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고전학에 관한 시론(試論) = An Essay on Digital Class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5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outline the overall topography and academic consequences of the many classical studies that have been attempted as a component of digital humanities study in recent years,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class...

      This paper aims to outline the overall topography and academic consequences of the many classical studies that have been attempted as a component of digital humanities study in recent years,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classics derived from them. Sketching the design of digital classics may appear to be a contradictio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traditional denotative definition of classical studies. While it is impossible to define classical studies in an analog context, it is equally worthwhile to investigate the universal qualities of classical studies generated in a digital environment to gain greater clarity on the meanings of classical studies as a “discipline” (學). This is because many components of classical studies undertaken in a digital context assume classical studies’ tradition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this sense, the term “digital classics,” as used in this paper, is not a precise definition of a discipline, but rather a broad statement intended to cover all parts of classical scholarship that intersect with digital technology. The continuation of “co-ation” represented by “cooperation” – “communication” – “computation” is necessary for digital classics to function as a point of interaction between classical research and digital technology. As an active exploration and tangible movement to continue such new research activities, a series of knowledge processing methods such as “sharing,” “representa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data must be accep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꾸준히 시도되어 온 고전 연구의 전체적 지형과 학술적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로부터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

      이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꾸준히 시도되어 온 고전 연구의 전체적 지형과 학술적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로부터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고전학의 전통적 외연을 엄밀히 정의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디지털 고전학의 얼개를 스케치해보겠다는 것은 일견 모순처럼 보일 수도 있겠다. 한편으로 아날로그 환경에서 고전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디지털 환경에서 전개되는 고전 연구의 보편적 양태를 살펴봄으로써, ‘학(學)’으로서 고전학의 내포를 역으로 곱씹어 보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고전 연구의 여러 맥락이 고전학의 전통적 문제의식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이 글이 다루는 ‘디지털 고전학’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학(學, discipline)으로서 엄밀한 정의가 아니라,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만나는 고전 연구의 양태를 폭넓게 살펴보고자 마련한 다소 포괄적인 언명에 가깝다. 고전 연구와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은, 아날로그 환경에서 이루어져 온 고전 연구의 한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보완・극복할 수 있는 맥락으로서 ‘협업(cooperation)’-‘전달(communication)’-‘연산(computation)’으로 일관(一貫)되는 일명 ‘co-ation’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형식의 연구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적극적 탐색이자 구체적 실천으로서, 고전 데이터를 ‘공유(sharing)’하고 ‘표현(representation)’하고 ‘분석(analysis)’하는 일련의 지식 처리 프로세스가 수용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찬, "한시 유사도 분석 방안 연구" 근역한문학회 59 : 361-384, 2021

      2 "한국서양고전학회 홈페이지"

      3 "한국고전종합DB"

      4 안대회, "한국 고전학의 방향 ― 정전화와 정본화" 대동문화연구원 (101) : 11-34, 2018

      5 권기성 ; 김동건,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심청전> 계통 분류 연구" 판소리학회 (47) : 167-205, 2019

      6 "지암일기 데이터 시각화 결과물"

      7 김기훈, "제9차 켈트 고전학 학술대회 참관기" 한국서양고전학회 55 (55): 183-190, 2016

      8 최혜주, "일제강점기 고전의 형성에 대한 일고찰 - 재조일본인과 조선광문회의 고전 간행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157-195, 2013

      9 강우규 ; 김바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현성록> 연작의 감정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49-174, 2018

      10 장문석, "식민지 출판과 양반 ― 1930년대 신조선사의 고문헌 출판 활동과 전통 지식의 식민지 공공성" 민족문학사연구소 (55) : 351-407, 2014

      1 이병찬, "한시 유사도 분석 방안 연구" 근역한문학회 59 : 361-384, 2021

      2 "한국서양고전학회 홈페이지"

      3 "한국고전종합DB"

      4 안대회, "한국 고전학의 방향 ― 정전화와 정본화" 대동문화연구원 (101) : 11-34, 2018

      5 권기성 ; 김동건,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심청전> 계통 분류 연구" 판소리학회 (47) : 167-205, 2019

      6 "지암일기 데이터 시각화 결과물"

      7 김기훈, "제9차 켈트 고전학 학술대회 참관기" 한국서양고전학회 55 (55): 183-190, 2016

      8 최혜주, "일제강점기 고전의 형성에 대한 일고찰 - 재조일본인과 조선광문회의 고전 간행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157-195, 2013

      9 강우규 ; 김바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현성록> 연작의 감정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49-174, 2018

      10 장문석, "식민지 출판과 양반 ― 1930년대 신조선사의 고문헌 출판 활동과 전통 지식의 식민지 공공성" 민족문학사연구소 (55) : 351-407, 2014

      11 김바로 ; 강우규, "빅데이터와 고전문학 연구방법론" 중앙어문학회 78 : 7-39, 2019

      12 박치완, "디지털인문학이란 무엇인가?" 꿈꿀권리 1-332, 2015

      13 김성문 ; 김바로,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 연구 방법 탐색-『한국시조대사전』 수록 단형시조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4) : 209-236, 2020

      14 진재교, "동아시아 古典學과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42) : 37-66, 2014

      15 최윤경 ; 한수영, "고전읽기 관련 교양교육 사례연구의 현황과 진단"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6) : 195-238, 2021

      16 "宋元学案知识图谱"

      17 안재원, "『서양고전학연구』 에 게재된 ‘서양고전기타분야’에 대한 보고" 한국서양고전학회 (31) : 221-230, 2008

      18 "Wikipedia 표제어 ‘Digital Classics’"

      19 "Earlier Latin Manuscripts"

      20 박진완, "Data Iconology –데이터 시각화의 구현과 해석" 한빛아카데미 1-320, 2017

      21 "Dante Visualised:Visualising Dante's Divine Comedy"

      22 "Coptic Dictionary Online"

      23 "Codex Atlanticus"

      24 "Chinese Text Proje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7 1.6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