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전소설 교육에서 문화콘텐츠의 위상과 역할: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과 영화 <전우치>를 중심으로 = The Status and Role of Cultural Contents in Classical Novel Education - Focusing on the Drama “Rebel: The Thief Who Stole the People” and the movie “Jeon Woo Ch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5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전소설 교육에서 문화콘텐츠가 담당하는 위상과 역할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전소설이 문화콘텐츠에 기본 내용을 제공하고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의 반경을 넓혀...

      이 논문은 고전소설 교육에서 문화콘텐츠가 담당하는 위상과 역할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전소설이 문화콘텐츠에 기본 내용을 제공하고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의 반경을 넓혀주는 점을 고려하면 고전소설과 문화콘텐츠는 상생의 관계에 놓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을 높여준다고 할 때 그 관심이 정확히 고전소설의 실체를 향한 것인지, 고전소설의 교육적 의의가 그것을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의 교육적 의의와 곧장 연결되는지 등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현실적으로 교육용 문화콘텐츠 마련이 어려운 실정이고 이를 학생들의 창작 활동으로 돌린다 하더라도 예시가 될 만한 콘텐츠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양질의 문화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는 논리와 기준을 마련하여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 교육에 있어 담당해야 하는 역할은 해당 작품의 문제의식을 계승 및 변형하면서도, 그것이 지니는 핵심 메시지를 더욱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 점에서 활용할 가치가 큰 문화콘텐츠의 사례로, <홍길동전>을 기반으로 제작된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과 <전우치전>을 기반으로 제작된 영화 <전우치>를 들었다. 두 콘텐츠는 고전소설 교육의 장에서는 다소 소략하게 다루어지는 교육 내용을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기반이 되는 작품 외에도 다른 설화나 소설을 환기시키는 장치를 추가하여 문화적 리터러시 함양의 가능성도 보여 주었다. 이렇게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 교육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전소설에 대한 앎이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창작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것은 문화콘텐츠가 산업으로서뿐만이 아니라 교과 내용으로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role of cultural contents in classical novel education. Considering that classical novels provide basic contents to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broaden the radius of classical novel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role of cultural contents in classical novel education. Considering that classical novels provide basic contents to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broaden the radius of classical novels, it can be said that classical novels and cultural contents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However, when it is said that cultural contents raise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it is a matter of reconsideration whether the interest is directed towards the reality of classical novels and whether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lassical novels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m.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prepare cultural content for education, and even if it is attributed to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examples are absolutely deman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logic and criteria to select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and select usable contents.
      In this paper, the role that cultural contents should play in teaching classical novels is to inherit and transform the problematic awareness of the work, while revealing the core message of the work more clearly. The drama “Rebel: The Thief Who Stole the People” based on “Honggildongjeon” and the movie “Jeon Woo Chi” based on “Jeonwoochijeon” are examples of such cultural contents. The two contents have the potential to exp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hich has been briefly discussed so far in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also play a role in showing the potential of classical literature as cultural literacy. In this way, judging how cultural contents can help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how knowledge of classical novels can help students produce and create cultural contents reminds us that cultural contents have sufficient value not only as an industry but also as a curriculum cont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렬, "홍길동전과 전우치전의 비교 고찰" 한국어문학회 30 : 1974

      2 권순긍,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소명출판 2019

      3 현승훈, "한국형 슈퍼히어로 영화의 영상미학적 특성 연구-영화 <전우치>의 플롯구조와 인물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32-139, 2013

      4 조해진, "한국판타지영화의 발전환경 및 가능성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21) : 149-175, 2011

      5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6 신원선, "한국고전소설의 영상콘텐츠화 성공방안 연구 -영화 <전우치>와 <방자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46) : 365-402, 2010

      7 송팔성, "한국고전문학교육 영상콘텐츠의 담론 유형별 활용 및 글쓰기 방안"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147-182, 2007

      8 한국고소설학회, "한국고소설강의" 돌베개 2019

      9 정혜경, "한국 고전서사와 콘텐츠" 한국문화사 2018

      10 이민호 ; 이효인, "최동훈 영화의 사회반영성 -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25-136, 2013

      1 김일렬, "홍길동전과 전우치전의 비교 고찰" 한국어문학회 30 : 1974

      2 권순긍,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소명출판 2019

      3 현승훈, "한국형 슈퍼히어로 영화의 영상미학적 특성 연구-영화 <전우치>의 플롯구조와 인물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32-139, 2013

      4 조해진, "한국판타지영화의 발전환경 및 가능성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21) : 149-175, 2011

