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佛像의 腹藏 阿字圓相隨求陀羅尼 연구 = The Research of the Excavation of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in a Goryeo Dynasty Statue of Buddh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8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sh-granting Dharani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阿字圓 相隨求陀羅尼) is a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sh-granting incantation) that has not been discussed in academia until now. The seed-syllable a(阿) of Garbha-dhatu...

      Wish-granting Dharani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阿字圓 相隨求陀羅尼) is a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sh-granting incantation) that has not been discussed in academia until now. The seed-syllable a(阿) of Garbha-dhatu Mahāvairocanasatathāgata (Womb Realm cosmic Buddha) is engraved in the middle of the Ensō (Buddhist sacred circle). 25 lines of Buddhist spell Dhāraṇīs (Buddhist incantations) are encircling the Ensō. There are short Buddhist spells following 7 types of Gāthās (Buddhist hymns) that are consecutively arranged, including the Root Dhāraṇī of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the Eight-petaled Lotus Mandala of Thirty-seven Deities,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has been known as the dual set of maṇḍalas in the Diamond and Womb Realms. Meanwhile,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and Eight-petaled Lotus Mandala of Thirty-seven Deities, focusing on the Japanese dual set of maṇḍalas; however, the two Dhāraṇī Mandalas have structures that do not appear in the Japanese dual set of maṇḍalas. This paper analyses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as well as Eight-petaled Lotus Mandala of Thirty-seven Deities that was used as a reference point when interpreting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The following was discovered from the name and structure recorded on the actual artefact: Eight-petaled Lotus Mandala of Thirty-seven Deities is a visualization of the seed-syllables of the thirty-seven deities of the Diamond Realm and the eight petals of the Womb Realm on top of a circular maṇḍala altar. This left room for re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name of the Vajradhātu-mandala (Diamond Realm maṇḍala). It has also revealed that the dual set of the Diamond and Womb Realm is illustrated in the maṇḍala.
      On the other hand, arranging the a(阿) of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in the middle has been used in various categories, not limiting to certain Buddhist spells or dhāraṇis. The eight petals ㅡthe core of the Womb Realm mandalaㅡare portrayed in Eight-petaled Lotus Mandala of Thirty-seven Deities as eight petals and stamens, measuring up to its name “eight petals”; hence, it is hard to view the a(阿) of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as a representation of a Mahāvairocanasatathāgata that has an eight-petaled structure.
      By examining these types of issues, this paper interpreted the Sanskrit inscriptions of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that used to be called a Womb Realm mandala.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e dharani in the middle section is a Mahāpratisarā-dhāraṇī. Besides the Mahāpratisarā-dhāraṇī, there were other brief Buddhist spells as well that were circula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Buddhist spells and the Goryeo Dynasty dharani collection 梵書摠持集 and Yao Dynasty publications such as 釋教最上乘秘密藏陀羅尼集 and 顯密圓通成佛 心要集. Based on these facts, this paper indirectly identified an example of influence between Goryeo and Yao Buddhism; moreover, the composition order of the dharanis in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corresponds to the procedure of chanting Buddhist spells and dharanis in ritual collections; therefore, a connection with actual rituals can be estimated as well.
      In conclusion, Mahāpratisarā-dhāraṇī with a Seed-syllable A(阿) Inside the Enso, which was inserted in a statue of Buddha, is a type of Mahāpratisarādhāraṇī that was consistently produc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This research ai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阿字圓相隨求陀羅尼>는 지금까지 학계에 논의되지 않은 수구다라니로 圓相 의 중앙에는 태장계 대일여래 종자인 ‘ (阿字)’가 인출되었으며 주위에는 25줄의진언다라니가 원권으로 ...

