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統一理念으로서의 韓國民族主義에 관한 試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18633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檀國大學校, 198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檀國大學校 大學院 , 行政學科 政策學專攻 , 1988. 8

      • 발행연도

        198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3.1

      • DDC

        320.54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76 p. ;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에는 지금까지 40년 동안 분단 상태가 지속되어 왔다. 돌이켜 보면 결코 짧은 기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분단을 해소하려는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남북한 당국의 회담은...

      한반도에는 지금까지 40년 동안 분단 상태가 지속되어 왔다. 돌이켜 보면 결코 짧은 기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분단을 해소하려는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남북한 당국의 회담은 서로의 입장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통일의 길이 열리는 것이 아니라 분단 상황의 지속이 예측될 뿐이다. 따라서 남북한의 통일 논의에 핵심적인 것이 무엇인가를 모색함으로써 통일을 위한 실천적 행위의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통일을 위한 실천적 행위의 지표를 마련하는 과정은 다섯 개의 장으로 짜여져 있다.
      第1章은 서론 부분으로 문제 제기의 장이다. 현재 한반도의 근본적인 민족적 모순은 무엇인가? 남북한의 분단이 근본적 모순이다. 한반도 분단의 성격은 동질성의 희박에서 찾아질 수 있다. 남북한의 동질성, 한민족 사이의 동질성은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찾아야 할 것인가? 통일의 당위성과 통일을 위한 기본적 조건으로서 동질성의 모색이라는 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 논문의 시간적 연구 범위는 實學思想이 발생한 때부터 현재까지 전개된 민족주의운동이다.
      第2章은 民族主義와 統一에 대하여 언급된 부분이다. 이 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민족의 개념이 정의되었다. 둘째, 민족과 계급·민중·국가, 그리고 국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세째, 민족과 민족성, 민족주의의 관련성이 기술되었다. 네째, 민족과민족주의의 기원 및 민족주의의 전개 과정을 언급하였다. 다섯째, 민족주의의 개념을 설정하여 보았다. 여섯째, 통일과 민족주의와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第3章은 韓國民族主義의 展開 過程이 기술된 부분이다. 이 장은 1945년을 기준으로 前期와 後期로 나누어졌다. 1945년 以前을 3期로 나누어 민족주의의 전개 과정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기는 實學運動에서부터 일본과의 不平等한 丙子修好條約을 맺었던 때까지 이다. 이 기간은 실학운동이 안으로부터의 자유와 밖으로부터의 독립에 근거하고 있다는 면에서 근대 한국 민족주의의 태동기이다. 제 2 기는 衛正斥邪, 開化自强, 東學運動이 일어났던 시기로 3·1 운동까지 이다. 이 때는 위정척사의 주체 의식. 개화 사상의 발전 의지, 동학의 평등 지향성을 바탕으로 한 민족주의가 실천되었던 시기이다. 제 3 기는 3·1 운동으로부터 1945년 해방까지 이다. 이 기간은 근대화와 자주적인 독립 의식의 고조로 한국 민족주의의 근본 이념이 잘 나타났다. 1945년 이전의 한국 민족주의는 크게 세가지 특성을 함축하고 있다. 첫재, 한국 민족주의가 반봉건주의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났다. 둘째, 한국 민족주의가 외세의 침략 과정을 맞아 반봉건과 반외세를 실현하려는 사상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주체적인 자본주의를 경험하지 못한 한국 민족주의는 반봉건과 외세의 부르죠아 민족주의에 저항하는 민중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갖고 있다. 1945년 이후는 민족주의의 전재 과정을 4 期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 1 기는 해방에서부터 남한 단독정부수립시까지 이다. 