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을병연행록』 연구 : 여성 독자와 관련하여 = 《乙丙燕行录》研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92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的研究目标是深入分析湛轩洪大容的韩文燕行录——《乙丙燕行录》中与女性相关的内容,并通过与《燕记》等其他洪大容燕行作品的比较,来发现《乙丙燕行录》的独特文学价值。 为...

      本文的研究目标是深入分析湛轩洪大容的韩文燕行录——《乙丙燕行录》中与女性相关的内容,并通过与《燕记》等其他洪大容燕行作品的比较,来发现《乙丙燕行录》的独特文学价值。
      为了实现以上目标,主要采取了如下三种研究方法。一是将《乙丙燕行录》与现存的洪大容所有汉文燕行作品进行比较分析;二是以女性读者关联性为中心分析《乙丙燕行录》的内容与表现方式;三是以丰富多样的写作方式为中心阐明《乙丙燕行录》的文学艺术价值。
      在进行作品分析之前,本文首先对洪大容燕行的经过和开放积极的态度进行了考察。这种态度使他能够摆脱了传统思维的桎梏,从全新的角度去观察清代中国的现实状况。其次考察了文本的形成过程,并对《乙丙燕行录》的创作时期和读者群进行了推断。通过四种《乾净洞会友录》异本与《乙丙燕行录》的对比分析,论证了《乙丙燕行录》在洪大容的诸多燕行著述中属于早期作品。另外,通过《桂坊日记》和《欽英》的相关记载,作出了《乙丙燕行录》的创作时期要早于《燕记》的推断。
      在第三章中,以朝鲜后期著名实学者洪大容的学术观念为基础,从“实事”、“实地”、“实心”三个方面对他在清代中国的见闻进行了考察。
      首先,实学家洪大容通过对“实事”的关注而重点描写了中国女性的日常生活片段,并使其成为朝鲜女性读者所关注的重点内容,这是洪大容在以女性为读者对象的前提下所做出的一种特别关照。当然,在强调妇德的内容中也体现出了他的较为保守的女性观念。即便如此,也应该看到他将中国女性置于写作范围之内,并且以女性的关注为焦点进行创作的重要意义。
      其次,考察了洪大容通过“实地”体验清代中国而发生思想变化的过程。洪大容一方面没有隐藏自己基于“对明义理论”的尊明思想,另一方面又积极评价了清朝统治的优点,并且通过访问天主教堂等方式努力搜集最新的西学信息。此外,他还对清代先进文化进行深层观察,将其归纳为“大规模,细心法”,也正是从这一点上看出了其对清代中国认识的转变过程。
      最后,考察了洪大容与诸多清朝文士进行的广泛交流,特别是与严诚、潘庭筠、陆飞等三名杭州文士所结下的天涯知己般的深厚友情。另外,还考察了洪大容在与杭州文士所进行的学术讨论中所体现出来的以宽容为基石的友情论。
      在第四章中,分析了洪大容为了更加有效地将自己的中国见闻讲述给女性读者所动员的多种写作方式。在《乙丙燕行录》中,洪大容仔细叙述了与女性相关的见闻。另外,还对女性所不熟悉的用语和汉诗附加了通俗易懂的解释,甚至省略了部分专门的学术内容。由以上几点可以看出洪大容对女性读者的悉心关照。
      此外,洪大容还使用了小说的写作手法,以尽可能生动地再现自己的中国旅程。即通过再现对话的过程来使作品的场面得到扩张,赋予作品更多有机的叙事功能,使登场人物更加立体与诙谐。这些写作技法的实现源于洪大容对《水浒传》等中国小说的熟悉与掌握。
      最后,指出洪大容为了更加充实地表现出自己在中国最重要的经历——与清朝文士的交流,动用了多种前代燕行录中并所不多见的笔谈和书信等多种形式。洪大容在《乙丙燕行录》中对笔谈记录进行了一定的增减,这也可以看作是对女性读者的特别关照。
      通过以上多种写作方式的考察,可以看出《乙丙燕行录》的确是一部具有高度艺术价值的文学作品。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담헌 홍대용의 한글 연행록인 『을병연행록』을 주로 여성 독자와 관련하여 분석하고, 이로 인해 『연기』를 비롯한 담헌의 다른 한문 연행 기록들과는 상이한 특징들을 해명함...

      이 논문은 담헌 홍대용의 한글 연행록인 『을병연행록』을 주로 여성 독자와 관련하여 분석하고, 이로 인해 『연기』를 비롯한 담헌의 다른 한문 연행 기록들과는 상이한 특징들을 해명함으로써 그 독자적 가치를 부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첫째는 『을병연행록』을 현재까지 알려진 거의 모든 홍대용의 한문 연행 관련 기록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는 여성 독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을병연행록』의 내용과 표현을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는 다양한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을병연행록』의 문예적인 가치를 해명하는 것이다.
