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 16관법(十六觀法)의 고찰 = A Study on the Sixteen Meditations(Vipaśyanā) of Amitābha (十六觀法) of the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觀經變相圖) in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불교미술은 불교의 교의를 근본으로 하여 발생한 종교미술이다. 그것은 그 발생에서부터 그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지니고 출발했으며, 각 시대 각 민족으로 전파되면서도 그 시대 그 민족의...

      불교미술은 불교의 교의를 근본으로 하여 발생한 종교미술이다. 그것은 그 발생에서부터 그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지니고 출발했으며, 각 시대 각 민족으로 전파되면서도 그 시대 그 민족의 양식으로 변화 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불교미술 작품을 통해서 불교적 교의 뿐 만 아니라 각 시대 각 민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과 그 특징을 규명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 미술사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꼽히고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고려불화의 미술사적 의의를 규명하여 21세기 한국불화의 ‘시대정신 구현’에 관한 교훈과 계시를 얻는 데 목적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고의 조사대상으로는 고려시대 여러〈관경16관변상도(觀經十六觀變相圖)〉 중에서 1323년 동시대에 제작한 지은원(知恩院, 지온인 소장 설충필)과 인송사(隣松寺 구장 서지만필)의 〈관경16관변상도〉 2점이다. 현재 국내외에 작품이 현존하며, 제작시기가 비교적 확실하여 자료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시기는 고려 충렬왕과 상왕(上王)이던 충선왕 부자(父子)의 왕권투쟁이 일어난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극적인 풍부한 내용과 복잡 미묘한 구도, 장엄한 분위기의 미적 표현, 앞 시기의 건실하고 중후한 특징이 사라지고 단아하고 우아한 양식특징이 정착된 점 등이 눈에 띈다. 이 두 작품은 학계에서도 아미타신앙과 아미타불화 연구의 절대 기준작으로 삼고 있으며, 불교회회사적·종교사적 가치는 물론,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적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시대적 특징을 확연히 들어내고 있는 고려시대 〈관경16관변상도〉의 출현 의의와 그 창작정신을 이 시대의 미술로 되살려낸다면 한국불교미술의 새로운 변화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ddhist art is religious art created based on Buddhist doctrines. It began with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hen it was created. And it has continued to today being changed and developed to styles of each period and each people even while being spre...

      Buddhist art is religious art created based on Buddhist doctrines. It began with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hen it was created. And it has continued to today being changed and developed to styles of each period and each people even while being spreading to them. Therefore, we can clarify political, economic, socia, and cultural situations of each period and each people as well as Buddhist doctrines through works of Buddhist art.
      This study arranged discussion to learn lessons and receive revelations about ‘embodying the spirit of the times’ in Korean Buddhist painting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21st century by clarifying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excellent work in our art history and is getting the global spotlight.
      Faith in Amitabha's Pure Land presents the easy path to enlightenment which men can be again born in the Pure Land by invoking the name of Amidabha Buddha (稱名念佛). A lot of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were drawn by China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of the Tang Dynasty, Kore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Japan in the Kamakura period as they were in fashion in the different periods.
      The study’s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the two paintings of sixteen visions of Amitāyur-dhyāna-sūtra in Jieunwon (知恩院藏) and Insongsa (隣松寺藏) made (作) in the same period of 1323 among the several ones of the Goryeo Dynasty. They have value as the materials because the works exist in Korea and other country now and the production dates are comparably certain. In this period, Chungnyeol of Goryeo (忠烈王) and Chungseon of Goryeo (忠宣王) who were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父子) struggled over royal authority. And in the two works, the dramatic and abundant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byzantine complexity, aesthetic expression with magnificent feelings, and the sound and dignified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period disappeared and the point that characteristics of refined and elegant styles were settled, etc. stands out. These two works are the absolute works which become the norm of studies on Amitabha faith and Amitabha Buddhist paintings even in the academic world and well reflect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of the times as well as the value of Buddhist painting and religious history.
      If the appearance significance and the creative spirit of the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觀經變相圖) in the Goryeo Dynasty which clear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re revived as art of this perio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21st century, it will serve as a momentum of new restoration of Korean Buddhist a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炳模, "寧波佛敎와 高麗佛畵" 韓國美術史硏究所 9 : 1997

      2 문명대, "한국불교회화사" 에스앤아이팩토리 2021

      3 이상보, "한국불교가사전집" 집문당 1980

      4 키무라 키요타카, "중국불교사상사" 민족사 1988

      5 장휘옥, "정토불교의 세계" 불교시대사 1996

      6 장희정, "전통미술의 이해/불화-고려불화의 새로운 발견/관경변상도" 미술세계 1999

      7 유마리, "일본에 있는 한국불화 조사-교토, 나라지방을 중심으로(韓國佛畵 調査)" 奈良 1996

      8 유마리, "아미타불화의 연구" 문화재청 2013

      9 문명대, "설림 : 고려 아미타삼존도의 새자료" 한국불교미술사학회 8 (8): 1996

      10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 연구소"

      1 鄭炳模, "寧波佛敎와 高麗佛畵" 韓國美術史硏究所 9 : 1997

      2 문명대, "한국불교회화사" 에스앤아이팩토리 2021

      3 이상보, "한국불교가사전집" 집문당 1980

      4 키무라 키요타카, "중국불교사상사" 민족사 1988

      5 장휘옥, "정토불교의 세계" 불교시대사 1996

      6 장희정, "전통미술의 이해/불화-고려불화의 새로운 발견/관경변상도" 미술세계 1999

      7 유마리, "일본에 있는 한국불화 조사-교토, 나라지방을 중심으로(韓國佛畵 調査)" 奈良 1996

      8 유마리, "아미타불화의 연구" 문화재청 2013

      9 문명대, "설림 : 고려 아미타삼존도의 새자료" 한국불교미술사학회 8 (8): 1996

      10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 연구소"