      <阿字圓相隨求陀羅尼>는 지금까지 학계에 논의되지 않은 수구다라니로 圓相 의 중앙에는 태장계 대일여래 종자인 ‘ (阿字)’가 인출되었으며 주위에는 25줄의진언다라니가 원권으로 둘러졌다. 수록된 순서는 수구다라니의 근본다라니를 포함한 7종의 게송이 연속해 나열된 후, 짧은 진언들이 이어진다.
      <아자원상수구다라니>는 <八葉三十七尊曼陀羅>와 함께 金胎藏의 양부만다라로 알려져 왔다. 그간의 연구는 일본 兩界曼茶羅에 주안점을 두고 <아자원상수구다라니>와 <팔엽삼십칠존만다라>를 해석해 왔다. 하지만 두 다라니만다라가 일본의 양계만다라에서 나타나지 않는 구조를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하였고, <아자원상수구다라니>를 해석하는데 기준점이 되었던 <팔엽삼십칠존만다라>를 함께 분석하였다.
      먼저 실제 유물에 기록된 명칭과 구조를 통해 <팔엽삼십칠존만다라>는 원형만다라 壇 위에 금강계 삼십칠존 제불보살들의 種字를 가시화한 것과 동시에 태장의 八葉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에 불리던 금강계만다라 명칭에 대한 재고의 여지를 남겼고, <팔엽삼십칠존만다라>는 『大毘盧遮那成 佛身變加持經』과『金剛頂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大敎王經』)의 두 사상을 복합적으로 수용했다고 판단했다. 즉, ‘만다라’라는 시각적 요소 안에 금강계와 태장의 ‘兩部’를 모두 표현하였음을 밝혀내었다.
      한편, <아자원상수구다라니>의 阿字가 중앙에 배치되는 형식은 특정 진언이나다라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범주로 써졌다. 또한 태장만다라의 중핵인 팔엽은 이미 <팔엽삼십칠존만다라>에서 ‘八葉’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만다라 도형을 여덟 개의 꽃잎과 꽃술로 묘사하고 있어 <아자원상수구다라니>의 阿字가 팔엽의 구조를 내포한 대일여래를 표상하기에는 어렵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과거 태장만다라로 불렸던 <아자원상수구다라니>의 범문을 해석하였고, 중앙부에 수록된 다라니가 ‘隨求陀羅尼’ 임을 알 수 있었다. <아자원상수구다라니>에는 수구다라니 외에도 고려시대에 유통되었던 간략한 진언들이 결합되었다. 수록된 진언들은 고려시대 다라니 모음집인 『梵書摠持集』을 비롯한 요대 서적 『釋教最上乘秘密藏陀羅尼集』, 『顯密圓 通成佛心要集』과의 연관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로 인해, 당시 고려와 요 불교계가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일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아자원상수구다라니>의 다라니 구성 순서가 의례집에 나타난 다라니와 진언을 염송하는 절차와 상응하기에 실제 의식과의 연관성도 짐작해 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이러한 구성은 조선전기에 간행된 『五大眞言』의 「隨求卽得陀羅 尼」와도 동일하여 후대까지 이 영향이 이어졌을 가능성을 추론해보았다.
      이상으로 <아자원상수구다라니>는 고려 후기 수구다라니의 한 유형으로 꾸준히 제작되어 불상에 납입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아자원상수구다라니>의 구조와 사례를 통해 그것이 지닌 기능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북도Ⅱ-1" 문화재청 2008

      2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 대구광역시|경상북도. Ⅰ-1, 2" 문화재청 2007

      3 남권희, "한국의 陀羅尼 간행과 유통에 대한 서지적 연구" 중앙승가대학교대학원 8 : 2015

      4 이성운, "한국불교 의례체계연구 : 시식, 공양, 송주의례를 중심으로" 운주사 2018

      5 "프랑스국립도서관"

      6 이승혜, "중국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시각문화: 당(唐)과 요(遼)의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57 : 283-316, 2018

      7 이선용, "일본 교토 세이간지(誓願寺) 소장 <金織千佛圖>의 진언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7 : 73-98, 2019

      8 이선용, "우리나라 불복장의 특징" 한국미술사학회 289 (289): 93-120, 2016

      9 최은령, "서산 일락사 미타전 불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7 : 17-37, 2019

      10 최명철(원명), "사십구재의 성립과 재차의 전승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소 15 : 169-205, 2020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북도Ⅱ-1" 문화재청 2008

      2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 대구광역시|경상북도. Ⅰ-1, 2" 문화재청 2007

      3 남권희, "한국의 陀羅尼 간행과 유통에 대한 서지적 연구" 중앙승가대학교대학원 8 : 2015

      4 이성운, "한국불교 의례체계연구 : 시식, 공양, 송주의례를 중심으로" 운주사 2018

      5 "프랑스국립도서관"

      6 이승혜, "중국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시각문화: 당(唐)과 요(遼)의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57 : 283-316, 2018

      7 이선용, "일본 교토 세이간지(誓願寺) 소장 <金織千佛圖>의 진언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7 : 73-98, 2019

