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騎龍菩薩圖) in Gorye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bout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騎龍菩薩圖) style. Because the Bodhisatva Faith believed that if you meditate with one mind, you can obtain spiritual powers that will allow you to escape from the sufferings ...

      This article is about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騎龍菩薩圖) style. Because the Bodhisatva Faith believed that if you meditate with one mind, you can obtain spiritual powers that will allow you to escape from the sufferings of this world, it became the most important and beloved belief in Buddhism since it spread from India to Asia. In addition, as the Bodhisattva Faith and Bodhisattva image have been mixed and melted into the local climate and culture for a long time, it created distinctive religious and cultural forms and works of art suitable for each country and era.
      In particular, most of the paintings depicting Bodhisattva images were drawn together with attendant Bodhisattva images such as Amitabha Buddha statue ‐ Sakyamuni Buddha statue ‐ Bhaisaiyaguru Buddha statue during the Goryeo era in Korea, or in the case of One Alone Painting, it was drawn as Water‐Moon Avalokitsvara Painting and Ksitigarbha Bodhisattva Painting, etc. Meanwhile, during the Joseon era, as Buddhist painting subjects became more diverse, Bodhisatva Painting appeared in relatively many forms with various images.
      However,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in the form of the Bodhisattva image riding on a dragon cannot be found in the existing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era, and for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era, only a few of the Dragon‐head Avalokitsvara Paintings (龍頭觀音圖) created around the 19th century remai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value of this Buddhist painting by examining the images, style characteristics, and creation year of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that had not been seen before.
      As a result, although the background and some images were considerably damaged, it was disappointing that there were not many recognizable parts, but most of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Bodhisatva image could be grasped.
      However, the fly whisk of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holding the Bodhisattva image and the phoenix adorned in the center of the crown are very original, and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age names of the Bodhisatva‐riding‐a‐dragon painting in more detail. And considering only the style part, it ha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ability of Buddhist painting around the 14th century, but there are no existing examples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te Goryeo era or the early Joseon era in Korea. Therefo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images from various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e nationality issue of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will also require further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This study failed to reach a sufficient conclusion, but still, considering this special and rare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was able to grasp the originality of the formatively outstanding images and the style in which a refined and noble dignity was felt. And it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estimated the year of Buddhist painting around the 14th century based on the style of the im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 양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보살신앙은 일심으로 염불하면 현세의 고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영험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인도에서 아시아로 전파...

      이 글은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 양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보살신앙은 일심으로 염불하면 현세의 고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영험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인도에서 아시아로 전파된 이래 불교에서 가장 중요하고 사랑받는 신앙이 되었다. 또한 보살신앙과 보살도상 등은 오랜 세월 동안 현지의 풍토와 문화에 섞이고 녹아들어 각 나라와 시대에 알맞게 특색 있는 종교 문화 형태와 예술 작품을 만들어냈다.
      특히 보살상을 그린 그림은 우리나라 고려시대에 대부분 아미타불상·석가모니불상·약사불상 등의 협시보살상으로 함께 그려지거나 독존도로 표현할 경우 수월관음도, 지장보살도 등으로 그려졌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불화 주제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보살도는 여러 가지 도상으로 비교적 많은 형식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보살상이 용을 타고 있는 형식의 기룡보살도는 현존하는 고려시대 불화에서는 찾아 볼 수 없으며 조선시대 불화도 19세기경에 조성된 용두관음도(龍頭觀音圖) 몇 점만이 남아있다. 따라서 지금껏 볼 수 없었던 기룡보살도의 도상과 양식 특징, 편년 등을 고찰하여 이 불화의 가치를 밝혀보았다.
      그 결과 비록 바탕 배경과 일부 도상 부분이 상당히 훼손되어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아 안타까웠지만 보살상의 특징적인 부분은 대부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살상이 들고 있는 삼고저 지물과 보관 중앙에 장식한 봉황 등이 매우 독창적이어서 기룡보살상의 도상 명칭은 좀 더 자세히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양식 부분만 고려해보면 14세기경 불화의 특징과 개연성을 갖고 있으나 현존하는 우리나라 고려 후반기 또는 조선 전반기 불화에는 어떠한 사례가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중국과 일본 등 여러 나라의 도상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기룡보살도의 국적 문제에서도 앞으로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충분한 결론에 도달하지는 못하였으나 그래도 이렇게 특별하고 희소한 기룡보살도를 고찰하여 조형적으로 뛰어난 도상의 독창성과 세련되고 고상한 품격이 느껴지는 양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상의 양식을 바탕으로 14세기경 불화로 편년을 추정해 보았다는 것에 그 의미가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승희, "한국의 불화 문양" 지식산업사 2017

      2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97

      3 문명대, "한국불교회화사" 다할미디어 2021

      4 문명대, "한국불교미술사" 한언 1997

      5 문명대, "재일 한국불화 조사연구" 한국미술사연구소/한국불교미술사학회 4 : 1992

      6 김정희, "불화,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돌베개 2009

      7 陳明華, "고려시대 관음신앙과 불화의 도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8 고승희, "고려불화의 불의문양 연구(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2) : 181-213, 2004

      9 菊竹淳一, "高麗時代의 佛畵" 시공사 1997

      10 고승희, "高麗佛畵의 佛衣 紋樣 硏究 上" 한국미술사연구소/한국불교미술사학회 (15) : 2000

      1 고승희, "한국의 불화 문양" 지식산업사 2017

      2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97

      3 문명대, "한국불교회화사" 다할미디어 2021

      4 문명대, "한국불교미술사" 한언 1997

      5 문명대, "재일 한국불화 조사연구" 한국미술사연구소/한국불교미술사학회 4 : 1992

      6 김정희, "불화,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돌베개 2009

      7 陳明華, "고려시대 관음신앙과 불화의 도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8 고승희, "고려불화의 불의문양 연구(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2) : 181-213, 2004

      9 菊竹淳一, "高麗時代의 佛畵" 시공사 1997

      10 고승희, "高麗佛畵의 佛衣 紋樣 硏究 上" 한국미술사연구소/한국불교미술사학회 (15) : 2000

      11 "高麗佛畵 한국의 미 7" 중앙일보사 1981

      12 菊竹淳一, "高麗佛畵" 朝日新聞社 1981

      13 문명대, "高麗佛畵" 열화당 1991

      14 "高麗ㆍ영원한 美"

      15 문명대, "高麗 觀經變相圖 硏究" 동국대학교박물관 6 : 1981

      16 유경희, "道岬寺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圖像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40 : 2003

      17 後藤大用, "觀世音菩薩の 硏究" 山喜房佛書林 1976

      18 고승희, "朝鮮 後半期 佛敎繪畵 佛衣 紋樣 硏究 : 掛佛畵를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19 洛克什, "敦煌硏究 2" 敦煌硏究院 1995

      20 "妙法蓮華經 卷7"

      21 般剌蜜帝,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6"

      22 李玉珉, "中國觀音的信仰與圖像" 故宮博物院 212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불교미술사학 -> 강좌미술사
      외국어명 : BULKYOMISULSAHAK -> The Art History Journal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3 0.58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