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제주문인 정체성의 일단: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경우 = The identity of the 18th-century literati in Jeju Island: Jang Han-cheol's travel record Pyohaerok (漂海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4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ntity of the 18th-century literati in Jeju Island by analyzing Jang Han-cheol's travel record Pyohaerok (漂海錄). Despite how unique of a place that the literature of Jeju Island occupies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ntity of the 18th-century literati in Jeju Island by analyzing Jang Han-cheol's travel record Pyohaerok (漂海錄). Despite how unique of a place that the literature of Jeju Island occupies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often express a land-oriented perspective that otherizes the Jeju literature. This trend prevents any opportunity to properly approach to the subject itself. In order to derive more accurate analysis, the records of native Jeju scholars and their own perspective need to be examined thoroughly. Thus, Pyohaerok has been select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native scholar's thoughts and viewpoint. One of the many distinct features of Pyohaerok is that the writer's voice of the inner world is expressed in harmony with his reaction to the outer world. In this regard, how the piece had been used to disclose the capacity of scholars in Jeju is identified based on analyzing Jang's life and the circumstances Pyohaerok being read at the government authorities. Secondly, the aspects of conflicts on board and the contacts with the outside world are also analyzed in this study. It is derived that Jang had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e ‘Jeju people’ and the ‘sailors’ through the conflicts in the drifting ship. He had made a connection to the outer world by encountering with the pirates and merchant ships as well. In those particular situations, he would project his identity as a Confucian scholar into the circumstances. Lastly, a feature that distinguishes Jang from other ordinary scholars is discovered by analyzing his knowledge in the usage of various records and maps. In conclusion, Pyohaerok reveals the identity and self awareness of Jang Han-cheol, a Jeju scholar ambiguously positioned in the hierarchy of the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장한철의 『표해록』 분석을 통해서 18세기 제주 문인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제주 고전문학은 한국고전문학에서 독특한 위상으로 차지하고 있지만, 대개 육지 중심의 ...

      이 글은 장한철의 『표해록』 분석을 통해서 18세기 제주 문인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제주 고전문학은 한국고전문학에서 독특한 위상으로 차지하고 있지만, 대개 육지 중심의 시선으로 타자화된 이미지가 강하다. 이런 경향은 제주 고전문학에 대한 온전한 접근이 못 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제주 출신 문인이 남긴 기록을 통해 그들의 의식세계를 확인함으로써 내부의 의식과 시선에 주목해 봐야 한다. 이 연구는 그 일환으로 장한철의 『표해록』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표해록』은 표류문학으로써 주목되어 왔지만, 여타 표해록류와는 달리 작자의 내면과 외부세계에 대한 대응의 면모가 흥미롭게 구현된 저작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먼저 장한철의 생애와 함께, 『표해록』이 중앙 정계 등에서 읽힌 정황을 토대로 이 저작이 제주 문인의 역량을 드러내는 자료로 활용된 지점을 포착하였다. 다음으로, 『표해록』의 내용 중 선상 갈등과 외부세계와의 접촉 및 대응 등을 중요한 면모로 보고 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표류하는 배 안에서의 동선인들과의 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거쳐 장한철이 제주인, 또는 뱃사람들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해적선 및 상선과 조우하면서 외부세계와 본격적으로 접속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유가지식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그 대응 과정에 투영시키고 있는 점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문헌과 지도 등을 활용하여 제주지식인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는 점을 특정, 이것이 일반/육지 지식인의 지적 역량과는 다른 제주 문인만의 한 경향으로 볼 수 있다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표해록』은 18세기 제주 문인의 자기정체성이 잘 드러난 저작이며, 이를 통해 제주 고전문학의 한 특징을 상정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한철, "표해록" 지만지클래식 2009

      2 정환국, "조작되는 하위/ 하위주체들 - 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68) : 131-158, 2018

      3 조성윤, "조선후기 제주도 지방의 신분구조" 한국사회사학회 27 : 178-222, 1991

      4 이석범, "제주전설집2" 제주문화원 2012

      5 김영돈, "제주설화집성(1)" 탐라문화연구소 1985

      6 서인석, "장한철의 「표해록」과 수필의 서사적 성격" 한국국어교육연구회 67 : 143-160, 1989

      7 윤치부, "장한철의 <표해록>과 한문단편의 관련 양상" 한국고소설학회 2 : 341-382, 1996

      8 정솔미, "장한철(張漢喆) 『표해록(漂海錄)』의 야담적 전이 양상 - 『기리총화(綺里叢話)』와 『청구야담(靑邱野談)』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241-279, 2018

      9 강문종,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텍스트 형성 동인 연구"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3) : 37-60, 2020

      10 "일성록"

      1 장한철, "표해록" 지만지클래식 2009

      2 정환국, "조작되는 하위/ 하위주체들 - 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68) : 131-158, 2018

      3 조성윤, "조선후기 제주도 지방의 신분구조" 한국사회사학회 27 : 178-222, 1991

      4 이석범, "제주전설집2" 제주문화원 2012

      5 김영돈, "제주설화집성(1)" 탐라문화연구소 1985

      6 서인석, "장한철의 「표해록」과 수필의 서사적 성격" 한국국어교육연구회 67 : 143-160, 1989

      7 윤치부, "장한철의 <표해록>과 한문단편의 관련 양상" 한국고소설학회 2 : 341-382, 1996

      8 정솔미, "장한철(張漢喆) 『표해록(漂海錄)』의 야담적 전이 양상 - 『기리총화(綺里叢話)』와 『청구야담(靑邱野談)』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241-279, 2018

      9 강문종,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텍스트 형성 동인 연구"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3) : 37-60, 2020

      10 "일성록"

      11 정병욱, "인문과학 6집" 연세대 인문학연구원 1961

      12 "승정원일기"

      13 티모시 브룩, "셀던의 중국지도" 너머북스 2018

      14 정환국, "동아시아 漂流敍事 序說 ―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端緖로써" 대동문화연구원 (100) : 295-320, 2017

      15 진성기, "남국의 전설" 일지사 1968

      16 睦萬重, "餘窩集"

      17 안대회, "餘窩 睦萬中의 표류인 전기 「金福壽傳」 연구 -제주 민요 <오돌또기>와의 관련성을 포함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8) : 61-84, 2014

      18 "耽羅志"

      19 李⽞綺, "綺里叢話"

      20 張漢喆, "漂海錄"

      21 兪晩柱, "欽英"

      22 尹安性, "冥觀遺稿集"

      23 김새미오, "『일재 변경붕 문집』에 나타난 18∼19세기의 제주사회 성격에 관한 일고―유교사회로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20 : 93-118, 2010

      24 홍진옥, "‘琉球 세자 살해설’과 김려의 <유구왕세자외전>"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7 (47): 121-169, 2016

      25 김미선, "<표해록>으로 본 18세기 제주도 선비 장한철과 섬사람들" 동양학연구원 (78) : 1-20, 2020

      26 김경옥, "18세기 張漢喆의 『漂海錄』을 통해 본 海外體驗" 호남사학회 (48) : 151-173, 2012

      27 후지타 아키요시, "17世紀初頭の濟州島地方官による「荒唐船」攻擊事件と島津氏の安南通交-『增補耽羅誌』にみる琉球王子殺害事件の實相"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