      5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6 신원선, "한국고전소설의 영상콘텐츠화 성공방안 연구 -영화 <전우치>와 <방자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46) : 365-402, 2010

      7 송팔성, "한국고전문학교육 영상콘텐츠의 담론 유형별 활용 및 글쓰기 방안"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147-182, 2007

      8 한국고소설학회, "한국고소설강의" 돌베개 2019

      9 정혜경, "한국 고전서사와 콘텐츠" 한국문화사 2018

      10 이민호 ; 이효인, "최동훈 영화의 사회반영성 -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25-136, 2013

      11 "초등학교 『국어활동』 4-1"

      12 "초등학교 『국어』 6-2가"

      13 "초등학교 『국어』 6-1나"

      14 "초등학교 『국어』 2-2가"

      15 "중학교 『국어』(천재(박)) 1-2" 천재(박)

      16 "중학교 『국어』(창비) 3-1" 창비

      17 "중학교 『국어』(지학사) 1-1" 지학사

      18 "중학교 『국어』(비상) 1-1" 비상

      19 "중학교 『국어』(미래엔) 1-1" 미래엔

      20 "중학교 『국어』(금성) 2-1" 금성

      21 "중학교 『국어』(교학사) 2-2" 교학사

      22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23 진수미, "자기반영성의 영화로서 <전우치> - 매체 재현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센터 (26) : 239-266, 2017

      24 박일용, "영웅소설 유형 변이의 사회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1983

      25 임철호,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 :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2)" 한국구비문학회 4 : 1997

      26 임철호,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 :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1)" 한국구비문학회 3 : 1996

      27 유병환,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의 진화론적 관점 - 화소분열 양상과 의미 구체화"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3 : 162-189, 2015

      28 "신문관본 전우치전"

      29 정소연,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한국문학교육학회 (46) : 27-52, 2015

      30 일연, "삼국유사" 하서 2002

      31 이아영, "사극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 OST에 나타난 국악가요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2019

      32 조혜란, "민중적 환상성의 한 유형-일사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15) : 3-82, 2003

      33 정제호, "미디어서사로의 전이 과정에 나타난 전우치 전승의 굴절과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43) : 433-461, 2018

      34 강현구, "문화콘텐츠와 인문학적 상상력" 글누림 2005

      35 정창권, "문화콘텐츠 교육학" 북코리아 2009

      36 조동일, "문학과 정치" 민음사 1980

      37 김창원, "문학 능력과 교육과정, 그리고 매체 -교육과정 목표를 통해 본 문학 능력관과 매체의 수용-" 한국문학교육학회 (26) : 63-85, 2008

      38 정주연,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8

      39 김영학 ; 이용욱,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국어문학회 53 (53): 239-264, 2012

      40 정재림, "국어교육에서 '갈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4) : 309-334, 2019

      41 정재림, "국어교과서와 문학텍스트"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9) : 1-22, 2016

      4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구비문학대계 7-8"

      4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구비문학대계 7-6"

      44 김효정, "고전소설의 영상 매체로의 전환 유형과 사례"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1) : 255-280, 2011

      45 서보영, "고전소설 다시쓰기의 전통과 국어교육적 의미 - <춘향전>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4) : 121-151, 2019

      46 이종호, "고전소설 <뎐우치젼>과 영화 <전우치>의 서사구조 비교 연구" 온지학회 (26) : 243-270, 2010

      47 최홍원, "고전문학 제재 수록의 이면과 그 배경의 탐색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54) : 255-291, 2017

      48 "고등학교 『국어』" 해냄에듀

      49 이윤석, "경판 <홍길동전> 축약의 양상과 그 의미" 열상고전연구회 (40) : 139-169, 2014

      50 "경판 37장본 전운치전"

      51 "경판 30장본 홍길동전"

      52 이종필, "田禹治 전승의 양가적 表象과 그 역사적 맥락" 민족어문학회 (75) : 33-56, 2015

      53 김동욱, "<홍길동전>의 유형에 대하여" 국문학회 (34) : 195-220, 2016

      54 안창수, "<전우치전>으로 살펴본 영웅소설의 변화" 한국문학회 (59) : 73-116, 2011

      55 서유경, "<전우치전> 읽기의 문화적 확장 탐색-<전우치전>과 <브루스 올마이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0) : 201-231, 2008

      56 조도현, "<田禹治>서사의 현대적 변이와 유통방식 -영화 <전우치>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74) : 371-390, 2010

      57 임홍택, "90년대생이 온다" 웨일북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