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紀元前 一千年期의 韓日竝行關係 再構築-土器年代를 中心으로- = Cross Dating of Korean & Japanese Archaeology during 1th Millennium B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동기시대와 야요이시대의 병행관계는 한반도 남부와 북부큐슈를 중심으로 교차연대법에 입각하여 설정되어 왔다. 연구자 간의 견해차는 논문이 발표된 시점에서의 새로운 고고자료 및 ...

      청동기시대와 야요이시대의 병행관계는 한반도 남부와 북부큐슈를 중심으로 교차연대법에 입각하여 설정되어 왔다. 연구자 간의 견해차는 논문이 발표된 시점에서의 새로운 고고자료 및 양 지역에서 출토된 외래계토기에 대한 다른 이해에서 비롯되었다. 연구사 검토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과 한일고고학자 간의 부정합 부분을 바로잡고, 교차연대가 성립되지 않는 부분은 탄소14연 대를 이용하여 보완하였다. 특히 2003년에 발표된 야요이시대 신연대론은 이후 14년째에 접어든 지금까지도 수정론과 상충하고 있다. 근년 한국의 청동기시대도 탄소14연대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신연대가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야요이시대와의 비교 이전에 교차연대를 재정립하는 작업이 양국의 역연대 검증에 반석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2003년 이후 데이터 축적을 통해 수정과 보완을 거듭하고 있는 신연대론에 이용된 기초 데이터를 새로이 집성하여 토기 형식별로 정리한 후, 최근 같은 방법으로 정리한 청동기시대와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차 연대로 설정된 고고학적 병행관계를 한일 양 지역의 탄소14연대의 비교·검토를 통해 검증하여 정합적인 역연편년을 연표로 작성하였다. 한일 양 지역의 올바른 병행관계 구축은 한일교류사의 고고학적 해석에 초석이 되기 때문에 향후 지속적으로 데이터 축적에 반응하여, 병행연표를 조정해 나가는 작업이 반복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build cross dates of Bronze age and Yayoi period in South Korea and Northern Kyushu. I examined history of study and pointed out a problems. And I adjusted the part which cross dates did not match. I supplemented the ...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build cross dates of Bronze age and Yayoi period in South Korea and Northern Kyushu. I examined history of study and pointed out a problems. And I adjusted the part which cross dates did not match. I supplemented the time when archaeological data were short based on radiocarbon dates. In addition to that I inspected the part which cross dates was selected as using radiocarbon dates. For the result, I omit the detailed explanation, turn in abstract as a chronological table.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NRF-2014S1A5B5A07042088)”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硏究略史 Ⅲ. 야요이시대 신연대와 청동기시대 연대 Ⅳ. 탄소14연대의 비교 Ⅴ. 병행연표의 작성 Ⅵ.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硏究略史 Ⅲ. 야요이시대 신연대와 청동기시대 연대 Ⅳ. 탄소14연대의 비교 Ⅴ. 병행연표의 작성 Ⅵ.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