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渤海 五京體制와 遼ㆍ金의 계승과 변용 = Parhae ' s five-capital system,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it by Liao and J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0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follow-up to the previously published paper on the five capitals of Parhae, Liao, and Jin. It approached this issue again on the viewpoint of ‘Five-Capital System’. It has already been pointed out that these three dynasties operate...

      This study is a follow-up to the previously published paper on the five capitals of Parhae, Liao, and Jin. It approached this issue again on the viewpoint of ‘Five-Capital System’.
      It has already been pointed out that these three dynasties operated the five capitals and they added the name of Capital which indicated the direction, to the name of province side by side. In addition to, the main focus in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fact that its structure was connected with the territorial expansion process while forming a dual system of Gyeongbu(京府, Capital province) and Beonbu(蕃府, Local province).
      Parhae had Gyeongbus at its main base and put Beonbus in various ethnic regions that were expand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iao, according to the government structure of Bukmyeon-gwan(北面官, Nouth Branch Bureaucrat) and Nammyeon-gwan(南面官, South Branch Bureaucrat), while Nammyeon-gwan regions operated Gyeongbu, Bukmyeon-gwan regions established Beonbus. Especially considering the criticism that Bukmyeon-gwan could not be fitted under the framework of the Five Capitals, this paper covered not only the Geonjebu(建制府, Organic province)-focused idea but also the Daebeonbu(大蕃府, Great Local province)-focused idea. Also, this paper pointed out the 8 Beonbus that could not been paid attention to in previous paper.
      In Jin, the Yeojin(女眞, Jurchen) ethnic regions were basically composed in Sanggyeong(上京, the Upper capital) and Donggyeong(東京, the East Capital) as Gyeongros. This is contrary to the fact that the Georan(契丹, Khitan) ethnic regions of Liao were organized as Bukmyeon ‘Daebeonbu’s.
      And the regions expanded into the Han Chinese area were organized as independent Beonros. It is also contrary to the style of Liao, in which Han(漢) regions were belong to Capitals as Gyeongbu.
      Jin's Capital system might be same as the style of Parhae. So, If we trace back from the structure of Jin, it can prove once again that Parhae has already installed five Capitals in previousera, and the Beonbus were added later and ultimately settled down five capitals, 15 provinces, and 62 districts.
      Even so, the reality of Beonbus based on Liao History is still unclear. As some argue, this hypothesis cannot be established if the five-capital system had discribed by the imagination of Liao history's author. This paper paid attention of Beonbus only based on Bukmyeonkwan written in Liao History,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his will be the next research iss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종전에 다루었던 발해, 요, 금의 5경제에 대한 후속연구이다. 이들 세 왕조가 복수의 경을 운영하면서 방위를 지칭하는 경명과 함께 부명을 병칭하였다는 점은 이미 지적한 바있다...

      이 연구는 종전에 다루었던 발해, 요, 금의 5경제에 대한 후속연구이다. 이들 세 왕조가 복수의 경을 운영하면서 방위를 지칭하는 경명과 함께 부명을 병칭하였다는 점은 이미 지적한 바있다. 여기에 더해 이 글은 경부(경로)와 번부(번로)의 이원체제를 5경체제로 칭하고 그것의형성과 운영이 영역 확대 과정과 조응하면서 각 왕조별 고유 특성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 주요시선을 둔다.
      발해는 주요 거점에 경부를 두고 확장된 제족 지역에 번부를 두었다. 반면 요는 북면관ㆍ남면관이라는 관직 구도에 따라 남면관 지역을 경부로 편제한 것에 반해 북면관을 번부를 운영하였다. 다만 번부는, 북면관을 5경의 틀로 연결지을 수 없다는 비판을 고려하여, 종전 연구와달리 8건제부(建制府)를 제안하는 동시에 대번부(大蕃府)를 중심으로 하는 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금의 6경체제는 요의 5경체제를 연용하여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안착되었다. 이러한 정황때문에 여진 부락에 형성된 로는 기본적으로 상경과 동경에 포함되었다. 이는 요의 거란 부락이 북면‘대번부’로 편성된 것과 상반된다. 역으로 한족 지역으로 확대된 지역은 독립된 ‘번로’ 로 편성되었는데 이 또한 확대된 한족 지역을 5경에 포함한 요의 방식과는 상반된 것이다. 금의5경체제 구조는 요가 아닌 발해의 방식이다. 금의 이러한 6경체제 형성 과정을 역추적해보면발해의 5경은 선왕대에 확립된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전에 마련되었고 이후 번부가 추가되어5경 15부 62주로 안착되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해준다.
      하지만 요의 번부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과제가 남아 있다. 혹자의 주장처럼 5경제가 찬자의 상상에 의해 구성된 것이라면 이러한 가설은 성립될 수 없다. 그러나 요사의 두찬을 앞세워많은 기록을 송두리째 부정할만한 근거는 아직 미약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렇다 하더라도 요사를 근거로 한 번부의 실체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 글에서는 기록에 존재하는 편린에 근거하여 북면대번부에 비중을 두었지만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德忠, "論遼朝五京的城市功能" 69 (69): 2002

