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규중칠우쟁론기>의 선본(善本) 문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Problem of Good Version of <GyujungchilUjangronj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8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ersions of <GyujungchilUjangronji>, select the authentic texts with all the content paragraphs, and derive the most consistent texts in terms of content and expression. As two version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ersions of <GyujungchilUjangronji>, select the authentic texts with all the content paragraphs, and derive the most consistent texts in terms of content and expression. As two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were discovered, disagreements over the original manuscript were suggeste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about whether or not it was a manuscript by thoroughly examining all the excavated manuscrip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select the original text with all content paragraphs by examining all five versions.
      There are five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that have been revealed so far. Among them, with the exception of the Nason Kim Dong-wook, which shows a distinctly different aspect in terms of content, all other texts have been claimed to be original manuscripts.
      In this study, the stage of derivation of the original text is divided into two stages, and the original texts are selected as texts that contain all the content elements close to the original in the bibliographical aspect and the content aspect, and then the selected authentic texts are targeted. We tried to derive the original text with the most coherence between the content and the expression by conducting a double comparison again and revealing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As a result, ‘MangroKaksugi script’, ‘Yonsei University Script’, and ‘Yeongnam Script’ were selected as authentic texts, and among them, ‘MangroKaksugi script’,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Gyujanggak, which has the most consistency in content and expression, was derived as the original 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을 비교·분석하여 내용 단락을 모두 갖춘 정본(正本) 텍스트를 선별하고, 그 중 가장 내용과 표현이 정합성을 갖춘 선본(善本) 텍스트를 도출하는 것�...

      이 연구는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을 비교·분석하여 내용 단락을 모두 갖춘 정본(正本) 텍스트를 선별하고, 그 중 가장 내용과 표현이 정합성을 갖춘 선본(善本) 텍스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들이 발굴되면서 어느 것이 선본인가에 대한 이견이 제시되었으나 발굴된 이본들을 모두 면밀하게 검토하여 선본 여부를 판별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이본을 모두 검토하여 교육제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성을 가진 선본 텍스트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은 ’망루각수기본‘, ’나손 김동욱본’, ‘고려대 도서관 소장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으로 모두 다섯 가지이다. 이 중 내용적 측면에서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나손 김동욱본을 제외하고 나머지 텍스트들이 모두 선본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본 텍스트 도출의 단계를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하여 서지학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원본에 가까운 텍스트로서 정본(定本) 텍스트들을 선별한 후, 이렇게 선별한 정본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다시 이본 비교를 실시하여 텍스트의 미묘한 표현적 차이를 밝혀내고, 내용과 표현의 정합성을 총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선본 텍스트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망루각수기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을 정본 텍스트로 선별하였으며, 그 중 갈등 형상화와 주제 구현을 위한 표현에 있어 가장 정합성을 가지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망로각수기본’이 선본 텍스트임을 밝혀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은정, "「閨中七友爭論記」와 「四誠錄」硏究-‘自照性’ 고찰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6 : 153-167, 1985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2004

      3 박은진, "텍스트언어학 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적용 가능성 - 구비설화 텍스트에의 적용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50) : 83-123, 2015

      4 김용숙, "사셩녹(四誠錄)" 淑明女子大學校 文理科大學 國語國文學會 8 : 33-42, 1968

      5 "망로각수기"

      6 김동욱, "나손본 필사본 고소설자료총서 2" 보경문화사, 규장각 1991

      7 "규중칠우정노리"

      8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규중칠우쟁론기, 백화당가, 거창구호라" 경인문화사 2014

      9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규중칠우쟁론기, 백화당가, 거창구호라" 경인문화사 2014

      10 정진권, "규중칠우쟁론기 고찰 : 현대수필문학의 창조적 지평의 확장을 위하여" 한국어교육학회 48 : 59-76, 1984

      1 이은정, "「閨中七友爭論記」와 「四誠錄」硏究-‘自照性’ 고찰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6 : 153-167, 1985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2004

      3 박은진, "텍스트언어학 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적용 가능성 - 구비설화 텍스트에의 적용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50) : 83-123, 2015

      4 김용숙, "사셩녹(四誠錄)" 淑明女子大學校 文理科大學 國語國文學會 8 : 33-42, 1968

      5 "망로각수기"

      6 김동욱, "나손본 필사본 고소설자료총서 2" 보경문화사, 규장각 1991

      7 "규중칠우정노리"

      8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규중칠우쟁론기, 백화당가, 거창구호라" 경인문화사 2014

      9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규중칠우쟁론기, 백화당가, 거창구호라" 경인문화사 2014

      10 정진권, "규중칠우쟁론기 고찰 : 현대수필문학의 창조적 지평의 확장을 위하여" 한국어교육학회 48 : 59-76, 1984

      11 김진숙, "규중칠우쟁론考" 이화여자대학교 15 : 190-207, 1975

      12 권영민, "국어" 지학사 2009

      13 신유미, "고전수필 교재화 방안 연구 : <규중칠우쟁론기>, <조침문>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악부 하"

      15 이병기, "要路院夜話記" 乙酉文化社 1949

      16 김윤식, "『문학』 교과서" 천재출판사 2012

      17 박은진, "<동명일기(東溟日記)>의 텍스트 전략" 교육종합연구원 28 (28): 153-200, 2019

      18 박은정, "<규중칠우쟁론기> 이본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54) : 137-180, 2013

      19 김혜정, "<규중칠우쟁론기> 異本 및 주제의식 再考" 우리문학회 (32) : 75-108, 2011

      20 박은진, "<閨中七友爭論記>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85) : 287-321,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