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전기 서사문학의 지형과 제 양상 -필기 문학을 중심으로- = Topography and Aspects of Narrative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ocusing on Handwritten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6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epic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io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history of Korean epic literature macroscopically started in the biography style, and while the realistic cha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epic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io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history of Korean epic literature macroscopically started in the biography style, and while the realistic character was strengthened, the heart-character character biography and mongyu-rok of the mid-Joseon period appeared, thereby achieving the emergence of the mid-tier Chinese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Korean novels appeared along with the creation of Hangeul, adding to the diversity of narrative litera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d on the literary quality of handwriting and its narrative characteristics, a new literary style that appeared in Chinese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irst of all, it was necessary to acquire citizenship as a new literary style, the record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sphere of Neo-Confucian literature. I paid clos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ry consciousness of seong-im(成任) and seong-gan(成侃) and the influence of the compilation of 'Taepyeong Gwanggi Sangjeol'. In the proces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logic of response to the Neo-Confucian literary view of handwriting 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Joseon handwriting could be obtained from Chinese handwriting.
      From this, it was examined that the writing, which provided the stylistic ground, characteristically developed his character as a narrative style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a record of knowledge. By having a narrative character as a record of knowledge and it tried to focus on the stylistic character that was different from the fictional narrative of the tim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narrative recording style based on social reality was established in the historical literary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was possible to provide the emergence of a yadam style that recorded the narratives of variou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nges of the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서사문학의 전개 과정을 조선전기의 시기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 서사문학사는 거시적으로 傳奇 양식에서 시작하여 현실주의적 성격이 강화되는 가운데 조선중기의 心...

      본고는 한국 서사문학의 전개 과정을 조선전기의 시기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 서사문학사는 거시적으로 傳奇 양식에서 시작하여 현실주의적 성격이 강화되는 가운데 조선중기의 心性假傳과 夢遊錄이 등장하여, 조선후기 중단편 한문소설의 출현을 이루었다. 여기에 더해 한글 창제에 따라 국문소설이 등장하며 서사문학의 다채로움을 더하였다.
      이 점에서 본고는 조선전기 한문학에 새롭게 등장한 문학 양식인 필기의 문학성과 그 서사성에 주목하였다. 먼저 필기는 성리학적 문학관의 자장 속에서 見聞의 기록이라는 새로운 문학 양식으로서의 시민권을 획득할 필요가 있었고, 이때 서거정이 시화·소화·일화를 중심으로 필기를 주제화시켜 저술하는 과정에 成任·成侃의 문학 의식과 『太平廣記詳節』 편찬이 미친 영향 관계를 세밀하게 주목하였다. 그 과정에서 필기에 대한 성리학적 문학관에의 대응 논리와 중국 필기와도 달랐던 조선 필기의 양식적 특색을 갖출 수 있었음을 살폈다.
      이로부터 양식적 지반을 마련한 필기는 견문의 기록이라는 사실에 근거한 서사 양식으로서의 자신의 성격을 특징적으로 발전시켰음을 살폈다. 필기가 견문의 기록이라는 서사적 성격을 지님으로써 당대의 허구적 서사와 달라졌던 양식적 성격에 천착해 본 것이다. 이로써 조선전기 서사 문학사에 사회 현실에 근거한 서사적 기록 양식이 성립하였고, 이후 조선의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인물의 서사를 기록한 野談 양식의 출현을 마련할 수 있었음을 재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256, 1997

      2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904, 1985

      3 "한국고전번역원"

      4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1" 태학사 1-270, 2001

      5 김기동, "한국고대소설개론" 대창문화사 1-399, 1956

      6 엄태식, "한국 전기소설의 연구사 검토 및 서사 문법 시론" 동방한문학회 (80) : 179-214, 2019

      7 정환국, "초기소설사의 형성과정과 그 저변" 소명출판 38-63, 2005

      8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8-, 1990

      9 김정녀, "조선후기 몽유록의 구도와 전개" 보고사 1-382, 2005

      10 도현철, "조선전기 정치 사상사 : "삼봉집"과"경제문감"의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태학사 1-301, 2013

      1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256, 1997

      2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904, 1985

      3 "한국고전번역원"

      4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 1" 태학사 1-270, 2001

      5 김기동, "한국고대소설개론" 대창문화사 1-399, 1956

      6 엄태식, "한국 전기소설의 연구사 검토 및 서사 문법 시론" 동방한문학회 (80) : 179-214, 2019

      7 정환국, "초기소설사의 형성과정과 그 저변" 소명출판 38-63, 2005

      8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8-, 1990

      9 김정녀, "조선후기 몽유록의 구도와 전개" 보고사 1-382, 2005

      10 도현철, "조선전기 정치 사상사 : "삼봉집"과"경제문감"의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태학사 1-301, 2013

      11 임치균, "장서각 낙선재본 고전소설 연구" 태학사 1-310, 2005

      12 이우성, "이조한문단편집, 상·중·하" 일조각 1976

      13 김기동, "이조시대소설론" 선명문화사 1-560, 1959

      14 김기동, "이조시대 소설의 연구" 성문각 1-375, 1974

      15 이복규, "설공찬전 연구" 박이정 1-327, 2003

      16 정환국, "불교 영험서사의 전통과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한국고전문학회 (40) : 123-160, 2011

      17 정환국, "불교 영험서사와 志怪" 민족문학사연구소 (53) : 146-174, 2013

      18 신재홍, "몽유록의 유형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19 정환국,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와 한국 초기서사의 환상성- 지괴·영험서사의 경우 -" 우리한문학회 32 (32): 3-40, 2015

      20 정환국, "나려시대 불교 영험서사의 유형과 서사적 특질" 대동문화연구원 (93) : 135-168, 2016

      21 정출헌, "고전소설의 ‘천편일률’을 패러디의 관점에서 읽는 법―전기소설 『금오신화』와 『오유란전』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38) : 35-63, 2006

      22 李來宗, "鮮初 筆記의 展開 樣相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23 大谷森繁, "貰冊 古小說 硏究" 혜안 1-399, 2003

      24 한의숭,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의 세계" 경진 1-295, 2017

      25 임형택, "17世紀 閨房小說의 成立과 ≪倡善感義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57 : 103-176, 1988

      26 정출헌, "16세기 서사문학사의 지평과 그 미학적 층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1-38,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1-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7-10-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KCI등재
      2017-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3 2.12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