      예비적 고찰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연행의 경위와 아울러,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홍대용의 연행 자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행 자세는 선입견에서 벗어나 청조 중국의 현실을 새롭게 파악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본다. 다음으로는 텍스트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여, 『을병연행록』의 창작 시기와 독자층을 추정해 보았다. 『간정동회우록』의 이본 4종을 『을병연행록』과 비교 분석해서, 『을병연행록』이 홍대용의 연행 기록 중 초기에 저술된 텍스트임을 논증했다. 또한 『계방일기』와 『흠영』의 관련 기록에 의거해 『을병연행록』이 『연기』보다 먼저 완성된 연행록이라고 추정했다.
      제3장에서는 조선 후기의 저명한 실학자였던 홍대용의 학문관에 의거하여 청나라 견문 내용을 ‘실사(實事)’, ‘실지(實地)’, ‘실심(實心)’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선, 실학자인 홍대용은 ‘실사’에 주목함으로써 중국 여성들의 일상을 포착하여 이를 독자인 조선 여성들의 관심사로 부각시켰다. 이는 홍대용이 『을병연행록』을 읽게 될 여성 독자들을 배려한 결과였다. 물론 여성의 부덕을 강조한 대목들에서 그의 보수적인 여성관이 드러나 있기는 하지만, 홍대용이 관찰 대상에 중국 여성들을 포함하고 여성적인 관심사를 집중적으로 다룬 점은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다음으로, 청나라를 ‘실지’ 체험하면서 홍대용의 대청 인식이 변화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홍대용은 대명의리론(對明義理論)에 입각한 존명(尊明) 사상을 숨기지 않고 표출하는 한편, 청나라 통치의 장점을 긍정했으며, 천주당을 방문하여 최신 서학 정보를 입수하고자 노력했다. 또 청의 선진 문물들을 심층적으로 관찰하여 그 기저 원리를 ‘대규모 세심법(大規模細心法)’으로 파악하면서, 그의 대청 인식에 균열이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홍대용이 다양한 청나라 사람들과 ‘실심’으로 교유하면서, 특히 엄성ㆍ반정균ㆍ육비 등 항주 출신 선비들과 천애지기(天涯知己)의 뜨거운 우정을 맺은 사실을 살펴보았다. 또한 항주 선비들과의 학문적 토론에서 드러난 바 관용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한 홍대용의 우정론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홍대용이 제3장에서 살펴본 자신의 중국 견문 내용을 여성 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구사한 다양한 글쓰기 방식들을 고찰했다. 『을병연행록』에서 홍대용은 여성들의 관심사와 직결되는 중국 문물들을 상세하게 묘사했다. 또한 낯선 용어나 한시 등에는 자상한 해설을 덧붙이고,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여성 독자에 대한 홍대용의 세심한 배려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홍대용은 소설적인 수법을 적극적으로 구사하여 중국 여행 체험을 생생하게 재현하고자 했다. 즉 대화를 재현함으로써 장면의 확장을 꾀하고, 서사에 유기성을 부여했으며, 등장인물의 입체적이고 해학적인 형상화를 시도하였다. 이는 홍대용이 『수호전』 등 중국 소설에 대한 조예를 갖추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홍대용이 자신의 연행 체험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던 청국인들과의 교유를 충실하게 표현하기 위해, 연행록으로서는 이례적으로 필담과 서신을 비롯한 다양한 양식의 글들을 대폭 도입했음을 지적했다. 홍대용은 원래의 필담을 확장 또는 축소하기도 했는데, 이는 여성 독자들의 관심사나 수준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았다. 이러한 다양한 글쓰기 방식을 보면, 『을병연행록』이 뛰어난 문예성을 성취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사 검토
      • 2. 연구 방법과 텍스트
      • Ⅱ. 1765년 동지사행과 『을병연행록』
      • Ⅰ. 서 론
      • 1. 연구사 검토
      • 2. 연구 방법과 텍스트
      • Ⅱ. 1765년 동지사행과 『을병연행록』
      • 1. 연행(燕行)의 경위와 담헌의 연행 자세
      • 2. 텍스트의 형성 과정
      • 1) 『을병연행록』과 『연기(燕記)』의 선후 관계
      • 2) 『을병연행록』과 여성 독자
      • Ⅲ. 실학자가 본 청조(淸朝) 중국
      • 1. 실사(實事) 주목과 여성의 관심사 부각
      • 2. 실지(實地) 체험과 대청(對淸) 인식 변화
      • 3. 실심(實心) 교유와 청국인과의 우정
      • Ⅳ. 다양한 글쓰기 방식
      • 1. 여성 독자를 위한 세심한 배려
      • 2. 소설적 수법에 의한 현장감 재현
      • 3. 필담ㆍ서간ㆍ시문(詩文)의 대폭 도입
      • Ⅴ. 결 론
      • 참 고 문 헌
      • 中 文 摘 要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