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군의 군사혁신 발전방향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RM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3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sue of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RMA) that we are facing now i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f new technologies, such as AI, IoT, Clout, Big Data, and Mobile, are introduced into the military field, we expect that the aspect of fut...

      The issue of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RMA) that we are facing now i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f new technologies, such as AI, IoT, Clout, Big Data, and Mobile, are introduced into the military field, we expect that the aspect of future warfare will change drastically. Then RMA is pursued in a way how to adopt new technologies into the military system.
      This study presents two perspectives of RMA. 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is required for sustainable RMA consider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e elements of RMA are suggested: military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ve idea,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With analysis of war cases with these elements, this paper argue that these elements should be synchronized for the victory.
      For sustainable RMA, it should be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military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rather than just adapting it.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science and technology into a military system, innovative ideas, which transform the existing paradigm, can be created with organizational adaptation to cope with changes flexibl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RMA elements, concepts and organizational changes are made to develop and operation military system.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machinery and human being, suggests the direction of RMA based on the elements of RMA. With this study, the military could shift the viewpoi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MA and pursue future innovation in the desirable dir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가 당면한 군사혁신의 화두는 “4차 산업혁명”이다. AI+ICBM(인공지능+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등 첨단과학기술이 군사 분야에 도입되면 미래 전쟁양상이 획기적으...

      현재 우리가 당면한 군사혁신의 화두는 “4차 산업혁명”이다. AI+ICBM(인공지능+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등 첨단과학기술이 군사 분야에 도입되면 미래 전쟁양상이 획기적으로 변화할 것이라 기대하고, 신 기술을 무기체계에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방식으로 군사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군사혁신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통해 군사혁신을 이해하고, 군사혁신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을 제시한다. 장기적 관점에서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첨단과학기술을 군사적으로 활용한다는 기술결정론적 관점보다, 한국의 정치?사회?경제?안보상황을 고려한 기술의 사회적 형성론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더불어 군사혁신의 요소를 과학기술의 군사적 활용?혁신적 아이디어?조직의 적응력으로 제시하고 산업혁명 시기에 발생한 주요 전쟁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군이 군사혁신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혁신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군사적 활용가능성에 주목하고, 과학기술이 군사시스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있어야 한다. 혁신적 아이디어가 군사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조직의 적응력이 있어야 한다. 이처럼 군사혁신의 요소 간 상호작용을 통해 무기체계가 개발되고, 이를 운용하기 위한 개념과 조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은 기계와 인간의 ‘협력적 거버넌스’임을 강조하고, 군사혁신의 추진방향을 군사혁신의 요소를 통해 제안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군이 4차 산업혁명과 군사혁신을 바라보는 관점을 전환하고 앞으로의 군사혁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 새로운현재 2018

      2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3 제러미 리프킨, "제3차 산업혁명" 민음사 2012

      4 Williamson Murray, "제1, 2차 세계대전 사이의 군사혁신 上" 합동군사대학교 보충교재 2012

      5 이내주, "전쟁과 무기의 세계사" 채륜서 2017

      6 에바타 켄스케, "전쟁과 로지스틱스" 한국국방연구원 2011

      7 정연봉, "베트남전 이후 미 육군의 군사혁신(RMA)이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주는 함의" 육군군사연구소 (147) : 285-314, 2019

      8 이성연, "미래전에 대비한 군사혁신론" 황금소나무 2008

      9 이근욱, "미래의 전쟁과 전쟁의 미래:이라크 전쟁에서 나타난 군사혁신의 두 가지 측면" 신아시아연구소 17 (17): 137-161, 2010

      10 허광환, "미국의 다영역 작전(Multi-Domain Operations)에 대한 비판과 수용" 육군군사연구소 (147) : 125-153, 2019

      1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 새로운현재 2018

      2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3 제러미 리프킨, "제3차 산업혁명" 민음사 2012

      4 Williamson Murray, "제1, 2차 세계대전 사이의 군사혁신 上" 합동군사대학교 보충교재 2012

      5 이내주, "전쟁과 무기의 세계사" 채륜서 2017

      6 에바타 켄스케, "전쟁과 로지스틱스" 한국국방연구원 2011

      7 정연봉, "베트남전 이후 미 육군의 군사혁신(RMA)이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주는 함의" 육군군사연구소 (147) : 285-314, 2019

      8 이성연, "미래전에 대비한 군사혁신론" 황금소나무 2008

      9 이근욱, "미래의 전쟁과 전쟁의 미래:이라크 전쟁에서 나타난 군사혁신의 두 가지 측면" 신아시아연구소 17 (17): 137-161, 2010

      10 허광환, "미국의 다영역 작전(Multi-Domain Operations)에 대한 비판과 수용" 육군군사연구소 (147) : 125-153, 2019

      11 이종호, "군사혁신의 전략적 성공요인으로 본 국방개혁의 방향 : 주요 선진국 사례와 한국의 국방개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12 조용만, "군사혁신과 현대전쟁" 글로벌 2016

      13 설인효, "군사혁신(RMA)의 전파와 미중 군사혁신 경쟁: 19세기 후반 프러시아-독일 모델의 전파와 21세기 동북아 군사질서"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141-169, 2012

      14 MacGregor Knox, "군 혁명과 군사혁신의 다이내믹스" 한국국방연구원 2014

      15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의 세계" 휴먼사이언스 2014

      16 Brandi U., "Why Innovation Fails: The Importance of Bringing in a New Concept of Culture" 2010

      17 Godin. B, "The Rise of Innovation Surveys: Measuring a Fuzzy Concept, In Canadian science and innovation indicators consortium, Project on the history and sociology of S&T Statistics" 2002

      18 Hoffman Robert R., "Myths of Autom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Military Procurement" 74 : 255-261, 2018

      19 Perkins David G., "Multi-Domain Battle: The Advent of Twenty-first Century War" 8-13, 2017

      20 Perkins David G, "Multi-Domain Battle: Evolution of Combined Arms for the 21st Century 2025∼2040"

      21 Krepinevich, A. F, "Cavalry to computer: the pattern of military revolutions" 30 (30): 1994

      22 김관호, "4차 산업혁명을 위해 한국군이 준비할 사항 No 1" 74 (74): 74-79, 2017

      23 국방기술품질원,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미래국방기술" 국방기술품질원 2017

      24 정춘일, "4차 산업혁명과 군사혁신 4.0"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4 (24): 183-211, 2017

      25 박지훈,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군 군사혁신 추진방향" 18 (18): 2018

      26 권태영, "21세기 군사혁신과 미래전" 법문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