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속요 연구의 현황과 전망 = A Retrospective & Prospective Analytic Diagnosis on Studies of Korean Song in the Period of Goryeo 高麗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3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tries to elucidate why Goryeo-sokyo 高麗俗謠 (Korean song in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have been concerned and how they have been studied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now, and to examine what is needed and how they are studied from ...

      This essay tries to elucidate why Goryeo-sokyo 高麗俗謠 (Korean song in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have been concerned and how they have been studied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now, and to examine what is needed and how they are studied from now on.
      In the beginning period of Goryeo-sokyo studies, most Korean scholars got started regarding that all the pieces of Goryeo-sokyo were a sort of Korean traditional ethnic culture, thus Korean people should be justly proud of them, and inherit and develop them into forms of modern Korean poetry. These viewpoints based on nationalism and populism have resulted in not a few several hypotheses that has not been confirmed and have seemed to block the way to go near to the reality of it. Most of their inner/external contexts have not been fully explained because of the lack of positive data necessary to reconstruct them. Nevertheless, they have been treated as objects of Western Poetics and Aesthetics for multiplying their value. As a result, Goryeo-sokyo studies have grown distant from the public in Korea and entered scholarly downturn.
      Thus, this essay suggests that all the researchers, including me, should reflect on the reason why Goryeo-sokyo has to be studied and the way how it is examined, out of all the hypotheses and ideologies. Only when all the pieces of Goryeo-sokyo go back again, we can seek out their own values and contemporary values as well. For this, Goryeo-sokyo studies need more efforts to get rid of all the prejudices against Sokyo, to restore their real contexts and the contexts of all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m than before (“contextual study”). In this process, the grammar of the written Korean language and the usages of Korean vernaculars as well are preferentially considered, and the fact Goryeo was not poetry but song which had used for all the rites of court and central or local government and the fact all the music of all the dynasties in the history of the East had been made for a common goal, a peaceful world by changing all the people’s personalities into the worm, tender, and generous through it including poetry and song, and the fact that Goryeo-sokyo was the outcome of collaborative intelligence in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considering the very tune of the Saints and the reality of the people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 조동일,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한길사 31-46, 1982

      3 임주탁, "텍스트의 방언 특성을 고려한 <신도가(新都歌)>의 주석과 맥락 연구" 한국어문학회 (145) : 179-218, 2019

      4 김명준, "악장가사연구" 다운샘 2004

      5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6 박경우, "별곡류 시가의 제명관습과 공간의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7 임주탁, "밀양 박준의 정체와 악장가사와의 관계" 한국문학회 (83) : 87-141, 2019

      8 조하연, "문학 감상 교육 연구 : 고려속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허남춘, "고전시가와 예악사상-조선전기 고려가요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7 : 99-130, 2000

      10 鄭炳昱,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33 : 7-14, 1979

      1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 조동일,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한길사 31-46, 1982

      3 임주탁, "텍스트의 방언 특성을 고려한 <신도가(新都歌)>의 주석과 맥락 연구" 한국어문학회 (145) : 179-218, 2019

      4 김명준, "악장가사연구" 다운샘 2004

      5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6 박경우, "별곡류 시가의 제명관습과 공간의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7 임주탁, "밀양 박준의 정체와 악장가사와의 관계" 한국문학회 (83) : 87-141, 2019

      8 조하연, "문학 감상 교육 연구 : 고려속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허남춘, "고전시가와 예악사상-조선전기 고려가요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7 : 99-130, 2000

      10 鄭炳昱,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33 : 7-14, 1979

      11 임주탁, "고시가 연구의 현재와 미래 -시각과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34) : 345-377, 2016

      12 김수경, "고려처용가의 미학적 전승" 보고사 2004

      13 임주탁,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창작ㆍ전승 기반 연구" 부산대학교출판부 2004

      14 김명준, "고려속요집성" 다운샘 2008

      15 최미정, "고려속요의전승 연구" 계명대학교 2002

      16 한교경, "고려속요의 문화콘텐츠 활용을 위한 서사구조와 정서기호 연구 : 『익재난고』「소악부」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7 임주탁, "고려가요의 텍스트와 맥락 -<가시리>와 <쌍화점>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35) : 35-65, 2017

