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라블레와 르네상스 시대 = Rabelais and the French Renaiss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2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라블레의 생애(1483∼1553)는 프랑스 르네상스 문화의 개화기와 대략적으로 일치한다. 그의 작품에는 작가가 처해 있던 시대적 상황이 허구적 사건들 속에 직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당시...

      라블레의 생애(1483∼1553)는 프랑스 르네상스 문화의 개화기와 대략적으로 일치한다. 그의 작품에는 작가가 처해 있던 시대적 상황이 허구적 사건들 속에 직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당시의 정치, 종교, 사회 제도와 문화에 관한 날카로운 풍자와 비판이 작품 곳곳에 때로는 암시적이거나 직설적으로, 때로는 알레고리적 인물의 설정을 통해 우화적인 수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인문주의자답게 라블레는 문예부흥에 큰 기대를 걸었고, 프랑스 르네상스의 이상과 염원, 그리고 작가의 현실 인식을 모두 그의 소설 속에 담았다. 문예부흥과 학문 발전을 통해 인류의 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낙관적 기대가 팽배해 있던, 중세와 크게 달라진 이 시대의 특징적 분위기가 그의 작품 속에 잘 나타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époque où a vécu François Rabelais(1483-1553) correspond approximativement à l’â̂ge de floraison de la Renaissance française. Humaniste, il a célébré la restauration des lettres, rendue possible par la redécouverte des textes classi...

      L’époque où a vécu François Rabelais(1483-1553) correspond approximativement à l’â̂ge de floraison de la Renaissance française. Humaniste, il a célébré la restauration des lettres, rendue possible par la redécouverte des textes classiques gréco-latins, comme le bien montre la fameuse lettre de Gargantua à son fils Pantagruel qui s’adonnait aux études à Paris. De mê̂me, le mythe du pantagruélion dans le Tiers Livre est un hymne au progrès de la civilisation européenne, qui prouve éloquemment sa confiance infinie à l’avenir prospère de l’humanité. Il a montré aussi ouvertement sa sympathie pour l’évangélisme, lié intimement à l’esprit de l’humanisme par le retour aux textes originaux de la Bible.
      À l’époque où il n’existait pas de modèles antécédents, adéquats pour son oeuvre, Rabelais a commencé par s’interroger comment écrire le récit de son invention. Les modèles qu’il a adoptés successivement étaient la chronique et le roman de chevalerie pour le Pantagruel et le Gargantua, le dialogue pour le Tiers Livre et le récit de voyage fantastique pour le Quart Livre et le Cinquiesme Livre. À travers le cycle pantagruélique, l’auteur n’a cessé de se demander comment écrire son oeuvre qui n’était déterminée par aucune nécessité historique et ainsi le processus de la création littéraire devient le centre des discussions entre les instances narratives au sein du roman, ce qui montre clairement la conscience aiguë̈ de l’auteur en quê̂te de sa propre écriture romanesque. Nous croyons que le roman rabelaisien est moderne de tout temps en ce sens que la parodie systématique des conventions littéraires éculées pour la création de nouvelles conventions se poursuit dans chaque livre du cycle pantagruélique. Rabelais est indubitablement le précurseur du roman moderne en Fr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석호, "라블레, 새로운 글쓰기의 모험"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2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현대성" 한국불어불문학회 (75) : 247-282, 2008

      3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모델들: 기사도 소설과 연대기"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13 : 131-159, 2010

      4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모델들(Ⅲ) : 환상적 여행기"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18 : 91-123, 2015

      5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모델들(II) : 대화록"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17 : 59-93, 2014

      6 Keller, Abraham C, "The Telling of Tales in Rabelais: Aspects of His Narrative Art" (12) : 1963

      7 Robert, Marthe, "Roman des origines et origines du roman" Gallimard 1972

      8 Screech, M. A, Rabelais, "Rabelais, Traduit de l’anglais par Marie-Anne de Kisch" Gallimard 1992

      9 Gray, Floyd, "Rabelais et l’écriture" Nizet 1974

      10 Huchon, Mireille, "Rabelais" Gallimard 2011

      1 유석호, "라블레, 새로운 글쓰기의 모험"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2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현대성" 한국불어불문학회 (75) : 247-282, 2008

      3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모델들: 기사도 소설과 연대기"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13 : 131-159, 2010

      4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모델들(Ⅲ) : 환상적 여행기"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18 : 91-123, 2015

      5 유석호, "라블레 소설의 모델들(II) : 대화록"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17 : 59-93, 2014

      6 Keller, Abraham C, "The Telling of Tales in Rabelais: Aspects of His Narrative Art" (12) : 1963

      7 Robert, Marthe, "Roman des origines et origines du roman" Gallimard 1972

      8 Screech, M. A, Rabelais, "Rabelais, Traduit de l’anglais par Marie-Anne de Kisch" Gallimard 1992

      9 Gray, Floyd, "Rabelais et l’écriture" Nizet 1974

      10 Huchon, Mireille, "Rabelais" Gallimard 2011

      11 Pérouse, Gabriel-A., "Nouvelles françaises du XVIe siècle, Images de la vie du temps" Droz 1977

      12 Christian Michel, "Naissance du roman moderne: Rabelais, Cervantès, Sterne" Publication des Universités de Rouen et du Havre 2007

      13 Rigolot, François, "Les Langages de Rabelais, Etudes rabelaisiennes, X" Droz 1972

      14 Mounier, Pascale, "Le Roman humaniste: un genre nouveau français 1532-1564" Honoré Champion 2007

      15 Michèle Clément, "Le Roman française au XVIe siècle ou le renouveau d’un genre dans le contexte européen" Presses Universitaires de Strasbourg

      16 Demerson, Guy, "François Rabelais" Fayard 1991

      17 Jean Bessière, "Conférences du séminaire de Littérature comparée de l’Université de la Sorbonne Nouvelle" Honoré Champion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7-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été Coréenne de la Littérature Classique Français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