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이지의 상상,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 [science]가 [과학(科學)]으로 번역되기까지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2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은 근대 이전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과거제도를 위한 공부, 과거 공부를 위한 학교] 라는 의미로 사용하던 단어였다. 근대적 의미의 [과학]은 [science]의 번역어로 채용되면서, [진리 탐...

      [과학]은 근대 이전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과거제도를 위한 공부, 과거 공부를 위한 학교] 라는 의미로 사용하던 단어였다. 근대적 의미의 [과학]은 [science]의 번역어로 채용되면서, [진리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의 기본적 프레임(틀)]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실증적이고 논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근대기의 학문 탐구는 무엇을 탐구했는가에 따라 학문을 분류할 필 요가 있었는데, 학문 분류의 틀이 정립되지 않았던 봉건적 동양 사회에서는 이 분류의 틀이 필요했던 것이다. 1872년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학문의 권유]에서 [一科一學] [文學科學]이라는 용어 를 통해 [하나의 전문화된 학문]을 표현하려 한 이후, 1874년 니시 아마네(西周)가 [至說4]에 서 [소위과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1870년대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서 [과학] 이라는 단어는 [science]의 번역어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 일반 대중에까 지 [과학]이 정착되는 것은 이보다 10여년 후인 1880년 이후로 추정된다. 개화기 조선에서 번역어 [과학]이 나타나는 것은 1895년 『서유견문』에서이며, 1910년대에 는 신문, 교과서, 사전에 수록될 정도로 정착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western concept and word [science] into a Japanese word [科學], which implies the basic concept of modern western ideology. [科學] the translation word of [science] is a new invention creat...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western concept and word [science] into a Japanese word [科學], which implies the basic concept of modern western ideology. [科學] the translation word of [science] is a new invention created in the Meiji period of Japan. In premodern societies of Korea and China, [科學] meant “studying for or a prepschool for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872, Fukuzawa tried to express [science](specialized learning) through the term [一科一學] and [文學科學] in [Gakumonnno susume] (學問のすす め). In 1874, when Nishiamane used the term [所謂科學], we can see that the word [科學] as a translation of [science] is well established among scholars. It is 10 years later after 1880 when the word [科學] meaning [science] is accepted among the general public in the Meiji period of Japan.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the translation word [科學] with the modern meaning in the Chosun Dynasty took place in the mid1890s. But it is believed that the word became widely used after the 1910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들어가는 말
      • 2. 번역어 [科學]의 성립
      • 2.1. 중국 고전의 [과학]
      • 2.2. 근대 일본의 [과학]
      • Abstract
      • 1. 들어가는 말
      • 2. 번역어 [科學]의 성립
      • 2.1. 중국 고전의 [과학]
      • 2.2. 근대 일본의 [과학]
      • 2.3. 개화기 조선의 [과학]
      • 3. 마치는 말
      • <참고문헌>
      • <국문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왕조실록"

      2 김성근, "일본의 메이지 사상계와 ‘科學’이라는 용어의 성립과정" 한국과학사학회 25 (25): 131-146, 2003

      3 리디아리우, "언어횡단적 실천" 소명출판 2005

      4 "신문자료 :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신문연대기(1880-1995)"

      5 김성근, "문학과 과학 1" 소명출판 2013

      6 최경옥, "메이지의 상상,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 [economy]가 [경제(經濟)]로 번역되기까지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5 : 267-290, 2019

      7 최경옥, "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liberty]가 [자유(自由)]로 번역되기까지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2 : 353-372, 2018

      8 페데리코 마시니, "근대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 2005

      9 진관타오, "관념사란 무엇인가 2" 푸른역사 2010

      10 최경옥, "韓国の近代期における明治期の翻訳漢語の受容ー雪中梅を中心にー" 学苑出版社 18 : 2008

      1 "조선왕조실록"

      2 김성근, "일본의 메이지 사상계와 ‘科學’이라는 용어의 성립과정" 한국과학사학회 25 (25): 131-146, 2003

      3 리디아리우, "언어횡단적 실천" 소명출판 2005

      4 "신문자료 :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신문연대기(1880-1995)"

      5 김성근, "문학과 과학 1" 소명출판 2013

      6 최경옥, "메이지의 상상,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 [economy]가 [경제(經濟)]로 번역되기까지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5 : 267-290, 2019

      7 최경옥, "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liberty]가 [자유(自由)]로 번역되기까지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2 : 353-372, 2018

      8 페데리코 마시니, "근대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 2005

      9 진관타오, "관념사란 무엇인가 2" 푸른역사 2010

      10 최경옥, "韓国の近代期における明治期の翻訳漢語の受容ー雪中梅を中心にー" 学苑出版社 18 : 2008

      11 佐藤亨, "近代語の成立" 櫻楓社 1992

      12 高野繁男, "講座日本語の語彙 9" 明治書院 1983

      13 馬西尼, "現代漢語詞彙的形成-19世紀漢語外来詞研究-" 漢語大詞典出版社 1997

      14 劉正埮, "漢語外来詞詞典" 上海辞書出版社 1984

      15 高野繁男, "明六雜誌語彙總索引" 大空社 1998

      16 惣鄕正明, "明治のことば辞典" 東京堂出版 1986

      17 斎藤毅, "明治のことば" 講談社 1977

      18 鈴木修次, "日本漢語と中国" 中央公論社 1981

      19 日本大辭典刊行會, "日本國語大辭典" 小學館 1979

      20 任展慧, "日本における朝鮮人の文学と歴史" 日本法政大学出版部 1994

      21 佐藤亨, "幕末 明治初期語彙の研究" 櫻楓社 1986

      22 大駒誠日, "学問のすすめ・文明論之槪略・福翁自傳總文節索引"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