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전쟁과 여성의 삶 - '쇄미록'을 중심으로- = The Imjin War and the Lives of Women-Focusing on Swaemir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7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오희문의 전쟁 일기 『쇄미록』을 통해 임진전쟁 중 여성의 삶을 살펴보았다. 전쟁이 일어나자 조선의 여성들은 큰 고난을 맞이했다. 그러나 고난의 모습은 여성 자신의 신분에...

      이 글에서는 오희문의 전쟁 일기 『쇄미록』을 통해 임진전쟁 중 여성의 삶을 살펴보았다. 전쟁이 일어나자 조선의 여성들은 큰 고난을 맞이했다. 그러나 고난의 모습은 여성 자신의 신분에 따라, 그리고 자신의 보호자인 남성의 신분이나 처지에 따라 달랐다.
      전쟁은 여성이 다양한 행동을 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여성은 전쟁이라는 위기 속에서도 생활을 꾸려나가기 위해 노력했다.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 다른 이에게 부탁을 하기도 하고, 집안에서 만든 물품을 팔아 경제활동을 하기도 했다. 여성이 주체적으로 활동할 “기회”가 늘어나면서, 여성이 가족이나 친척의 보호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일도 자주 목격되었다. 낮은 신분의 여성들은 행상을 하거나 무속(巫俗)으로 생활을 위한 비용을 마련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모습도 보였다.
      한편 가장 낮은 신분에 속하는 여성인 비(婢)들은 어려움에 처하자 주인의 거처로 찾아오는 경우가 많았다. 주인 역시 피란 중인 상황에서, 이들은 더 힘든 노동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노동의 대가로 이들은 주인의 보호를 얻을 수 있었다.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비들은 일상생활뿐 아니라 출산, 질병, 죽음에서도 다른 신분의 여성들보다 좋지 않은 처지에 놓여있었다. 그럼에도 주인의 보호를 뿌리친 채 처벌을 무릅쓰고서도 도망을 선택했던 비들이 있었다.
      『쇄미록』에 보이는 이러한 사례들은 전쟁이라는 특수 상황에서 발생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모습과 비교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이 전쟁으로 인해 어떤 변화가 나타났다면, 그 변화가 이후로도 이어졌는지 아니면 일회적인 변동에 그쳤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창권,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사계절 2003

      2 조원래, "한중일공동연구 정유재란" 범우사 2018

      3 조영준,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71-196, 2012

      4 신동원,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역사문제연구소 (75) : 344-391, 2006

      5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8 : 1999

      6 박미해, "조선중기 예송(例送)·증송(贈送)·별송(別送)으로의 처가부양: 오희문의 『쇄미록(瑣尾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138-163, 2008

      7 박미해, "조선중기 수령의 가족부양으로 본 長子의 역할과 家의 범위― 오희문가의 평강생활(1596-1600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5) : 187-218, 2007

      8 정해은, "조선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 너머북스 2011

      9 김현숙,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 경인문화사 2018

      10 최은주,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傳存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77) : 25-59, 2020

      1 정창권,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사계절 2003

      2 조원래, "한중일공동연구 정유재란" 범우사 2018

      3 조영준,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171-196, 2012

      4 신동원,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역사문제연구소 (75) : 344-391, 2006

      5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8 : 1999

      6 박미해, "조선중기 예송(例送)·증송(贈送)·별송(別送)으로의 처가부양: 오희문의 『쇄미록(瑣尾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138-163, 2008

      7 박미해, "조선중기 수령의 가족부양으로 본 長子의 역할과 家의 범위― 오희문가의 평강생활(1596-1600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5) : 187-218, 2007

      8 정해은, "조선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 너머북스 2011

      9 김현숙,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 경인문화사 2018

      10 최은주,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傳存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77) : 25-59, 2020

      11 정성미, "조선시대 사노비의 사역영역과 사적영역 -『瑣尾錄』에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38) : 77-106, 2011

      12 김현숙, "조선 여성의 선물 교환 실태와 緣網-19세기 중반 호서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75) : 53-89, 2015

      13 장미경, "전쟁시에 나타난 여성의 양가성 -壬辰倭亂과 丁酉再亂 詩材 한시를 대상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11): 331-356, 2005

      14 정수환, "임진전쟁과 일상, 기록 그리고 텍스트 검토" 한국사학사학회 (44) : 5-35, 2021

      15 정출헌, "임진왜란의 상처와 여성의 죽음에 대한 기억 -동래부의 김섬(金蟾)과 애향(愛香), 그리고 용궁현의 두 婦女子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1) : 35-67, 2010

      16 이성임, "임진왜란기 해주 오씨 집안의 官屯田과 차경지 경작-吳希文의『瑣尾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1) : 81-113, 2022

      17 송수진, "임진왜란기 사족 부형의 형상화" 한국국학진흥원 (46) : 211-241, 2021

      18 정해은, "임진왜란기 대구 수령의 전쟁 대응과 사족의 전쟁 체험" 부산경남사학회 (98) : 1-33, 2016

      19 박주, "임진왜란과 旌表" 8 : 1993

      20 전경목, "임진왜란 초기 장수현에 떠돌던 소문과 전달된 문서" 2018

      21 이성임, "일기 자료를 통해 조선 사회의 또 다른 모습" 한국학중앙연구원 (33) : 306-318, 2015

      22 박미해, "유교적 젠더 정체성의 다층적 구조: 『미암일기』, 『묵재일기』, 『쇄미록』, 『병자일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9) : 197-229, 2008

      23 김경태, "쇄미록에 나타난 임진왜란 관련 정보의 전달 양상" 호서사학회 (99) : 89-127, 2021

      24 국립진주박물관, "쇄미록"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25 한성금, "미암 유희춘의 여성 인식" 동아인문학회 (38) : 1-28, 2017

      26 권내현,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어느 노비 가계 2백 년의 기록" 역사비평사 2014

      27 유재빈, "烈女圖에 담긴 폭력과 관음의 이중 굴레― 《五倫行實圖 烈女篇》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18) : 39-72, 2022

      28 전경목, "日記에 나타나는 朝鮮時代 士大夫의 일상생활-오희문의 『쇄미록』 을 중심으로-" 19 (19): 1996

      29 김성진, "尾錄을 통해 본 士族의 生活文化―음식문화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회 24 (24): 177-206, 2007

      30 "『쇄미록』을 통해 본 임진왜란기 조선의 사회상" 2020

      31 김소연, "『쇄미록』에 나타난 오희문의 전란 체험과 가족애" 인문학연구원 (4) : 39-73, 2021

      32 김연수,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혼맥(婚脈)과 친족관계" 한국민속학회 75 : 79-110, 2022

      33 정성미, "『쇄미록』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3

      34 소현숙, "3․1운동과 정치 주체로서의 ‘여성’" 한국학연구소 51 : 385-414, 2019

      35 李正守, "16세기 중반~18세기 초의 貨幣流通 실태-生活日記類와 田畓賣買明文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32) : 95-148, 2005

      36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에 나타난 꿈의 기록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74) : 273-305, 2015

      37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 『瑣尾錄』연구 - 저자 吳希文의 피난기 생활상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60) : 37-70, 2012

      38 이성임, "16세기 양반사회의 "膳物經濟"" 한국사연구회 (130) : 53-82, 2005

      39 최주희, "16세기 양반관료의 선물관행과 경제적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1) : 245-289, 2009

      40 이성임, "16~17세기 일기의 傳存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89) : 41-75,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