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1910-1945)동안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정책 = The French government's policy towar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21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treaty of 1910, for the Korea-Japan Annexation, Korea had lost her sovereignty and was placed under a Japanese colonial regime. Spurred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 1919, several provisional governments of Korea were established i...

      With the treaty of 1910, for the Korea-Japan Annexation, Korea had lost her sovereignty and was placed under a Japanese colonial regime. Spurred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 1919, several provisional governments of Korea were established in and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were finally unified in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GRK) in Shanghai, China, in September, 1919.The reason why the PGRK was established in Shanghai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rance was traditionally renowned for her tradition of protecting political refugees. The Korean revolutionary leaders in Shanghai, relying on the tolerance of the French consulate general in Shanghai, planned to launch 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oppression. The French government had indirectly supported the PGRK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France (PGRF) headed by General de Gaulle,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PGRK in Chungking, China.Despite the close and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PGRK and the PGRF, France did not officially recognize the PGRK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Even though she had only de facto recognized the PGRK, this gave moral support to the Korean revolutionary leaders who were in desperate need of support from the Allied powers. But, on top of all this, France could not officially recognize the PGRF. This was due mainly to the fact that France herself didn't fully recover from the aftermath of the Second World War and what's more, she was not in a position to challenge the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North East Asia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10년 한일 합방에 따라 한국은 국권을 상실하였고 한반도는 일제의 무단 식민지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1919년 국권회복을 위한 31 독립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

      1910년 한일 합방에 따라 한국은 국권을 상실하였고 한반도는 일제의 무단 식민지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1919년 국권회복을 위한 31 독립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민족의 독립을 위한 역량을 결집하기 위하여 1919년 9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되었다.상해 프랑스 조계에 우리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유는 프랑스의 전통적인 정치적 망명자 보호정책에 의지하여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이 일제의 탄압을 벗어나 자유롭게 독립운동을 하고자 함이었다. 프랑스 정부는 간접적으로 한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지원하였으며, 드골 장군이 수반으로 있던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는 중경주재 우리 임시정부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한반도에 대한 이해관계가 미미하였던 프랑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de facto) 승인을 함으로서 열강의 지원이 필요했던 우리 독립운동가들에게 희망과 힘을 주었다.그러나 프랑스는 한국 임정을 일제로부터 해방될 때까지 끝내 공식적으로 승인해 주지는 못하였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갓 열강의 지위를 회복한 프랑스가 극동문제 해결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었던 미국과 러시아의 입장을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한국 임시정부를 승인할 위치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한불 양국 임시정부간의 긴밀하고 우호적인 관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한반도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미미하였던 것에도 원인이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욱,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 오경평, "항전시기에 한국 임시정부의 승인에 대해 중국 국민 정부가 가졌던 태도에 관하여" 92 : 59-71, 1996

      3 1978,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적 성격" 59 : 1-43,

      4 한국정치외교사학회 논총 제2집, "한국독립운동과 열강관계" 평민사 1985

      5 1980, "한국 임시정부의 정부승인을 위한 외교활동에 관한 소고" 8 : 175-186,

      6 구대열,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2 - 해방과 분단" 역사비평사

      7 "프랑스 조계거주 한국인 2백명은 혁명가" 1990

      8 손과지, "일제시대 상해 한인사회 연구" 1998

      9 고영일, "알기쉬운 우리민족력사" 민족출판사

      10 허만, "드골의 외교정책론" 집문당 1997

      1 정용욱,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 오경평, "항전시기에 한국 임시정부의 승인에 대해 중국 국민 정부가 가졌던 태도에 관하여" 92 : 59-71, 1996

      3 1978,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적 성격" 59 : 1-43,

      4 한국정치외교사학회 논총 제2집, "한국독립운동과 열강관계" 평민사 1985

      5 1980, "한국 임시정부의 정부승인을 위한 외교활동에 관한 소고" 8 : 175-186,

      6 구대열,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2 - 해방과 분단" 역사비평사

      7 "프랑스 조계거주 한국인 2백명은 혁명가" 1990

      8 손과지, "일제시대 상해 한인사회 연구" 1998

      9 고영일, "알기쉬운 우리민족력사" 민족출판사

      10 허만, "드골의 외교정책론" 집문당 1997

      11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자료집 <제9집>:임시정부사"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1975

      12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자료집 <제8집>:임시정부사"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1974

      13 고정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과정에 대한 검토" 12 : 88-127, 2000

      14 국가보훈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역사적 재조명" 국가보훈처 1997

      15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지식산업사 2004

      16 국가보훈처, "대한민국임시정부 승인 관련문서: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 " 국가보훈처 1994

      17 한미수교100년사, "국제역사학회의 한국위원회 국제역사학회의 한국위원회" 1982

      18 박성수, "1940년대 임시정부의 승인외교와 조소앙" 23 : 24-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 1.92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