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광주읍치의 고고학적 고찰 = An Archaeological Review of Gwangju-Eupchi(廣州邑治) during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2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그 동안 이루어졌던 고고학적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고려시대 광주읍치에 대한 고고학적 공간양상을 검토하였다. 고려시대 광주읍치의 구체적인 위치는 각종 문헌과 고지도를 검토...

      본 글은 그 동안 이루어졌던 고고학적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고려시대 광주읍치에 대한 고고학적 공간양상을 검토하였다. 고려시대 광주읍치의 구체적인 위치는 각종 문헌과 고지도를 검토해 볼 때 대체적으로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 춘궁동 일대인 것으로 비정해 왔다. 이 지역에서는 하남 이성산성, 하남 동사지, 광주향교 유적 등 지정문화재와 교산동 건물지, 천왕사지 등의 주요한 유적들이 확인되었을 뿐 아니라, 주변지역에서 유사한 시기와 성격의 소규모 유적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타 지역과 비교되는 풍부한 고고학적 자료를 검토해 볼 때 교산동 일대, 광주향교 일대와 그 주변지역의 유적을 읍치와 관련한 관영, 사찰, 생활공간 등 고려시대 광주목과 관련된 중세의 도시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교산동 일대의 핵심유적과 주요시설은 수도와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체계 안에서 상호연결되었기 때문에, 읍치의 구성과 마을의 대체적인 범위는 핵심 유적의 분포 범위와 도로망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다.
      고고학적 자료로 보아 광주읍치는 교산동 건물지를 중심으로 한 교산동 일대가 관아나 객사 등 관영건물이 위치한 중심지역이고, 덕풍천 서안의 광주향교 일대와 춘궁동 일원은 생활유적, 창고시설, 우물, 배수시설, 소성유구 등으로 볼 때 생활, 생산, 보관과 관련된 활동을 관리, 감독하는 관영공간 혹은 마을의 생활공간일 가능성이 더 높다. 특히 덕풍천을 이용한 물자의 운반, 보관활동과 관련된 관청과 마을이 존재했을 가능성도 상존한다. 반면 객사와 관아 전면과 인근에는 교산동사지, 하사창동사지, 천왕사지로 연결되는 평지의 사찰공간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 conducted so far, this article examines the archaeological spatial aspects of Gwangju-Eupchi(廣州邑治)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pecific location of Gwangju-eupchi has been determined to b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 conducted so far, this article examines the archaeological spatial aspects of Gwangju-Eupchi(廣州邑治)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pecific location of Gwangju-eupchi has been determined to be in Gyosan-dong(校山洞) and Chungung-dong(春宮洞), Hanam-si, Gyeonggi-do, considering various documents and highland maps. Not only were major cultural assets such as Hanam Iseongsanseong Fortress(二聖山城), Hanam Dongsa Temple site(桐寺址), Gwangju Hyanggyo site(廣州鄕校), but also many small relics of similar period and character found in the surrounding area. Considering the rich archaeological data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relics of Gyosan-dong, Gwangju Hyanggyo site, and its surrounding areas were understood as medieval urban relics related to Gwangju-mok(廣州牧) during the Goryeo Dynasty.
      Since the core relics and major facilities in the Gyosan-dong area are interconnected within the main road system connecting the capital and the provinces, the composition of the township and the general range of the village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road network of the core relics.
      According to archaeological data, the Gyosan-dong area, centered on the Kyosandong building site, is the central area where the state-run buildings such as government offices and guest houses are located. Gwangju Hyanggyo site and Chungung-dong, west of Deokpungcheon Stream(德豊川), are more likely to be staterun or village living spaces that manage and supervise activities related to living, production, and storage. In particula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were government offices and villag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materials using Deokpungcheon Stream. On the other hand, it is most likely that it consists of a flat temple area connecting the front of the guesthouse and the government office to Gyosan-dong Temple Site(校山寺址), Hasachang-dong Temple Site(下司倉洞寺址), and Cheonwangsa Temple Site(天王寺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2 송기호, "한국 온돌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연구원 2019

      3 최태선, "하남역사총서 2" 하남역사박물관 2020

      4 김성태, "하남역사총서 1" 하남역사박물관 2019

      5 세종대학교박물관, "하남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하남시․세종대학교박물관 1999

      6 하남시사편찬위원회, "하남시사-역사의 도시 하남" 하남시사편찬위원회 2001-, 2001

      7 세종대학교박물관, "하남 춘궁동 서부농협창고 신축부지 내 시굴조사 약보고서" 하남시․세종 대학교박물관 2004

      8 중부고고학연구소, "하남 춘궁동 370번지 공장 및 창고신축부지 내 유적 시발굴조사 약식보고 서" 하남시․중부고고학연구소 2018

      9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하남 천왕사지 시굴조사 보고서" 하남시․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2

      10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하남 천왕사지 시굴조사 보고서" 하남시․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1

      1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2 송기호, "한국 온돌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연구원 2019

      3 최태선, "하남역사총서 2" 하남역사박물관 2020

      4 김성태, "하남역사총서 1" 하남역사박물관 2019

      5 세종대학교박물관, "하남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하남시․세종대학교박물관 1999

      6 하남시사편찬위원회, "하남시사-역사의 도시 하남" 하남시사편찬위원회 2001-, 2001

      7 세종대학교박물관, "하남 춘궁동 서부농협창고 신축부지 내 시굴조사 약보고서" 하남시․세종 대학교박물관 2004

      8 중부고고학연구소, "하남 춘궁동 370번지 공장 및 창고신축부지 내 유적 시발굴조사 약식보고 서" 하남시․중부고고학연구소 2018

      9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하남 천왕사지 시굴조사 보고서" 하남시․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2

      10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하남 천왕사지 시굴조사 보고서" 하남시․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1

      11 안신원, "하남 교산지구 역사문화자원의 창의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2020

      12 장경호, "하남 교산동 건물지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하남시 2004

      13 국강문화재연구원, "하남 교산 공공택지사업지구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하남도시공사․국강 문화재연구원 2020

      14 안신원, "하남 광주향교 경관광장 유적" 하남시․한양대학교박물관 2017

      15 중부고고학연구소, "하남 G.B 훼손지 복구공사부지 내 하남 하사창동 유적" 하남도시 공사․중부고고학연구소 2020

      16 신창희, "조선시대 옛길의 고증과 활용-남한산성 옛길을 중심으로-"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2016

      17 황보경, "나말여초 유적연구" 한국고대학회 21 : 2004

      18 배기동, "광주향교 수복사부지 발굴조사보고서" 하남시․한양대학교박물관 2006

      19 안신원, "광주향교 발굴조사보고서" 하남시․한양대학교박물관 2003

      20 정요근, "고려 시대 전통 대읍 읍치 공간의 실증적 검토와 산성읍치설 비판" 한국중세고고학회 (6) : 5-39, 2019

      21 김세민, "廣州邑治에 대한 硏究" 서울역사편찬원 (77) : 207-24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