      11 이승희, "고려후기 정토불교회화의 연구 : 천태·화엄신앙의 요소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12 강호선, "고려후기 백련결사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연구회 58 : 115-143, 2019

      13 이승희, "고려후기 관경16관변상도의 원류와 독자성" 국립중앙박물관 2019

      14 이승희, "고려후기 西福寺 觀經十六觀變相圖의 天台淨土信仰的 해석"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5-34, 2013

      15 시공사편집부, "고려시대의 불화" 시공사 1997

      16 김재명, "고려시대 내시, 그 별칭과 구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81 : 2002

      17 박도화, "고려불화와 서하불화의 도상적 관련성 - 아미타삼존내영도와 자비도장참법변상도를 중심으로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52) : 65-83, 1998

      18 유마리, "麗末鮮初觀經十六觀變相圖-觀經變相圖의 硏究Ⅳ" 208 : 1995

      19 文明大, "高麗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20 井手誠之輔, "高麗佛畵の世界-東アジア美術における領分とその諸相" 1313 : 2005

      21 菊竹淳一, "高麗佛畵 特性" 시공사 1997

      22 菊竹淳一, "高麗佛畵" 朝日新聞社 1981

      23 문명대, "高麗 觀經變相圖의 硏究" 東國大學校博物館 6 : 1981

      24 文明大, "韓國의 佛畵" 悅話堂 1977

      25 謙田戊雄, "韓國美術2新羅·高麗美術" 講談社 1987

      26 權奇悰, "韓國淨土思想"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1997

      27 동국대불교문화연구원, "韓國佛敎思想槪觀"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7

      28 柳麻理, "韓國 觀經變相圖와 中國 觀經變相圖의 比較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3

      29 문명대, "韓國 淨土思想硏究" 불교학술연구소 1997

      30 山川 曉, "長香寺本觀無量壽經十六觀變相圖について-宋代淨土敎繪畫の受容と展開-" 142 : 1997

      31 玉城康四郞, "譯中國佛敎의 思想" 民族社 1989

      32 高崎富士彦, "觀經十六觀變相圖" 東京國立博物館 100 : 1959

      33 大原嘉豐, "觀經十六觀變相圖" 1313 : 2005

      34 井手誠之輔, "茨城の文化財" 茨城 縣敎育委員會 2002

      35 關係年表, "聖地寧波" 奈良國立博物館 2009

      36 高亨坤, "神의世界" 太學社 1971

      37 松本榮一, "燉煌畵の硏究" 東方文化學院東京硏究所 1932

      38 현창호, "淨業院의 置廢와 位置에 對하여" 서울역사편찬원 (11) : 3-33, 1961

      39 河原由雄, "淨土曼茶羅から迎攝圖へ-高麗․ 李朝觀經變相圖の展開, In 日韓兩國所在韓國佛敎美術共同調査硏究硏究成果報告書" 奈良國立博物館 1993

      40 岡崎讓治, "淨土敎畵" 至文堂 (43) : 1969

      41 坪井俊映, "淨土敎槪論" 獨尊藏 2004

      42 河原由雄, "淨土圖" 至文堂 (272) : 1989

      43 坪井俊映, "淨土三部經槪說" 운주사 1995

      44 坪井俊映, "淨土三部經槪說" 운주사 1998

      45 "淨土 曼茶羅" 奈良國立博物館 1983

      46 유마리, "朝鮮後期觀經十六觀變相圖-觀經變相圖의 硏究(Ⅱ)" 동국대학교박물관 12 : 1994

      47 甲恩守, "朝鮮後期極樂九品圖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 2001

      48 塚本善隆, "會通傳" 1968

      49 坪井俊映, "曇鸞傳" 1995

      50 井手誠之輔, "日本の宋元佛畵" 至文堂 418 : 2001

      51 "懶翁和尙歌頌"

      52 "大正藏 55"

      53 岩田 茂樹, "大勸進 重源" 奈良國立博物館 2006

      54 주수완, "大乘說法圖像의 硏究 : '觀經變相'과 '靈山佛會'圖像의 起源과 傳播"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55 "四明石芝"

      56 河原由雄, "佛敎美術硏究上野記念財團助成 硏究報告書 1" 1974

      57 유마리, "中國敦煌莫高窟(17굴)發見의 觀經變相圖(Paris Guimet東洋博物館藏)와 韓國觀經變相圖(日本西福寺)"

      58 鄭于澤, "シルクロドと高麗佛畵, In 北東アジアシリズ 94報告書" 環日本海松江國際交流會議 1995

      59 "『開元釋教錄』 卷5"

      60 "『續高僧傳』券6, 권27"

      61 浜田隆, "『大和文化硏究』Ⅳ-4" 大和文化硏究會 1957

      62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5918&res=y"

      63 "Chattha Sangayana TiPitaka 4.0"

      64 "CBReader 5.2"

      65 김선희, "4차 산업혁명과 불교미술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5 (25): 120-139, 2019

      66 유마리, "1323년4月作觀經十六觀變相圖(日本隣松寺藏)-觀經圖의 연구Ⅲ)" 문화재관리국 28 : 1995

      67 유마리, "1323년 4월작 관경십육관변상도(일본경부장)" 국립문화재연구소 28 : 1995

      68 山本興一, "(特別展覽會)淨土敎繪畵"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2-02-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