      8 이선용, "우리나라 불복장의 특징" 한국미술사학회 289 (289): 93-120, 2016

      9 최은령, "서산 일락사 미타전 불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7 : 17-37, 2019

      10 최명철(원명), "사십구재의 성립과 재차의 전승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소 15 : 169-205, 2020

      11 종석, "밀교학개론" 운주사 2000

      12 김수연, "민영규본 『범서총지집(梵書摠持集)』의 구조와 특징" 한국사상사학회 (54) : 145-184, 2016

      13 허일범, "만다라의 이론과 실천" 회당학회 3 : 1994

      14 홍윤식, "만다라" 대원사 1992

      15 이승혜, "농소고분(農所古墳) 다라니관(陀羅尼棺)과 고려시대 파지옥(破地獄) 신앙"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341-381, 2019

      16 엄기표, "고분 출토 범자 진언다라니 현황과 의의, 淳昌 雲林里 農所古墳"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6

      17 이경주, "고려후기 전통양식 여래상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2016

      18 손희진, "고려시대 불복장 팔엽삼십칠존만다라(八葉三十七尊曼陀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21

      19 옥나영, "고려시대 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 신앙과 석당(石幢) 조성의 의미" 한국사상사학회 (60) : 97-125, 2018

      20 김수연, "고려시대 간행 『梵書摠持集』을 통해 본 고려 밀교의 특징" 한국중세사학회 (41) : 201-232, 2015

      21 김보민, "고려시대 隨求陀羅尼의 유형과 활용 양상" 한국미술사학회 309 (309): 5-39, 2021

      22 김보민, "고려시대 隨求陀羅尼 연구 -불복장 및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대학원 2018

      23 김수연, "고려-거란 밀교 교류의 양상과 특징― 『梵書摠持集』을 중심으로 ―" 이화사학연구소 (62) : 75-111, 2021

      24 위덕대학교 회당학술정보원, "韓國의 傳統 陀羅尼" 위덕대학교 2004

      25 이선용, "韓國 佛敎腹藏의 構成과 特性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2018

      26 박노준, "韓·中·日 五臺山信仰의 전개과정" 關東大學校 嶺東文化硏究所 6 : 1995

      27 주경미, "遼代朝陽北塔出土經幢硏究" 동악미술사학회 (10) : 181-207, 2009

      28 橋村愛子, "論集·東洋日本美術史と現場" 竹林舍 2012

      29 수덕사 근역성보관, "至心歸命禮 : 한국의 불복장 1"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4

      30 옥나영, "紫雲寺 木造阿彌陀佛坐像의 腹藏 「如意寶印大隨求陀羅尼梵字軍陀羅相」의 제작 배경" 이화사학연구소 (53) : 147-180, 2016

      31 白井比佐, "福山市·胎藏寺木造釋迦如來坐像胎內施入品中の佛敎版畫について" 廣島縣立歷史博物館 16 : 2014

      32 篠原芳秀, "福山市·胎藏寺木造釋迦如來坐像胎內施入品の金銀銅製五輪塔形舍利容器につい" 廣島縣立歷史博物館 (17) : 2015

      33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淳昌 雲林里 農所古墳"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6

      34 이승호, "曼茶羅 思想에서의 如來觀 硏究" 회당학회 4 : 1996

      35 "普遍光明大隨求陀羅尼經 卷1"

      36 옥나영, "新羅時代 密敎經典의 流通과 그 影響"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16

      37 "成佛隨求卽得神變陀羅尼 卷1"

      38 "廣大寶樓閣善住祕密陀羅尼經 卷3"

      39 和隆硏, "密敎美術大觀 卷1" 朝日新聞社 1983

      40 "佛說隨求卽得大自在陀羅尼神呪經 卷1"

      41 "佛說七俱貾佛母准提大明陁羅尼經 卷1"

      42 吉祥, "佛敎大辭典" 홍법원 2001

      43 백도수, "佛敎儀禮에 나타난 眞言의 언어구성요소 고찰" 한국불교학회 (87) : 269-294, 2018

      44 "三種悉地破地獄轉業障出三界祕密陀羅尼法 卷1"

      45 Dine, Susan Michelle, "Sanskrit Beyond Text: The Use of Bonji(Siddham) in Mandala and Other Imagery in Ancient and Medieval Japan" Washington University Press 2012

      46 온양민속박물관, "1302年 阿彌陀佛服藏物의 調査硏究" 온양민속박물관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