      18 임주탁, "고려가요 연구의 시각과 방법" 국문학회 (12) : 30-63, 2004

      19 고가연구회, "고려가요 연구사의 쟁점" 보고사 2016

      20 임주탁, "강화 천도, 그 비운의 역사와 노래" 부산대학교출판부 2004

      21 梁柱東, "麗謠箋注" 乙酉文化社 1947

      22 崔正如, "高麗의 俗樂歌詞論攷" 淸州大學校 4 (4): 7-48, 1963

      23 金大幸, "高麗詩歌의 情緖" 開文社 1985

      24 李明九, "高麗歌謠의 硏究" 新雅社 1973

      25 朴魯埻, "高麗歌謠의 硏究" 새문社 1990

      26 金學成, "高麗歌謠의 作者層과 受容者層" 일지사 9 (9): 208-234, 1983

      27 李敏弘, "高麗歌謠硏究의 現況과 展望" 집문당 41-88, 1997

      28 許南春, "高麗歌謠硏究의 現況과 展望" 집문당 335-369, 1997

      29 崔珍源, "高麗歌謠硏究의 現況과 展望" 집문당 13-21, 1997

      30 趙萬鎬, "高麗歌謠硏究의 現況과 展望" 집문당 111-144, 1997

      31 성균관대 인문학연구소, "高麗歌謠硏究의 現況과 展望" 집문당 1997

      32 國語國文學會편, "高麗歌謠硏究" 正音文化社 1979

      33 鄭炳昱, "高麗時代의 가요문학" 새문社 1982

      34 韓國語文學會, "高麗時代의 言語와 文學" 螢雪出版社 1975

      35 趙東一, "高麗時代가요문학" 새문社 2-15, 1982

      36 金學成, "高麗時代가요문학" 새문社 13-25, 1982

      37 許南春, "高麗俗謠의 頌禱性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1

      38 趙然淑, "高麗俗謠의 時空意識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39 許興植, "韓國金石全文 : 中世上" 亞細亞文化社 1984

      40 權璟順, "韓國文學史의 爭點" 集文堂 262-270, 1986

      41 趙潤濟, "韓國文學史" 探究堂 1985

      42 金俊榮, "韓國古詩歌硏究" 형설출판사 1990

      43 최철, "釋註高麗歌謠" 이회문화사 2003

      44 池憲英, "鄕歌麗謠新釋" 正音社 1947

      45 小倉進平, "鄕歌及び吏讀の硏究" 京城帝國大學 1929

      46 郭茂倩, "樂府詩集 ⅠㆍⅡ" 里仁書局 1984

      47 趙潤濟, "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48 高晶玉, "朝鮮民謠硏究" 首善社 1949

      49 市山盛雄, "朝鮮民謠の硏究" 坂本書店 1927

      50 金台俊, "朝鮮歌謠集成" 朝鮮語文學會 1934

      51 安自山, "朝鮮歌詩의 條理 3-14"

      52 梁柱東, "朝鮮古歌硏究" 博文書館 1942

      53 權斗煥, "國語國文學硏究史" 宇石 272-302, 1985

      54 우리어문학회, "國文學槪論" 一成堂書店 1949

      55 鄭炳昱, "國文學散藁" 新丘文化社 140-159, 1959

      56 李秉岐, "國文學全史" 東國文化社 1957

      57 李丙疇, "哭无涯先生"

      58 朴致祐, "古文化再吟味의 現代的意義"

      59 方鍾鉉, "古代俗謠硏究와 時俗의 轉變考"

      60 任周卓, "受容과 傳承樣相을 通해 본 高麗歌謠의 全般的인 性格" 83 : 185-216, 1997

      61 金台俊, "別曲의 硏究」(一)~(十三)"

      62 金台俊, "別曲의 硏究(1)"

      63 임주탁, "<시경> 시학의 맥락을 통해 본 시와 노래의 특성" 한국문학회 (86) : 5-55, 2020

      64 임주탁, "<가시리>의 독법과 해석의 방향" 2 : 105-13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