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국여지승람』에 반영된 해도 인식 = Recognizing the Sea Islands Reflected in DonggukYeojiSeungram (東國輿地勝覽)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8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초기의 관찬(官撰) 지리지(地理志)의 제작은 국가 문물 제도 정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편찬 사업이었다. 특히 지리지는 국가 수취 체제의필요성 이외에도 국가의 영토 개념이 들...

      조선시대 초기의 관찬(官撰) 지리지(地理志)의 제작은 국가 문물 제도 정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편찬 사업이었다. 특히 지리지는 국가 수취 체제의필요성 이외에도 국가의 영토 개념이 들어가는 중요한 관찬 사업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요동 지역을 위시한 북방 지역 이외에도 하삼도(下三道)의 해도(海島)에 대한 영토 인식이 확대되어 가는 시기였다.
      조선 정부의 해도 인식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뿐만이 아니라 조선초기에 편찬된 지리지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지리지의 편찬 과정에서 해도에 대한 숫자와 내용 등이 다양해지고 확대되기 때문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산천조(山川條)」에 수록된 해도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에 비해 훨씬 정밀하고, 답사를 바탕으로 축적된 경험들로 구성되었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서는 12개만 파악된 해도의 수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의 107개를 거쳐 『동국여지승람』에서는 572개로 확대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해도(海島)를 산천조에 편입하여 영토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조선 초기 중앙 정부의 해도 인식은 대단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조선 초기의 지리지 편찬 과정에서 중앙 정부가 각 도의 지리지 편찬사목(編纂事目)을 하달하고 국가의 관리들이 직접 조사하여 확인한 내용을 여러 번에 걸쳐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해도에 대한 내용 역시 편찬사목으로 정하여 정확한 파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초기 우산도(于山島)·무릉도(武陵島)에 대한 탐색뿐만 아니라, 요도나 삼봉도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존재하는 해도와 존재하지 않은해도에 대한 파악을 끝낸 후, 우산도와 무릉도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으므로 국가가 공식적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기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고석규, "흑산도 상라산성 연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00

      2 강봉룡, "해양인식의 확대와 해양사" 역사학회 (200) : 67-97, 2008

      3 하우봉, "해양사관에서 본 조선시대의 재조명 : 동남아시아국가와의 교류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0) : 189-242, 2006

      4 유미림, "한국 문헌의 ‘울릉도·우산도’ 기술과그 계보에 관한 고찰" 동북아역사재단 (52) : 231-285, 2016

      5 우인수, "한·중·일의 해양인식과 해금" 동북아역사재단 2007

      6 손승철,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한일관계사학회 (39) : 205-260, 2011

      7 김경옥, "조선후기 도서연구" 혜안 2004

      8 이기봉,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27 (27): 399-411, 2021

      9 金在瑾, "조선시대 수군" 1 : 1980

      10 이홍두, "조선시대 강화도 馬牧場의 置廢와 戰馬의 생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3) : 105-136, 2014

      1 고석규, "흑산도 상라산성 연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00

      2 강봉룡, "해양인식의 확대와 해양사" 역사학회 (200) : 67-97, 2008

      3 하우봉, "해양사관에서 본 조선시대의 재조명 : 동남아시아국가와의 교류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0) : 189-242, 2006

      4 유미림, "한국 문헌의 ‘울릉도·우산도’ 기술과그 계보에 관한 고찰" 동북아역사재단 (52) : 231-285, 2016

      5 우인수, "한·중·일의 해양인식과 해금" 동북아역사재단 2007

      6 손승철,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한일관계사학회 (39) : 205-260, 2011

      7 김경옥, "조선후기 도서연구" 혜안 2004

      8 이기봉,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27 (27): 399-411, 2021

      9 金在瑾, "조선시대 수군" 1 : 1980

      10 이홍두, "조선시대 강화도 馬牧場의 置廢와 戰馬의 생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3) : 105-136, 2014

      11 박종기, "조선시기 관찬 지리지의 섬 인식과 변화" 한국학연구소 48 : 125-154, 2017

      12 신명호, "조선 초기 중앙정부의 경상도 海島政策을 통한 空島政策 재검토" 부산경남사학회 (66) : 1-27, 2008

      13 이홍두, "조선 초기 마목장 설치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55) : 227-262, 2017

      14 유미림, "일본의 울릉·우산 ‘이도’설 부정과 지리지 규식" 1 : 2011

      15 조강봉, "울릉도, 독도의 지명 연구" 한국지명학회 14 : 211-252, 2008

      16 이기봉, "우산도는 왜 독도인가" 소수 2020

      17 장학근, "바다와 한국의 역사" 연경문화사 1998

      18 강봉룡, "바다로 보는 한국사" 역사학회 (232) : 147-200, 2016

      19 최홍배,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 32 (32): 321-350, 2010

      20 김호동, "독도·울릉도의 역사" 경인문화사 2007

      21 곽진오, "고문헌에 나타나는 한국・일본의 독도인식" 한국일본학회 (125) : 219-241, 2020

      22 "東國輿地勝覽"

      23 "朝鮮王朝實錄"

      24 李相泰, "朝鮮時代 地圖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2

      25 "慶尙道(續撰)地理志"

      26 "慶尙道(新撰)地理志"

      27 "世宗實錄地理志"

      28 권오엽 ; 권혁성, "『세종실록』의 우산무릉 -풍설의 요도-" 한국일본문화학회 (78) : 61-80, 2018

      29 서인원, "『동국여지승람』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30 "『高麗史』 地理志"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