(以天視□), the consciousness of independence to overcome the traditional China-centered perspective.
      Hong Dae Yong's system of thought made possible a new concept of educa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ducational theories. When it comes to the point of view of learning, absolute predominance of Joojahak(朱子學), respect for courtesy, learning reduced to moral justification were judged to be false learning(虛學), and it was thought that scientific and positive Shilhak(實學) was needed. It meant the purpose of education should be lie in cultivating moralistic man of practice equipped with the actual mind, the actual inspection and the actual practice along with equalizing all the people and realizing the idea of Manminkaeroh(萬民皆勞). Especially, He emphasized practicality -centered teaching, which can be applied to real life, and scientific technique teaching based on actual proving. An objective, demonstrative and empirical method of teaching through experiments and observation and practice-centered reading teaching whose purpose is to apply knowledge from reading books to real life were aimed at. In addition, along with compulsory education, he advocated reformation of educational system for women education. Particularly, he proposed Gonggoeje(貢□制) in which school education and appointing government officials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Ⅰ. 머리말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과 의의 = 3
      • 3. 연구내용 및 방법 = 5
      • 목차 = ⅰ
      • Ⅰ. 머리말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과 의의 = 3
      • 3. 연구내용 및 방법 = 5
      • Ⅱ. 조선후기 사회와 홍대용 = 6
      • 1. 홍대용의생애 = 6
      • 2. 사회적 상황 = 9
      • 3. 학문적 상황 = 14
      • Ⅲ. 홍대용의 실학사상 = 17
      • 1. 홍대용 사상의 배경 = 17
      • 2. 홍대용 철학의 구조 = 22
      • 1) 氣哲學的 宇宙觀 = 22
      • 2) 인간관 = 26
      • 3) 세계관 = 30
      • 3. 홍대용의 실학사상 = 33
      • 1) 利用厚生의 사회·경제사상 = 33
      • 2) 四民평등과 萬民皆勞사상 = 34
      • 3) 以天視物의 과학사상 = 37
      • 4) 전통적 華夷사상의 부정과 자주의식 = 41
      • Ⅳ. 홍대용의 실용주의적 교육사상 = 47
      • 1. 학문관 = 47
      • 2. 교육목적 = 50
      • 3. 교육내용 = 56
      • 1) 실용중심교육 = 56
      • 2) 과학기술교육 = 62
      • 4. 교육방법 = 67
      • 1) 실증과 실천에 의한 교육 = 67
      • 2) 실천중심의 독서교육 = 70
      • 5. 교육제도 개혁 = 75
      • Ⅴ. 맺는 말 = 78
      • 참고문헌 = 82
      • Abstract =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