미 ?소의 한반도 분할 점령은 민족주의 세력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억압한 결과를 초래했다. 통일 국가를 건설하려는 민족주의자들은 세력의 약화로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李承驗의 단독정부수립은 한국 민족주의의 위기를 자초한 셈이고, 金日成은 계급을 민족보다 우위에 둠으로써 그것을 더욱 강화시켰다. 제 2 기는 남한의 단독정부수립으로부터 4·19 革命 前까지 이다. 이 시기는 강한통치 체제와 생활의 어려움 속에 민족주의적 의식이 희석되어 그것이 표면상으로 잘 나타나지 않았다. 제 3 기는 4·19혁명으로부터 5·16 前까지 이다. 4·19는 한반도에서 최초로 성공한 市民·民主革命이며 민족 운동이었다. 외세에 의존한 李政權을 불신한 것은 自主·獨立 意譏을 표현한 것이며, 부정부패의 척결을 주장한 점은 자유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해방 이후에 왜곡되어오던 한국 민족주의는 4·19를 계기로 올바로 전개될 수 있는 기회를 찾았다. 제4기는 5·16 이후부터 현재까지 이다. 1960년대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경제의 대외 의존성의 심화,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의 非民主性 등은 한국 민족주의를 왜곡시켰다. 1945년 이후 미·소 냉전 체계에 편승한 남북한의 분단과 경계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관료적 권위주의를 경험하면서 민중민족주의는 시련을 맞고 있다.
      第4章은 統一 理念으로서의 韓國民族主義가 언급된 부분이다. 통일 이념으로서의 한국 민족주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다루어졌다. 하나는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과제이고, 또 하나는 그것을 수행하여 나갈 주체의 설정이다. 첫째, 한국 민족주의의 과제는 무엇인가? 통일의 의미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한국 민족주의의 과제는 달라질 것이다. 통일은 민중민족주의가 실현될 때 의미가 있다. 민중이 주인이 되고 민족을 화합하는 길은 민주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민주화의 추진이 곧 한국 민족주의의 발전이다. 민주화가 통일을 위한 한국 민족주의의 과제라고 여겨진다. 둘째, 한국 민족주의의 주체는 누구인가? 한국 민족주의의 주체를 설정하기 위해 중산층·민중·관료·군부의 역사적 위치를 고찰하였다. 중산층·민중·관료·군부 등이 지난날 한국 민족주의에 각기 긍정적 기능을 하였다거나 부정적 기능을 하였다고 단정적으로 평가될 수는 없다. 한때는 긍정적이기도 하였으며, 또한 부정적 역할을 한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어느 한 집단을 선택하여 이 집단만이 한국 민족주의의 주체가 된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한국민족주의의 과제가 민주화를 통한 통일이라면, 이러한 과업을 수행할만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 적합한 존재가 민중이라고 여겨진다. 민중은 분란으로부터 발생하는 모순을 가장 첨예하게 경험하고 있다. 한국 민족주의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집단은 계급 의식을 벗어나 多階級으로 이루어진 주체적인 민중이어야 한다.
      第5章은 앞의 논의를 총괄하여 통일은 민족주의의 이념인 자유와 평등, 자주와 독립의 실현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요컨대, 통일은 민주적인 사회를 항한 실천적 변혁 의지를 민중이 가지고 있을 때에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vision of Korea has still remained unchanged for the past more than four decades in spite of the fact that Korea has made strenuous efforts for the unification of the divided land. Moreover, the inter-Korean talks have come to a deadlock due to ...

