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전·중기 한문산문의 창작 실제와 이제현의 고문창도 = The Reality of Creative Writing in Early to Mid-Goryeo Period and Lee Je-hyun’s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문산문사에서 고려 중기는 형식적으로 騈體에서 散體로 완전하게 전환되고, 공용적 실용문을 탈피하여 개인성이 발현되는 산문이 창작되어 문학적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하지만 이...

      한문산문사에서 고려 중기는 형식적으로 騈體에서 散體로 완전하게 전환되고, 공용적 실용문을 탈피하여 개인성이 발현되는 산문이 창작되어 문학적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하지만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는 학계의 통설 때문에 고려 중기는 고문에 성취를 보지 못한 ‘적막한 시기’로 규정되고 있다. 본고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고려 중기의 한문산문 창작 현장에서 당송고문이 실현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먼저 고려 후기의 문학적 전환 또는 특징을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역사적 개념을 과도하게 적용한 ‘고문’이 아니라 사상과 문학 등에 합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키워드인 ‘성리학’이 적합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유의 고문운동과 이제현의 고문창도를 무리하게 연결하면 500년이라는 간극이 발생하며, 중국 산문사의 흐름과 잣대를 그대로 한국 산문사에 적용할 경우 수용 주체의 자발성이나 창의적 능력을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도 논했다.
      다음으로 고려 전·중기는 당송고문이 유입되어 창작 현장에서 실제로 구현되었음을 밝혔다. 고려 전·중기 문인들은 당송팔대가의 존재를 분명하게 인식하였고, 당송고문의 형식적 특징인 騈體에서 散體로의 전환을 이루었으며, 당송고문을 대표하는 양식인 송서, 설, 논, 산수유기, 가전 등을 창작하였다. 또한 당송고문이 수용된 증거로 한유, 유종원, 소철, 왕안석의 표현기법이 박문, 임춘, 이규보의 편지, 묘지명, 산수유기에 실현되어 있었다.
      고려 시대 한문산문사는 고려 전기에 당송고문이 수용되고, 고려 중기에 당송고문이 정착·확립되고, 고려 후기에 성리학적 이념이 투사된 산문이 창작되어 500년 간 이어질 성리학적 글쓰기의 시대를 열었다고 거칠게나마 정리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런데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하게 되면 그 흐름이 이상해진다. ‘이제현의 고문창도’설을 폐기해야만 고려 시대 한문산문사가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제현의 고문창도는 성리학자들 ‘그들만의 리그’에서만 유효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ime of sino-Korean literature in mid-Goryeo period is when ‘byunchae(騈體)’ was completely transitioned to ‘sanchae(散體)’ in style. It is when literature transitioned from being practical statements for public use and started to be c...

      The time of sino-Korean literature in mid-Goryeo period is when ‘byunchae(騈體)’ was completely transitioned to ‘sanchae(散體)’ in style. It is when literature transitioned from being practical statements for public use and started to be created as proses that refle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wever, due to the common academic view that sees Lee Je-hyun advocating for classical style prose, the mid-Goryeo period is defined as the “dreary period’ when the classical style prose did not flourish. This study reviews the issues that arise if Lee Je-hyun had advocated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nd studied the cases where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was practiced in sino-Korean literature.
      First, this study asserts that the keyword ‘Neo-Confucianism(性理學)’ is more appropriate for defining the transition of literature in the later Goryeo period or its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reasonably applied in philosophy, literature, and etc., not ‘prose’, which is overly applied with the historical concept. Grouping Han-yu’s Classic Chinese Prose Movement(古文運動) and Lee Je-hyun’s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creates the gap of five hundred years. Also, this study discusses that applying the flow and standards of Chinese prose to the history of Korean prose will result in ignoring the spontaneity or creative ability of the recipient.
      Second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was actually seen in the creative writing in the early to mid-Goryeo period. The writers in the early to mid-Goryeo period clearl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Eight masters in Tang and Song(唐宋八大家). The proses at the time transitioned from byunchae(騈體) to sanchae(散體),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and the writers wrote in styles that represent the literary style of Tong and Song , such as songso(送序), seol(說), non(論), sansuyugi(山水遊記), and gajeon(假傳). Also, the writing techniques of Han-yu(韓愈), Liu Zongyuan(柳宗元), Su Zhe(蘇轍), and Wang Anshi(王安石) were found in letters, memorial inscriptions(墓誌銘), and sansuyugi(山水遊記) of Park Moon(朴文), Lim Chun(林椿), and Lee Kyu-bo(李奎報)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history of Chinese prose in Goryeo Dynasty accepted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 literary style was settled and established in mid-Goryeo period, then in later Goryeo period, the proses with the Neo-Confucius philosophy were written, opening the door of the Neo-Confucius writing era, which continued on for about five hundred years. However, if it is viewed that Lee Je-hyun had advocated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it disrupts such flow. In order to find the right place of the history of Chines prose in Goryeo Dynasty, the theory of ‘Lee Je-hyun’s advocacy for writing classical prose’ must be discarded. In other words, Lee Je-hyun’s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prose is only valid among the ‘league of Neo-Confucian schola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화, "李齊賢 산문의 수사 기법 연구" 동양한문학회 29 (29): 117-142, 2009

