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말 왜구와 남조-경신년(1380)의 왜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신년 왜구〉는 경인년(1350)이후 31년 동안 침구해온 왜구 중 최대규모였다. 진포구에서 고려군의 화포 공격을 받아 타고 돌아갈 배가 불타버리자, 왜구들은 이후 수 개 월 동안 고려 내륙...

      〈경신년 왜구〉는 경인년(1350)이후 31년 동안 침구해온 왜구 중 최대규모였다. 진포구에서 고려군의 화포 공격을 받아 타고 돌아갈 배가 불타버리자, 왜구들은 이후 수 개 월 동안 고려 내륙을 전전하면서 고려 사회에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와 엄청난 충격을 안겨 주었다.
      기존의 일본 측 연구는 이 〈경신년 왜구〉에 관한 고려사 의 기록을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고찰을 시도하기는커녕 오히려 소위 〈고려 말 왜구=고려·조선인 주체〉설 내지는 〈고려 말 왜구=고려·일본인 연합〉설의 근거로 삼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신년 왜구〉와 관련해, 최초로 일본 측 문헌 사료에 입각해, 그 실체와 침구 배경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경신년 왜구〉는 규슈탄다이 이마가와 료슌의, 예상되는 공격에 대하여 규슈의 남조 세력이, 다카기·아마쿠사 일대의 선박을 대피시키기 위해, 그리고 남조의 본거지 기쿠치 일대가 포위당한 상황 속에서 병량미를 얻기 위해 침구했던 것임을 밝혔다. 그러한 〈경신년 왜구〉 중에는, 다카기·아마쿠사 지역의 수군 세력은 물론, 규슈 최남단의 오오스미 지역의 호족 네지메씨 주변의 남조 세력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서,〈경신년 왜구〉를 근거로 하여 제기된 소위 〈왜구=고려·조선인 주체〉설 내지 〈왜구=고려·일본인 연합〉설은 입론(立論)부터 잘못되었음을 입증했다. 그리고 〈경신년 왜구〉 역시, 고려 말의 왜구가 규슈 지역의 무장 세력이 병량미의 확보와 일시적인 도피를 목적으로 침구해간 것이라는 필자의 일관된 견해를 입증하는 또 하나의 좋은 사례임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aegu of 1380 years〉 was the largest scale among the others invaded for 31 years after Gyeong-in(A.D. 1350). Waegu with its burned vessel from Jinpo distinct wandered around Korea inland for several months. It committed an act of brutality le...

      〈The Waegu of 1380 years〉 was the largest scale among the others invaded for 31 years after Gyeong-in(A.D. 1350). Waegu with its burned vessel from Jinpo distinct wandered around Korea inland for several months. It committed an act of brutality leaving Korea massive loss of manpower, material resources, and great shock.
      The existing studies of Japan did not trust records about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in〈The Waegu of 1380 years〉 so that they never tried concrete examination, but put foundation on the theories of〈Waegu=the korean people〉 or〈Waegu=the korean·Japanese union〉. This study examines these documentary records relating to〈The Waegu of 1380 years〉 for the first time, considering its entity and backgrounds of invasion. That is, 〈The Waegu of 1380 years〉 happened for kyushu’s nancho(南朝) sway to take shelter vessels of Takagi and Amakusa from the attack of Imagawa ryousyun(=the commander of the muromachi bakuhu at kyushyu region). Also, to gain rices(兵糧米) in the situation of nancho(南朝)’s headquarter-kikuchi(菊池) soldiers got surrounded by enemies.
      Among〈The Waegu of 1380 years〉, not only naval forces of Takagi Amakusa distinct but also, kyusyu’s furthest southern extremity-the clan of Osumi distinct nancho(南朝) sway of Nejime was involved.
      Through examination mentioned above, theories such like〈Waegu=Korean people〉 or〈Waegu=Korean·Japanese union〉 based on〈The Waegu of 1380 years〉 was not only wrong from the build up, but also prove my opinion about the fact that Waegu-military power invaded for the gain of rices(兵糧米) and temporary escape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기존설의 검토
      • 3. 관련 사료의 검토
      • 4. 다카기(高?)·아마쿠사(天草)의 지정학적 위치
      • 【국문초록】
      • 1. 서론
      • 2. 기존설의 검토
      • 3. 관련 사료의 검토
      • 4. 다카기(高?)·아마쿠사(天草)의 지정학적 위치
      • 5. 경신년(1380)을 전후한 규슈 정세
      • 6. 려일간의 외교 교섭과 〈경신년 왜구〉의 정보
      • 7. 결론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歷代鎭西要略 상" 雙美印刷株式會社 231-232,

