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여성사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여성사 서술 방향 모색 -전근대 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Women's History and the Direction of New Descriptions of Women's History in high school Textbook of ‘Korean History' -centering on the pre-moder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7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seventh curriculum was implemente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began to cover the family system of Korea and Joseon and the status of women under separate themes. In general, women's status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high, but it was s...

      After the seventh curriculum was implemente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began to cover the family system of Korea and Joseon and the status of women under separate themes. In general, women's status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high, but it was said that women's status decreased due to the spread of Sunglihak(性理學: Ju-Hee's teachings, a kind of study of Confucianism)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ason for the claim that the status of women in the Goryeo Dynasty was high was the Goryeo Dynasty wedding customs was monogamy in principle, secondly, a daughter was listed on the family register in order of age, and son and daughter inherited the same property. However, since the 17th century, the spread of Sunglihak(性理學) philosophy has led to decrease the treatment of women. For exemple, the eldest son inherited most of his parents' property and the son of a remarried woman, who cannot take an administrative test. From ancient times to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was no time in our history when it was not a principle of monogamy. in the case of property inheritance, even though even the middl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shows a uniform division,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describe the entire members of Joseon as if they had inherited their wealth to their eldest sons from the 17th century. It also does not seem appropriate to allow a woman to perceive the reason for her lower status as if it were only in the spread of Sunglihak(性理學).
      In the history textbooks to be used in the future, rather than stating that women's status was high at some time and low at some time, the focus should be on clarifying the unfair treatment historically imposed on women and allowing students to develop critical view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6차 교육과정이 시행된 이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고려와 조선의 가족제도와 여성의 지위에 관한 내용을 별도의 주제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고려시대에는 1부1처제가 원칙이었고 ...

      6차 교육과정이 시행된 이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고려와 조선의 가족제도와 여성의 지위에 관한 내용을 별도의 주제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고려시대에는 1부1처제가 원칙이었고 딸도 호적에 연령순으로 기재되었으며, 재산도 아들과 똑같이 상속받았던 것 등의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일상 생활면에서 남성과 거의 대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17세기 이후 성리학적 생활규범이 확산되면서 장자 위주의 상속이 이루어지고 재혼한 여성의 아들은 과거 시험을 칠 수 없게 되는 등 여성에 대한 대우가 낮아지게 되었다는 내용이 서술의 기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6차 교육과정 시기로부터 이미 수십년이 흘러 새로운 연구 업적의 축적이 상당히 이루어졌고, 여성사를 보는 시각도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과서에서도 그 서술 기조가 그대로 답습되고 있다.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역사에서 ‘원칙적으로’ 1부1처제를 취하지 않았던 시대는 없었다. 재산 상속의 경우에도 조선의 경우 18세기 중엽까지도 균분상속이 나타나고 있는데, 17세기를 기점으로 마치 조선 사회 전체가 장자 위주의 상속으로 바뀐 것처럼 서술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여성의 지위가 낮아진 원인을 오직 성리학의 확산에만 있는 것처럼 인식하도록 하는 것도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앞으로 사용될 역사 교과서에서 여성에 관한 내용은 여성의 지위가 ‘가정 내에서’ 어느 시대에는 높았고, 어느 시대에는 낮았다는 것을 단정적으로 서술하기보다는, 사회ㆍ경제적인 측면에서 여성들이 어떤 처우를 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학생들로 하여금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동역사"

      2 주진오, "한국여성사 깊이 읽기" 푸른역사 2013

      3 김경미, "조선후기 여성의 노동과 경제활동:18~!9세기 양반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8 (28): 85-117, 2012

      4 이헌창, "조선의 일상, 법정에 서다" 역사비평사 2013

      5 정종수, "조선양반의 일생" 글항아리 2009

      6 문숙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경인문화사 2004

      7 정해은, "조선시대 여성사 연구,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역사연구회 (91) : 317-338, 2014

      8 김미란,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전기문 연구" 평민사 2016

      9 사라 에번스,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10 이성임, "일기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사회사-17세기 전반 예안현 사족의 의례 생활편(박종천)" 새물결 출판사 2014

      1 "해동역사"

      2 주진오, "한국여성사 깊이 읽기" 푸른역사 2013

      3 김경미, "조선후기 여성의 노동과 경제활동:18~!9세기 양반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8 (28): 85-117, 2012

      4 이헌창, "조선의 일상, 법정에 서다" 역사비평사 2013

      5 정종수, "조선양반의 일생" 글항아리 2009

      6 문숙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경인문화사 2004

      7 정해은, "조선시대 여성사 연구,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역사연구회 (91) : 317-338, 2014

      8 김미란,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전기문 연구" 평민사 2016

      9 사라 에번스, "자유를 위한 탄생 : 미국 여성의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10 이성임, "일기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사회사-17세기 전반 예안현 사족의 의례 생활편(박종천)" 새물결 출판사 2014

      11 P.B.이브리, "송대 중국 여성의 결혼과 생활" 한국학술정보(주) 2009

      12 "세종실록"

      13 미야지마 히로시, "미야지마 히로시의 양반" 너머북스 2014

      14 권순형, "고려시대 여성의 여가 생활과 명절 풍속" 이화사학연구소 (34) : 161-192, 2007

      15 "고려사"

      16 박병호, "고려말의 노비증여문서와 입안, 법사상과 민사법" 박영사 1979

      17 오치훈, "고려 전시과의 운영과 영업전·구분전" 한국사학회 (131) : 133-166, 2018

      18 김선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대 여성 관련 서술 검토" 한국여성사학회 (24) : 1-30, 2016

      19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미래엔 2014

      20 "경국대전"

      21 신유아, "朝鮮前期 祿俸의 頒給과 官僚家計" 역사교육연구회 (114) : 279-323, 2010

      22 권순형, "『한국사』 교과서 고려시대 여성 관련 서술에 대한 분석과 제안" 한국여성사학회 (24) : 31-60, 2016

      23 정현백, "‘여성사 쓰기’에 대한 (재)성찰" 역사교육연구회 (102) : 163-20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