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베정부의 우경화와 미일동맹 강화가한반도 안보정세에 미치는 영향 = Abe Administration`s Right-wing Policies and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and Their Impact on the Security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아베 정부의 우경화 정책과 미일동맹 강화를 분석, 이들이 역내 안보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2012년 12월에 출범한 아베 2기 정부는 국내적으로는 야스...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아베 정부의 우경화 정책과 미일동맹 강화를 분석, 이들이 역내 안보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2012년 12월에 출범한 아베 2기 정부는 국내적으로는 야스쿠니신사 참배, ‘고노담화’ 검증,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 등의 우경화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미일동맹 강화를 위해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 미사일 방어체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베 정부의 우경화 정책과 미일동맹 강화는 결국 동북아에서는 미중 간에 경쟁과 갈등을 조장하고, 미일동맹에 대응한 중러 간의 협력 강화와 중일관계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한일관계의 악화, 한미동맹 및 한미일 협력체제에도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한국으로서는 한반도의 주변국간의 상호관계의 변화를 냉철하게 분석하고 현명한 정책적 판단을 할 필요가 있다. 먼저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어느 일방을 택하면서 다른 일방과 적대적인 관계로 전환하는 선택은 피해야 한다. 그리고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서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국익의 공통분모를 적극 확대해 나가는 실리외교를 추구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은 한미 동맹의 강화를 통해 미일동맹의 대일 견제적 성격을 활용해서 유기적인 한미일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r Abe Administration`s Right-wing policies and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to impact on the Northeast Asian regional security situation. Launched in December 2012, Abe`s 2nd term Government domestic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r Abe Administration`s Right-wing policies and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to impact on the Northeast Asian regional security situation. Launched in December 2012, Abe`s 2nd term Government domestically has been promoting Right-wing policies, such as visiting Yasukuni shrine, reviewing Kono Statement. And also Abe government is trying to exercise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amended ‘the US-Japan Defense Cooperation Guidelines’ and to pursue a missile defense system for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Abe Administration`s Right-wing trend and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eventually provoke conflicts between the US-China in the Northeast Asia, strengthen th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and deteriorate between China and Japan and the Korea-Japan relations, and exert negative impact on the ROK-US Alliance and the Korea-U.S.-Japan security cooperation. Therefore, the Republic of Korea is necessary to make wise judgment politically after carefully analyzing the change of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Korea`s neighbors. First, Korea should avoid switching to a hostil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as selecting one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for establishing a new future-oriented Korea-Japan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emotional response, and then to promote pragmatic diplomacy such as actively pursuing common denominators of national interests. And it also needs to maintain an organic relationship of Korea-US-Japan through strengthening Korea-US alliance while controlling Jap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형준, "한반도 유사시 日 개입···한국 반발 고려 ‘주권 존중’ 규정"

      2 서의동, "초강경 자민당 총선공약"

      3 홍제성, "중국, 미일정상 ‘센카쿠 안보적용 대상’ 확인에 반발"

      4 언론NPO, "제3회 한일국민상호인식조사 : 한일비교분석 결과 보고서"

      5 권오현, "제2차 아베 정권의 교과서 제도 개혁과 역사교과서" 역사교육학회 (53) : 35-71, 2014

      6 박영준, "일본정치 우경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7 박휘락,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체제 추진사례 분석과 한국에 대한 교훈" 세종연구소 19 (19): 83-111, 2013

      8 김지영, "일본의 초·중등학교 역사교육 동향"

      9 김준섭, "일본에 있어서의 집단적 자위권 문제에 관한 연구 ― 일본정부의 논리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76) : 327-337, 2008

      10 박진우, "일본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동북아역사재단 84-89, 2013

      1 박형준, "한반도 유사시 日 개입···한국 반발 고려 ‘주권 존중’ 규정"

      2 서의동, "초강경 자민당 총선공약"

      3 홍제성, "중국, 미일정상 ‘센카쿠 안보적용 대상’ 확인에 반발"

      4 언론NPO, "제3회 한일국민상호인식조사 : 한일비교분석 결과 보고서"

      5 권오현, "제2차 아베 정권의 교과서 제도 개혁과 역사교과서" 역사교육학회 (53) : 35-71, 2014

      6 박영준, "일본정치 우경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7 박휘락,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체제 추진사례 분석과 한국에 대한 교훈" 세종연구소 19 (19): 83-111, 2013

      8 김지영, "일본의 초·중등학교 역사교육 동향"