      2 이영, "잊혀진 전쟁 왜구—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피스테메 2007

      3 "고려사절요"

      4 "고려사"

      5 이영, "고려 말 왜구의 허상과 실상" 대구사학회 91 : 59-96, 2008

      6 "長崎県の地名" 平凡社 2001

      7 "鄕土歷史大事典" 平凡社 1985

      8 "熊本県の歴史" 山川出版社

      9 "熊本県の歴史" 山川出版社 130

      10 "深堀家文書"

      1 "歷代鎭西要略 상" 雙美印刷株式會社 231-232,

      2 이영, "잊혀진 전쟁 왜구—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피스테메 2007

      3 "고려사절요"

      4 "고려사"

      5 이영, "고려 말 왜구의 허상과 실상" 대구사학회 91 : 59-96, 2008

      6 "長崎県の地名" 平凡社 2001

      7 "鄕土歷史大事典" 平凡社 1985

      8 "熊本県の歴史" 山川出版社

      9 "熊本県の歴史" 山川出版社 130

      10 "深堀家文書"

      11 야마우치 유즈루(山内譲), "海と列島文化—瀬戸内海の海人文化" 小学館 1991

      12 "東シナ海と西海文化" 小学館 1992

      13 "日本歷史地名大系"

      14 戶田芳實, "日本史の研究" ミネルバ書房 1970

      15 사토 가즈히코(佐藤和彦), "日本中世の内乱と民衆運動" 校倉書房 1996

      16 다나카 다케오, "日本の社会史 一" 岩波書店 1987

      17 宮本常一, "旅の民俗と歴史" 八坂書房 1987

      18 와다누키 도모코, "戦争Ⅰ. 中世戦争論の現在—ものから見る日本史" 青木書店 2004

      19 藤田明, "征西將軍宮" 東京寶文館 1915

      20 "康曆二年六月二日今川了俊書狀"

      21 "吾妻町史"

      22 야마구치 다카마사(山口隼正), "南北朝期九州守護の研究" 文献出版 1989

      23 佐藤進一, "南北朝の動乱" 中央公論社 1965

      24 오오이시 다케시, "元寇, そして賀茂事件" ネオプリンチング 58-59, 1993

      25 요부코 조타로, "倭寇史考" 新人物往來社 1971

      26 이영, "倭寇と日麗関係史" 東京大學出版會 1999

      27 "今川了俊書狀寫"

      28 "今川了俊書狀寫"

      29 "今川了俊書狀寫"

      30 "今川了俊の対外交渉" (75) : 1982

      31 川添昭二, "今川了俊" 吉川弘文館 1964

      32 가와조에 쇼지, "人物叢書, 今川了俊" 吉川弘文館 -127, 1964

      33 다카하시 고메이, "中世東アジア海域における海民と交流" 史学33 : 1987

      34 다카하시 기미아키, "ものがたり, 日本列島に生きた人たち, 4 文書と記録 下" 岩波書店 2000

      35 이영, "<경인년 이후의 왜구>와 마쓰라토(松浦)-우왕 3년(1377)의 왜구를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24 (24): 109-156, 2006

      36 이영, "14세기의 동아시아 국제 정세와 왜구 ―공민왕 15년(1366)의禁倭使節의 파견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6) : 95-14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