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군웅신의 배치와 제주 무가의 지정학적 정체성: 박봉춘 본 <군농본푸리> 재론 = The Arrangement of Gunung god and the Geopolitics of Jeju Shamanist Narrative Song: focus on Gunungbonpu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7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무가와 무속신화는 그 노래와 이야기를 공유하는 집단의 정체성과 이념을 표현한다. 제주의 군웅본풀이에는 간단치 않은 지정학적 정체성이 표현되어 있다. 군웅본풀이는 제주굿의 제차에...

      무가와 무속신화는 그 노래와 이야기를 공유하는 집단의 정체성과 이념을 표현한다. 제주의 군웅본풀이에는 간단치 않은 지정학적 정체성이 표현되어 있다. 군웅본풀이는 제주굿의 제차에서 조상신본풀이에 앞서 구연된다. 군웅신은 일월조상의 한 형식이고, 일월조상은 집단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따라서 군웅본풀이를 통해 제주 굿공동체의 지정학적 정체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군웅본풀이는 군웅신의 종적 계보를 풀어낸다. 군웅신의 부계에 환웅제석이 오거나 박봉춘 본처럼 특별한 경우에는 고려 왕가를 상징하는 왕장군이 온다. 조부모계에는 천왕제석․지왕제석과 같은 불교의 영향을 받은 무교의 천지신이나 천궁대왕․옥계부인과 같은 도교의 영향을 받은 무교의 천신이 배치된다. 종적 계보화를 통해 제주 군웅신이 한반도의 신성 계보와 연속되어 있음을 드러낸다. 제주 굿공동체의 자의식, 혹은 강한 자부심의 표현이다. 이 과정에서 박봉춘 본 <군농본푸리>도 형성된다. 박봉춘 본을 통해 군웅본풀이 안으로 고려 태조 왕건의 건국신화가 수용됨으로써 작제건이 바다의 영웅이 되어 해양세력과 연합을 이루었듯이 왕장군이 동해용왕의 세력과 연합을 이루어 군웅신을 낳았다는 지정학적 서사가 만들어진다. 제주는 해외의 권력과 연합해야 안녕을 이룩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군웅본풀이의 지정학적 정체성은 군웅신의 횡적 계열화로도 표현된다. 한반도의 신성 계보 내에서 출현한 군웅신은 굿판의 요청에 따라 응신한다. 중국에서는 천자 혹은 황제군웅으로 놀고, 일본에서는 효자군웅으로 논다. 이런 군웅의 형상은 제주 굿공동체의 중국․일본에 대한 감정과 인식을 드러내고, 해외의 권력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대한 감정과 인식은 변상에 따라 다양하다. 우리나라가 역신군웅이라고 한 데서는 반중․반일의 감정과 인식을, 황자군웅이라고 한 데서는 자부심을, 대흥대비서대비라고 한 데서는 조선왕조의 권력과 제주 지배라는 현실적 권력에 대한 추인을 표현한다. 나아가 다양한 군웅신의 양태가 모두 군웅아방의 말자로 중이 된 군웅신의 변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데 이르면 군웅신의 정체성은 더 복잡해진다. 제주 굿공동체의 해외 삼국에 대한 감정과 관계 인식은 중층적이고 가변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hamanist narrative songs express the identity and ideology of the group that shares the song and story. Jeju's Gunwoongbonpuri expresses a not simple geopolitical identity. Gunungbonpuri is narrated before the ancestral god Bonpuri in the ceremon...

