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계 외자 기업의 공장철수에 대한 한일 노동자 풀뿌리 국제연대: 1989년 수출자유지역 노조의 일본 원정투쟁 사례 = International Solidarity of Korean and Japanese Grass-root Workers protesting against the Behavior of Japanese Enterprise withdrawing investment and closing Workplace : expedition struggle in Japan by labor unions of Korean FEZ in 198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70s, foreign enterprises began to invest at the free export zone established in Masan and Iri of Korea, so as to utilize cheap labor. Since the latter half of 1987, in the midst of democratization and upsurge of labor movement, foreign bus...

      Since the 1970s, foreign enterprises began to invest at the free export zone established in Masan and Iri of Korea, so as to utilize cheap labor. Since the latter half of 1987, in the midst of democratization and upsurge of labor movement, foreign business pulled out of FEZ in Korea. At the end of 1989, Asia Swany labor union in Iri FEZ and Hankook Sumida labor union in Masan FEZ made expedition struggle to company headquarters in Japan so as to protest against unfair behavior, closing workshop and dismissing all employees without notice and due procedure. At last, Japanese managers made apology and compensated unpaid wage and redundancy pay. Lacking support of peak labor organizations in Korea and Japan, the success of expedition struggle was achieved b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olidarity on grass-root level between concerned citizens and workers in both countries. During expedition struggle, Korean and Japanese workers have organized their own international network and public sphere, so to enhance the level of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sphere of civi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에 마산과 이리에 설치된 수출자유지역에 입주한 외국인 투자기업은 풍부한 저임 미숙련노동력을 활용하여 수익을 확보할 수 있었다. 1987년의 노동자 대투쟁 이후 저임 노동력을 활...

      1970년대에 마산과 이리에 설치된 수출자유지역에 입주한 외국인 투자기업은 풍부한 저임 미숙련노동력을 활용하여 수익을 확보할 수 있었다. 1987년의 노동자 대투쟁 이후 저임 노동력을 활용한 생산입지로서의 이점이 상실되자 외국인 투자기업이 철수하기 시작했다. 1989년 하반기에 발생한 일본계 기업의 일방적 폐업과 집단해고 사건에 항의하는 아세아스와니 노조와 한국수미다노조는 일본의 본사를 방문하여 항의하는 장기 원정투쟁을 전개하여 사과와 함께 보상을 받아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본고는 아세아스와니 노조와 한국수미다 노조의 일본 원정투쟁을 일본 노동자와 시민들이 지원하고 함께 연대 투쟁을 할 수 있었던 배경과 의미를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당시 한국노동자들의 원정투쟁은 공식 노조 네트워크 외부에서 형성된 제한된 범위의 풀뿌리 국제연대를 매개로 진행되었다. 원정투쟁을 거치며 한일 노동자들은 독자적인 노동자의 국제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공론장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시민사회 수준의 한일관계가 발전하는 기반이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구, "한일관계사 1965-2015 III 사회·문화" 역사공간 2015

      2 구도완, "한일관계사 1965-2015 III 사회·문화" 역사공간 2015

      3 "한국카톨릭노동청년회 50년의 기록 출판위원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 최장집,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1988

      5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 50년의 기록"

      6 정진상,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1987-2003" 한울 2006

      7 Koo, Hagen,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 비평사 2003

      8 김효순, "조국이 버린 사람들–재일동포 유학생 간첩 사건의 기록-" 서해문집 2015

      9 서소화, "제3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② 열풍" 도서출판 세계 1991

      10 조문익, "전북지역 노동운동사연구 3–전북지역 민주노조운동의 전환과 모색-" 한울 2009

      1 이종구, "한일관계사 1965-2015 III 사회·문화" 역사공간 2015

      2 구도완, "한일관계사 1965-2015 III 사회·문화" 역사공간 2015

      3 "한국카톨릭노동청년회 50년의 기록 출판위원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 최장집,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1988

      5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 50년의 기록"

      6 정진상,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1987-2003" 한울 2006

      7 Koo, Hagen,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 비평사 2003

      8 김효순, "조국이 버린 사람들–재일동포 유학생 간첩 사건의 기록-" 서해문집 2015

      9 서소화, "제3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② 열풍" 도서출판 세계 1991

      10 조문익, "전북지역 노동운동사연구 3–전북지역 민주노조운동의 전환과 모색-" 한울 2009

      11 김덕순, "전북지역 노동운동사연구 1–전북지역 노동운동의 역사 다시 쓰기-" 한울 2009

      12 조문익, "전북·오사카한일노동자 연대운동 15년사" 한일민주노동자연대 전북모임 2005

      13 한일민주노동자연대 전북모임, "전북·오사카 한일노동자 연대운동 15년사"

      14 김주완, "우리네 형 누나들 학습으로 깨어나다"

      15 조미진, "외자기업 자본이동에 대응하는 여성노동자운동 연구 : 마산수출자유지역 전기전자부문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16 한국수미다전기노동조합, "외자 횡포 분쇄를 위한 수미다투쟁 보고서" 한국수미다전기노동조합 1990

      17 Beck Urlich,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새로운 세계정치 경제" 도서출판 길 2002

      18 천주교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서울대교구 노동사목 50년사"