      The division of Korea has still remained unchanged for the past more than four decades in spite of the fact that Korea has made strenuous efforts for the unification of the divided land. Moreover, the inter-Korean talks have come to a deadlock due to the failure of clearing up wide ideological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sides. As a result, it seems to be a long way to go for the solution of the unification issue facting the nation today.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quire into what is the pivotal point in discussing the possibility of opening the way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of Korea, thereby attempting to present the indicators of practical behavior which may be helpful having the long-cherished desire of the Korean people-unification of the motherland-come true.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sunnnarized hereunder:
      Chapter 1 is devo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raising problems for discussions.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 existed in the Korean peninsula is derived from the artificial division of the land which has resulted in the dilution of national homogeneity. How and where, then, should national homogeneity be sought for? Discussions in this respect boil down to the recovery of national homogeneity. The scope of this study in terms of time represents a period from the emergence of the ideas of Silhak (Practical science) through the present during which a nationalistic movement has been evolved.
      Chapter 2 deals with nationalism and national unification. This chapter may be epitom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race is defined; second, relations among the race, class, masses and state are investigated;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ace, racial traits and nationalism are discussed; fourth, the origin of race and nationalism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nationalism are described; fifth, the concept of nationalism is established; and finally, sixth, the correlation of nationalism with national unification is elucidated.
      Chapter 3 discuss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nationalism before and after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period prior to 1945 is further sub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inception of Silhak movement to the discriminatory Korean-Japanese Treaty of 1876. This period may be considered representing the quickening period of modern Korean nationalism in that the Silhak movement was founded for freedom from within and national independence from without. The second period is characterized by Donghak (Eastern Learning) movement and the 1919 (Samil)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is period nationalism was translated into action based on the will to develop the thought of reform or enlightenment, independence consciousness with the spirit of safeguarding justice and expelling vice and equality-oriented Donghak. The third period dates from the 1919 (Samil) Independence Movement to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Korean nationalism before 1945 signifies largely three characteristics; i.e. first, it appeared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ntifeudalism; second, it developed as antifeudalism and antiforeignism during the period when Korea suffered the invasions of foreign powers; third, it had no experience in capitalism but the character of popular nationalism struggling against feudalism and bourgeois nationalism of foreign powers. The post1945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liberation of Korea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south. Th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ith the 38th parallel as a demarcation line, resulted in the direct or indirect oppression of nationalistic force in Korea. Consequently Korean nationalists who tried to build a unified nation failed to make their dream come true due to the weakening of their powe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government by Syngman Rhee in the south caused a crisis of Korean nationalism, while Kim Il-sung who placed a higher value on class struggle than the nation strengthened it all the more in the north. The second period i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til just before the April 19 revolution.
      During this period nationalistic consciousness was too diluted to be well brought out by reason of a mighty government system and the privation of life. The third period is from the April 19 revolution until just prior to the May 16 coup d'etat in 1961.The former may be regarded as a civil revolution for democracy accomp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the expression of discredit in the Rhee administration and a strong will of scraping out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With the April 19 revolution as a momentum, Korean nationalism which was once misrepresent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could seize upon an opportunity to take a proper course of development. The fourth period is from the May 16 coup d'etat in 1961 to the present. This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growth-oriented economic policy depending excessively on foreign economies and bureaucratic authoritarian institutions which have distorted inherent Korean nationalism.
      Chapter 4 deals with Korean nationalism as an idea for national unification from two points of view, one of which is a task for getting over critically the problems aros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nationalism and the other is the establishment of the mainstream which may lead it toward accomplishment. The task of Korean nationalism may vary according to the meaning of national unification. The national unification will be signified if and when popular nationalism materializes, it is most desirous of attaining the national reconciliation through democratization with the masses as the master of the nation. The pursue of democratization itself is no other than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onalism and democratization is regarded as the task of Korean nationalism for unifi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mainstream ofRorean nationalism, the historical positions of the middle classes, the masses, bureaucrats and the military are investigated. it is unable to evaluate conclusively that the sesocial strata have fulfilled respectively affirmative functions
      or negative functions for Korean nationalism in the past, because there is every possibility that they might play at times either an affirmative or negative role. in this context, it can hardly say that only one specific group selected from among them is the mainstream of Korean nationalism, if it be said that the task of Korean nationalism is to achieve national unification through democratization, then the masses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group which has the capability of accomplishing such supreme task of the nation. The masses have most keenly experienced various contradictions arising from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roup or the mainstream of Korean nationalism should get rid of class consciousness and represent the masses consisted of varied classes.
      Chapter 5 is devoted to the conclusion of the present study which summariz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iscussions hitherto described above. Emphasis is placed that the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ideas of Korean nationalism, i.e. freedom, Peace, equality and independen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st analysis, the national unification of Korea maybe considered attainable only when the masses have the will of practical reforms toward the building of a democratic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ⅰ
      • 國文要約 = ⅱ
      • 第1章 序論 = 1
      • 第l節 硏究의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範圍 및 方法 = 4
      • 目次 = ⅰ
      • 國文要約 = ⅱ
      • 第1章 序論 = 1
      • 第l節 硏究의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範圍 및 方法 = 4
      • 第2章 民族王義와 統一 = 6
      • 第1節 民族主義의 理論 構造 = 6
      • 第2節 民族王義와 統一과의 關聯性 = 17
      • 第3章 陣園民族主義의 展開 過程 = 26
      • 第1節 l945年 이전 = 26
      • 第2節 I945年 이후 = 35
      • 第4章 統一 理念으로서의 韓國民族王義 = 43
      • 第1節 韓國民族王義의 課題 = 43
      • 第2節 韓國民族主義의 主體 = 52
      • 第5章 結論 = 61
      • 參考文獻 = 65
      • ABSTRACT =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