      2 劉春迎, "論北宋東京城對金上京燕京汴京城的影響" 2005 (2005): 2005

      3 구난희, "요금시대 발해인의 삶과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4 이계지, "요ㆍ금의 역사" 신서원 2014

      5 윤재운, "발해의 동부유라시아정책과 국가전략" 신라사학회 (45) : 233-267, 2019

      6 한규철, "발해의 5경과 영역 변천" 동북아역사재단 2007

      7 송기호, "발해사회문화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8 한규철, "발해‘중경’의 의미" 고구려발해학회 37 : 155-168, 2010

      9 권순홍, "발해 五京制에서 京의 의미와 五京制의 성립 시점" 고구려발해학회 67 : 151-181, 2020

      10 송기호, "발해 5경제의 연원과 작용" 8 : 1998

      1 王德忠, "論遼朝五京的城市功能" 69 (69): 2002

      2 劉春迎, "論北宋東京城對金上京燕京汴京城的影響" 2005 (2005): 2005

      3 구난희, "요금시대 발해인의 삶과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4 이계지, "요ㆍ금의 역사" 신서원 2014

      5 윤재운, "발해의 동부유라시아정책과 국가전략" 신라사학회 (45) : 233-267, 2019

      6 한규철, "발해의 5경과 영역 변천" 동북아역사재단 2007

      7 송기호, "발해사회문화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8 한규철, "발해‘중경’의 의미" 고구려발해학회 37 : 155-168, 2010

      9 권순홍, "발해 五京制에서 京의 의미와 五京制의 성립 시점" 고구려발해학회 67 : 151-181, 2020

      10 송기호, "발해 5경제의 연원과 작용" 8 : 1998

      11 린헌트,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 소나무 1996

      12 권순홍, "도성 관련 용어 검토 — ‘都’ㆍ‘郭’ㆍ‘京’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2) : 35-63, 2017

      13 在日本朝鮮社會科學者協會歷史部會, "高句麗ㆍ渤海と古代日本" 雄山閣 1993

      14 劉曉東, "關于渤海五京制起始年代的說明" 2009 (2009): 2009

      15 "金史"

      16 任仲書, "遼朝的地方制度建設與機構設置" 31 : 2010

      17 肖爱民, "遼朝的五京" 2008 (2008): 2008

      18 "遼史"

      19 "續日本紀"

      20 孫玉良, "渤海遷都淺議" 1983 (1983): 1983

      21 津田左右吉, "渤海考" 1 : 1915

      22 宋玉彬, "渤海國的五京制度與都城" 2008 (2008): 2008

      23 金毓黻, "渤海國志長篇"

      24 徐佳禧, "渤海國五京制與唐朝渊源研究" 2013 (2013): 2013

      25 鳥山喜一, "渤海國の五京について ─渤海史上の諸問題の一節─" 11 : 1957

      26 高井康典行, "渤海と藩鎭 -遼代地方統治 硏究" 波古叢書 2016

      27 구난희, "渤海, 遼, 金의 五京制와 上京" 한국고대학회 (45) : 83-114, 2015

      28 "武經總要"

      29 "欽定滿洲源流考"

      30 "新唐書"

      31 "文華秀麗集"

      32 關樹東, "州县制度中的‘道’‘路’問題探研" 2003 (2003): 2003

      33 "大金國志"

      34 李逸友, "城郭營建制度初探" 3 : 1987

      35 楊雨舒, "唐代渤海國五京硏究" 香港亞洲出版社 2008

      36 "史記"

      37 曉晨, "也談渤海五京制的起始年代" 2003 (2003): 2003

      38 譚其驤, "中國歷史地圖集 第6冊" 中國地圖出版社 1996

      39 呂宗力, "中國歷代官制大辞典" 商務印署館 2015

      40 "三國史記"

      41 佟柱臣, "‘渤海記’著者張建章‘墓誌’考" 1981 (1981):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