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인 디아스포라 역사를 통해 본 결혼관의 인식 변화 =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arriage View Through the History of the Korean Diaspo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5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앙아시아 지역 고려인들은 160년이 넘는 시간을 관통하면서도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은 재외동포이다. 이들은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디아스포라화 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한...

      중앙아시아 지역 고려인들은 160년이 넘는 시간을 관통하면서도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은 재외동포이다. 이들은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디아스포라화 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한 이주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면서 아직까지도 중앙아시아, 연해주, 한국 등 각 지역에 분산된 채 디아스포라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고려인의 삶과 역사에 대한 이해와 이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나아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소련의 강압적 통치와 다민족 국가 사이에서도 오롯이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으며, 또한 세계화 시대를 맞아 재외동포의 국가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무엇보다 이들을 한민족 테두리 안에 포용하는 일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150년이 넘는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그들이 민족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원인을 가족과 결혼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강제이주와 정착, 그리고 현지 적응 과정에서 가족의 해체와 재결합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세대별 결혼관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야말로 고려인들의 민족 정체성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혼은 민족 유전자의 전승에 가장 중요한 매개가 되는 것으로 어떤 민족이든 결혼을 통해 개인의 생물학적 유전자와 가족의 혈통을 이어가는 동시에 한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 우리 민족의 공간에서 떨어져 살았던 고려인들의 삶을 세대별 결혼의 가치관을 통해 살펴보는 것은 민족 정체성의 단면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홍명, "현대 소련의 해부" 한길사 1981

      2 이진영, "해외동포의 인권" 2015

      3 김 게르만, "한인 이주의 역사" 박영사 2004

      4 정용화, "한국인의 근대적 자아 형성과 오리엔탈리즘" 한국정치사상학회 10 (10): 33-54, 2004

      5 오쌈손, "한 집에 두 어머니가"

      6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고려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2003

      7 이진형, "집으로 가는 길: 디아스포라의 집에 대한 상상력" 앨피 2018

      8 김문욱,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 좋은땅 2014

      9 박명규, "중앙아시아 한인의 집합적 정체성과 그 변화" 한국사회사학회 48 : 1996

      10 최한우, "중앙아시아 한인의 의식과 생활" 문학과지성사 1997

      1 김홍명, "현대 소련의 해부" 한길사 1981

      2 이진영, "해외동포의 인권" 2015

      3 김 게르만, "한인 이주의 역사" 박영사 2004

      4 정용화, "한국인의 근대적 자아 형성과 오리엔탈리즘" 한국정치사상학회 10 (10): 33-54, 2004

      5 오쌈손, "한 집에 두 어머니가"

      6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고려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2003

      7 이진형, "집으로 가는 길: 디아스포라의 집에 대한 상상력" 앨피 2018

      8 김문욱, "중앙아시아의 한국문화" 좋은땅 2014

      9 박명규, "중앙아시아 한인의 집합적 정체성과 그 변화" 한국사회사학회 48 : 1996

      10 최한우, "중앙아시아 한인의 의식과 생활" 문학과지성사 1997

      11 한국사회사학회, "중앙아시아 한인의 의식과 생활" 문학과지성사 1997

      12 박명규, "중앙아시아 한인의 의식과 생활" 문학과지성사 1996

      13 방일권, "중앙아시아 한인 사회와 교육: 1930-40년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26) : 83-112, 2007

      14 이광규, "중앙아시아 재소한인 가족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3 : 1991

      15 이광규,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문화의 융합문제" 중앙대학교 민족발전 연구원 1998

      16 문중호,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정체성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7 한발레리,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적응 및 사회적 지위, 그리고 성공"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5 (5): 153-171, 2011

      18 백태현,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고본질"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6 (6): 2000

      19 윤인진, "중앙아시아 韓人의 言語와 民族正體性" 재외한인학회 7 : 1997

      20 이정옥, "중아아시아 한인 가족 구조의 변화" 한국사회사학회 48 : 1996

      21 김 빠웰, "쟈밀라, 너는 나의 생명이다"

      22 김외곤,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2004

      23 김호준, "유라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 주류성 2013

      24 이재영 외, "우즈베키스탄 지배집단과 권력 엘리트 연구" 10-19 : 2003

      25 이은정,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귀환이주-대구지역 고려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18 (18): 219-249, 2015

      26 김문욱,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중앙연구원 22 (22): 1999

      27 고가영, "우랄지역 원로 고려인들의 생애사 연구" 역사문화연구소 (30) : 51-86, 2008

      28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1991

      29 윤행숙, "소련 사회주의체제 해체 후 카자흐스탄 종족민족주의의 부활과 고려인의 정체성" 한국비교문학회 6 (6): 2000

      30 권희영, "세계의 한민족: 독립국가연합" 통일원 1996

      31 이광수, "민족개조론" 우신사 1981

      32 황영삼, "모스크바 고려인 3-4세대의 의식과 생활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13 : 2004

      33 부 표뜨르, "레닌기치, 1963.02.10"

      34 홍웅호, "레닌기치 에 나타난 1938년 카자흐스탄 고려인 사회" 아시아문화연구소 32 : 347-378, 2013

      35 임채완,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민족정체성 조사연구" 2002

      36 장윤수, "노마디즘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북코리아 2011

      37 김 게르만, "나는 고려사람이다" 국학자료원 2013

      38 정동주, "까레이스끼 : 또 하나의 민족사" 우리문화사 1995

      39 신현준, "귀환 혹은 순환" 그린비 2013

      40 설동훈, "국제결혼이민과 국민·민족 정체성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의 자아 정체성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03) : 278-312, 2014

      41 정진아, "국내 거주 고려인, 사할린 한인의 생활문화와 한국인과의 문화갈등" 인문학연구원 58 : 35-65, 2014

      42 이희수, "구소련의 고려인사회" 한양대학교 민족학연구소 4 : 1996

      43 김필동, "구소련 해체 후 중앙아시아 농촌 사회의 변화와 농민 생활" 한국사사학회 48 : 1996

      44 홍숙영, "고려인의 귀환과 이주의 내러티브 탐색" 아시아여성연구원 10 (10): 119-143, 2017

      45 편집자, "고려인 사회의 논쟁사" 2012

      46 박은식, "韓國獨立運動之血史" 일우문고 1973

      47 김 피오트르, "在蘇韓人移民史: 스탈린의 강제이주" 탐구당 1993

      48 신명직, "‘다(多)공화국 인민’에서 ‘다(多)국가 시민’으로- 소비에트 공화국 연방의 해체와 고려인 -" 석당학술원 (59) : 65-109, 2014

      49 Warner, Warner Lloyd, "The Social Systems of American Ethnic Groups" Yale University Press 1945

      50 William Safran, "Diasporas in Morden Societies :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1 (1): 1991

      51 김현주, "CIS지역 고려인 문학을 통해 본 오리엔탈리즘"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1 : 46-71, 2014

      52 염 나탈리아, "1970~80년대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타민족과의 결혼현상을 통한 다민족 관계 발전 연구" 러시아연구소 30 (30): 89-11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