      2 柳宗元, "柳宗元集" 中華書局 2006

      3 이종문, "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태학사 11-33, 2003

      4 임형택, "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태학사 2003

      5 김승룡, "한국학의 학술사적 전망 1" 소명출판 242-243, 2014

      6 李東歡, "한국사 17" 국사편찬위원회 188-197, 1994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9-12, 1994

      8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2003

      9 "한국고전DB"

      10 김도련, "한국 고문의 원류와 성격" 태학사 81-83, 1988

      1 서정화, "李齊賢 산문의 수사 기법 연구" 동양한문학회 29 (29): 117-142, 2009

      2 柳宗元, "柳宗元集" 中華書局 2006

      3 이종문, "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태학사 11-33, 2003

      4 임형택, "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태학사 2003

      5 김승룡, "한국학의 학술사적 전망 1" 소명출판 242-243, 2014

      6 李東歡, "한국사 17" 국사편찬위원회 188-197, 1994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9-12, 1994

      8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2003

      9 "한국고전DB"

      10 김도련, "한국 고문의 원류와 성격" 태학사 81-83, 1988

      11 서정화, "이규보 산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2 안병학, "성리학적 사유와 시론의 전개 양상" 32 : 161-186, 1999

      13 정우봉, "산문 이론의 기본 범주와 전개 양상" 32 : 221-248, 1999

      14 윤재민, "고전문학여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 下" 도서출판 월인 329-331, 2003

      15 李貞任, "고려시대 비지문학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16 김승룡,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지식을만드는지식 395-, 2013

      17 김혈조, "고려 중엽 한문 산문의 문체" 우리한문학회 18 (18): 85-120, 2008

      18 이동환, "고려 중기 義理儒學의 실상―기존 학설에 대한 비판과 왕안석의 新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93) : 41-120, 2021

      19 徐正和, "고려 무신집권기 산문의 일고찰-林椿의 散文 세계와 문학사적 위상을 중심으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4 : 37-61, 2008

      20 김창룡, "가전문학의 이론" 박이정 2001

      21 許興植, "高麗科擧制度史硏究" 一潮閣 1996

      22 林熒澤, "高麗末 益齋의 古文倡導" 진단학회 51 : 1981

      23 남현희, "高麗後期 山水遊記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9

      24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출판부 2006

      25 李鍾文, "高麗前期 漢文學 연구 : 文藝意識과 詩世界를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26 김시업, "韓國文學硏究入門" 지식산업사 210-220, 1994

      27 李崇仁, "陶隱集"

      28 林椿, "西河集"

      29 崔滋, "補閑集" 원광대 출판국 1995

      30 蘇轍, "蘇轍集" 中華書局 2004

      31 蘇軾, "蘇軾文集" 中華書局 2004

      32 李穀, "稼亭集"

      33 李齊賢, "益齋亂藁"

      34 정선모, "白居易詩文集東傳考 - ‘鷄林賈人求詩説’의 眞僞문제를 중심으로 -" 동방한문학회 (35) : 279-343, 2008

      35 李穡, "牧隱集"

      36 陳澕, "梅湖遺稿"

      37 徐居正, "東文選"

      38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39 韓愈, "新譯昌黎先生文集" 三民書局 1999

      40 김흥규, "文學과 歷史的 人間" 창작과 비평사 172-173, 1994

      41 金九容, "惕若齋學吟集"

      42 王安石, "唐宋八大家文鈔校注集評" 三秦出版社 1998

      43 정선모, "唐·宋古文의 初期受容樣相考 -對北宋 外交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8) : 11-49, 2011

      44 鄭道傳, "三峰集"

      45 金聲振, "『東文選』所載 高麗前期 散文의 記述方式" 계명대 한국학연구소 25 : 1-17, 1998

      46 金血祚, "『(碧史李佑成敎授定年退職紀念論叢)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 上" 창작과비평사 314-351, 1990

      47 서정화,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2) : 199-230,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1-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7-10-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KCI등재
      2017-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3 2.12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