      9 김준섭, "일본에 있어서의 집단적 자위권 문제에 관한 연구 ― 일본정부의 논리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76) : 327-337, 2008

      10 박진우, "일본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동북아역사재단 84-89, 2013

      11 김영권, "일본, 미사일 방어망 구축에 10년간 100억 달러 투입"

      12 김준섭, "일본 집단적 자위권 추구 역사는?" 360 : 14-15, 2013

      13 이면우, "일본 정계의 ‘우익’ 성향 강화와 동북아 : 보수세력 확산의 배경과 의미, 그리고 대외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세종연구소 2014

      14 김용복, "일본 우경화, 한일관계 그리고 동아시아: 과거사 갈등과 영토분쟁" 비판사회학회 (99) : 36-62, 2013

      15 고선규, "일본 아베정권의 보수우경화 경향과 향후 전망" 16 : 311-336, 2014

      16 호사카 유지,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독도문제" 2014

      17 김용수, "일본 ‘고노담화 작성때 한일간 문안조정 있었다"

      18 배정호, "오바마·시진핑 시대의 동북아 국가들의 국내정치 및 대외정책과 한국의 대북 및 통일외교 전략" 통일연구원 2013

      19 김성철, "오바마 대통령 아시아 순방 : 미일관계" 218 : 11-13, 2014

      20 김두승, "아베정권의 미일동맹정책과 한국의 안보― 미일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한일군사문화학회 16 : 3-39, 2013

      21 김용수, "아베 총리, 야스쿠니신사 전격 참배"

      22 조양현, "아베 총리 야스쿠니 참배 이후 한·일 관계, In 주요국제문제 분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4

      23 최재천 의원실, "아베 정권 이후, 日 의원 및 각료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급증"

      24 조준형, "아베 ‘현행 헌법은 점령군 영향···스스로 만들어야"

      25 김용수, "아베 ‘집단자위권 행사 가능하도록 헌법해석 변경"

      26 유웅조, "신 미·일방위협력지침의 주요내용 및 쟁점과 한국의 대응과제, In 이슈와 논점" 국회입법조사처 2015

      27 서승원, "시진핑과 아베 신조의 중일 관계: 군사·안보적 고려, 지정학적 환원주의, 그리고 민족주의 게임" 현대일본학회 (39) : 153-186, 2014

      28 HeraldK, "시진핑-푸틴 수천억 달러 규모 경제협력 합의"

      29 이동구, "미일동맹 강한 유대감, 완전 부활"

      30 정철호, "미·일동맹과 日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딜레마, In 정세와 정책" 세종연구소 2014

      31 노효동, "미 ‘과거사는 덮고가자’···한·중·일에 작심하고 촉구"

      32 박석원, "마주 달리는 한일... 한국민 13.9%만 일본 신뢰해최악"

      33 콘도 다이스케,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와 아베 신조의 야망"

      34 아산정책연구원, "국가수장 호감도"

      35 박형준, "美日 군사협력, 우주-사이버 공간까지 확대"

      36 노효동, "美, 日집단자위권 ‘환영’···헤이글 ‘자위대, 광범위한 작전"

      37 이세원, "日보수·우익, 고노담화 검증으로 부족···수정 압박"

      38 배극인, "日 정조회장 ‘고노담화 수정을"

      39 교도통신, "日 문부과학성, 교과서 검정기준 개정···‘정부 견해’ 명기"

      40 이우탁, "新밀월관계 신호탄 미·일정상회담"

      41 신민재, "中사회과학원 전문가 ‘중일관계 악화는 복합적 원인"

      42 홍제성, "中 ‘위안부 증거 산처럼 쌓여있어’···아베 발언 비난"

      43 Klingner, Bruce, "U.S.-Japan Security Agreement Enhances Allied Goals"

      44 Xu, Beina, "The U.S.-Japan Security Alliance"

      45 Chanlett-Avery, Emma, "Japan-U.S. Relations: Issues for Congress"

      46 Bowie, Nile, "Is Japan's Shinzo Abe Pivoting to the Past?"

      47 Rinehart, Ian E, "Ballistic Missile Defense in the Asia-Pacific Region: Cooperation and Opposition"

      48 Klingner, Bruce, "Abe's Yasukuni Visit Imperils Allied Security Interests"

      49 김용수, "<전쟁 가능한 일본> 아베 ‘脫전후’ 1단계 완료···다음은 개헌"

      50 김두승, "2013년 미일안보협의회의(2+2회의) : 평가와 전망. In 동북아안보정세분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5 1.00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