      The shamanist narrative songs express the identity and ideology of the group that shares the song and story. Jeju's Gunwoongbonpuri expresses a not simple geopolitical identity. Gunungbonpuri is narrated before the ancestral god Bonpuri in the ceremonial turn of Jeju Gut. Gunung god is a form of the Ilwol (symbolic) ancestor, and the Ilwol ancestor symbolizes the identity of the group. Therefore, through the Gunungbonpuri, we can gauge the geopolitics of the Jeju’s Gut-community.
      Gunungbonpuri dictates the longitudinal genealogy of Gunung god. Hwanwoongjeseok of Gojoseon or General Wang which symbolizes the Goryeo royal family are placed at the paternal line of Gunung god. In the grandparents' line, Buddhist gods such as Cheonwangjeseok and Jiwangjeseok are placed, and Taoist gods such as Cheongung the Great and Okgye the Great are placed. Through this longitudinal genealogy, it is revealed that Jeju Gunung god is continuous with the sacred genealogy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an expression of the self-consciousness and strong pride of Jeju's Gut-community. In this process, Park Bong-chun's Gunnongbonpuri is also formed. Like the founding myth of King Taejo of Goryeo was accepted through Park Bong-chun's version, the geopolitical narrative that General Wang create the Gunung god through a coalition with the East Sea Dragon King. The extended story that Jeju must unite with the power of the sea around Jeju island is formed.
      The geopolitical identity of Gunungbonpuri is also expressed as a transverse systematization of Gunung god. Gunung god, which appeared in the sacred genealogy of the Korean Peninsula, incarnates himself in the request of Gut ritual. Gunung god plays as a emperor-gunung in China, and as a filial son- gunung in Japan. This forms of Gunung reveals the feelings and perceptions of the Jeju's Gut-community toward China and Japan, and shows a friendly attitude toward overseas power. However, emotions and perceptions of “our country” are diverse and complex according to metamorphosises. The statement that Korea is a rebellious subjects-gunung expresses anti-China and anti-Japanese, Hwangja-gunung expresses a kind of pride, and Daewangdaebeeseodaebee expresses ratification of the Joseon Dynasty's power. Furthermore, the identity of Gunung god becomes more complicated when the various aspects of Gunung god are all merely metamorphosises of Gunung god, the youngest son of General Wang who became a monk. The Jeju’s Gut-community's emotions and percep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three countries abroad is multi-layered and varia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명, "한문 단편소설 <王秀才娶得龍女說>의 서사적 특징" 동양고전학회 (75) : 275-301, 2019

      2 장주근, "한국의 신화" 성문각 1961

      3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4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문학" 지식산업사 1999

      5 문무병, "제주도큰굿자료"

      6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신구문화사 1980

      7 진성기,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

      8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9 문무병,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 민속원 2008

      10 이수자, "제주도 무속을 통해서 본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집문당 2005

      1 권혁명, "한문 단편소설 <王秀才娶得龍女說>의 서사적 특징" 동양고전학회 (75) : 275-301, 2019

      2 장주근, "한국의 신화" 성문각 1961

      3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4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문학" 지식산업사 1999

      5 문무병, "제주도큰굿자료"

      6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신구문화사 1980

      7 진성기,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

      8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9 문무병,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 민속원 2008

      10 이수자, "제주도 무속을 통해서 본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집문당 2005

      11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역락 2001

      12 허남춘, "제주 신화 속의 해양교류와 해양문화" 탐라문화연구원 (52) : 7-41, 2016

      13 조현설, "제주 본풀이에 표현된 집단기억과 제주인의 정체성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58) : 265-294, 2020

      14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이용옥 심방 <본풀이>"

      15 신성재, "왕건의 수군활동과 皐夷島-皐夷島의 전략상 위치에 주목하여-" 한국중세사학회 (57) : 11-39, 2019

      16 정청주, "신라말ㆍ고려초 海上勢力의 대두와 그 역사적 의미 - 왕건의 海上勢力 장악을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59) : 27-64, 2015

      17 여성구, "삼국유사 鵠島 居陁知 설화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試論" 한국학연구소 46 : 71-114, 2016

      18 조현설, "두 개의 태양, 한 송이의 꽃 ― 월명사 일월조정서사의 의미망" 민족문학사연구소 (54) : 113-142, 2014

      19 조현설, "고려건국신화 「고려세계」의 신화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17 : 5-32, 2000

      20 진영일, "고대 탐라국의 대외관계"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30) : 217-282, 2007

      21 "高麗史"

      22 박희병, "韓國漢文小說校合句解" 소명출판 2005

      23 赤松智城, "朝鮮巫俗の硏究(上卷)" ⼤阪屋號書店 1937

      24 徐大錫, "敍事巫歌 硏究 : 說話小說과의 關係를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1969

      25 "三國遺事"

      26 한창훈, "『탐라문견록』에 나타난 제주인의 동아시아 인식과 그 의미" 제주학회 38 : 137-158, 2012

      27 전기웅, "『삼국유사』 소재 ‘眞聖女大王居陁知’ 조 설화의 검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8) : 217-251, 2010

      28 신선혜,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 한국불교연구원 (51) : 203-233, 2019

      29 노영근, "<救龍談>의 사적 전개와 변이" 어문연구학회 59 : 75-10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