      19 황주석, "마을이 보인다, 사람이 보인다" 모심과 살림 연구소 2005

      20 강인순, "마산수출자유지역의 여성노동과 운동"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2 (2): 1996

      21 이창복, "마산수출자유지역의 실태" 창작과 비평사 9 (9): 1974

      22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 전국본부, "마산수출자유지역(MAFEZ)휴폐업실태보고-실직근로자 보호 및 체불인금 청산 대책 중심해"

      23 강인순, "마산수출자유지역 일본투자기업의 노사관계: 노동조합의 탄압과 대응투쟁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6 (6): 2000

      24 이상철,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초기 발전과정" 한국경제발전학회 14 (14): 51-90, 2008

      25 김경남, "당신들이 계셔서 행복했습니다: 보은기(報恩記)" 동연 2015

      26 황진태, "노동자 국제주의는 만병통치약인가? 로컬 공동체 노조운동의 가능성과 도전― GM대우 비정규직 노조 투쟁을 사례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 : 131-172, 2011

      27 김하경 마창노련사 발간위원회, "내 사랑 마창노련 상" 도서출판 갈무리 1999

      28 이시자카 고이치(石坂浩一), "김대중과 한일관계–민주주의와 평화의 한일현대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2

      29 쇼지 쓰토무(東海林勤)., "김대중과 한일관계–민주주의와 평화의 한일현대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2

      30 곽동의, "김대중과 한일관계 -민주주의와 평화의 한일현대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2

      31 장숙경, "그리고 70년대 노동운동" 선인 2013

      32 박배균, "규모의 생산과 정치, 그리고 지구화" 한국공간환경학회 (16) : 200-224, 2001

      33 이상익, "개척자 황주석 , 황주석, 마을이 보인다, 사람이 보인다" 모심과 살림 연구소 2005

      34 박민나, "가시철망 위의 넝쿨장미" 지식의 날개 2004

      35 斎藤諭, "韓国への進出と撤退が示すアジア規模の連帯の必要性, アジ アの労働運動" 労働情報編集委員會 1988

      36 李昌馥, "韓国の労働運動" 社会評論社 1979

      37 宮嶋信夫, "輸出される日本の労務管理" 労働情報編集委員會 317·318 : 1990

      38 小倉充夫, "講座社 会学 16 国際社会" 東京大学出版会 2002

      39 山原克二, "特恵関税期限終り、撤退、全員解雇を繰り返す。韓国" 労働情報編集委員會 317·318 : 1990

      40 相川俊英, "海を越える労使紛争-問われる日本企業の海外進出-" 日本評論社 1992

      41 佐久間真一, "海を越える労使紛争-問われる日本企業の海外進出-" 日本評論社 1992

      42 佐久間真一, "海を越える労使紛争-問われる日本企業の海外進出-" 日本評論社 1992

      43 労働情報編集委員會, "早わかり、来日三労組の足跡" 労働情報編集委員會 317·318 : 1990

      44 梶田孝道, "国際社会学-国境を越える現象をどう とらえるか-" 名古屋大学出版会 1991

      45 高波淳, "写真日記 アガシたちの日本-韓国スミダ女子労働者の238日-" 記録社 1991

      46 進出企業問題を考える会, "写真報告/韓国スミだ闘争一〇六日"

      47 韓国スミダ労組に連帯する会, "今, 馬山は訴える-韓国スミダの集団解 雇撤回100日の記録-第2集"

      48 進出企業問題を考える会(PAN)日韓労働者連帯ネットワーク, "今, 馬 山は訴える-韓国進出日系企業調査報告· 資料"

      49 大川一夫, "亜細亜スワニー労組弁護団報告, 朝鮮の自主的平和統一を 支持し、韓国の民主化闘争に連帯する大阪府民共闘会議, たたかいは これから-亜細亜スワニー渡日90日を終えて-"

      50 韓国スミダ労組に連帯する会, "ともに行こう、この道を-海を越えた争 議200日"

      51 朝鮮の自主的平和統一を支持し, "たたかいはこれから-亜細亜スワニー渡日90日を終えて-"

      52 Cox, K. R, "Spaces of Dependence, Spaces of Engagement and the Politics of Scale, Or : Looking for Local Politics" 17 (17): 1-23, 1998

      53 Park, Bae Gyoon, "Multi-Scalar Practices of Labor and Economic Geographies of TNCs: A Study on Labor Geographies of the Nestle Korea" 2011

      54 Castree, Noel, "Geographic Scale and Grass-Roots Internationalism : The Liverpool Dock Dispute, 1995-1998" 76 (76): 272-292, 2000

      55 Dahrendorf, Ralf, "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i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9

      56 남춘호, "87노동체제하 전북지역의 민주노동운동 - 전북노련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16 (16): 3-39, 2008

      57 양규헌, "1987 노동자 대투쟁–노동자 인간선언-" 한내 2017

      58 이성호, "1980년대 전북지역 노동운동의 성장과 분화:지역민주노조운동과 한국노총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사회학회 15 (15): 3-27, 2007

      59 강인순, "1980년 이후 마산지역 여성노동자운동"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3 (3): 1997

      60 이성호, "1970-80년대 전북지역 여성노동자의 도시 경험과 근대 의식의 형성" 한국지역사회학회 17 (17): 3-2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1 1.25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