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왕실 보록(寶盝)의 제작과 율삭형(栗削形) 기형 연구 = A study on Making and Symbol of Joseon Royal Seal Contain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5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and inferred the symbol and meaning of royal seal container(寶盝)’sshape. In ancient times, people keep valuables in chest with trapezoid shaped lid(in Koreanshape like a cut chestnut) to keep them safely. Trapezoid shaped lid m...

      This paper studied and inferred the symbol and meaning of royal seal container(寶盝)’sshape. In ancient times, people keep valuables in chest with trapezoid shaped lid(in Koreanshape like a cut chestnut) to keep them safely. Trapezoid shaped lid means top of the lid is cutoff edges and it is distributed widely in Korea from the Three Stated era to Japanese colonialera. The oldest chest with trapezoid shaped lid existing in Korea is a reliquary from Three Statedera, Nageon Gyeongham(a lacquered container of Buddhist texts inlaid with mother-of pearl)from Goryeo -era and royal seal container of Joeseon Dynasty. The royal seal container, whichis the representative chest with Trapezoid shaped in Joseon Dynasty is the outer containerof Joseon royal seal. It is made since Joseon is established to Japanese colonial era for entireperiod of Joseon Dynasty. As a single craft, It is mad for the most long period. In present day,320 pieces of royal seal container exist. We can figure the form of trapezoid shaped lid andtransition of making technique.
      Making technique study referred 『BoinsoUigwe』. It is one of the most specific recordof royal seal making. Based on Uigwe record, inferred the symbol and meaning of royal sealcontainers’s shape.
      Through foreign and Korean examples, inferred the origin, symbol and meaning of chest withtrapezoid shape lid. First, it followed the appearance of the valuable the container contained.
      Second, it is made to show the dignity of royal family. Third, architecture influenced to itsmaking. As these results are mainly based on the symbol and meaning of royal seal container, it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results to other chests or containers. It would be compensatedwith following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어보를 보관하던 함인 보록(寶盝)의 제작과 그 기형이 갖는 의미를 추론한 논문이다. 전통사회에서는 특히 귀중한 물건을 함(函)에 담을 경우 율삭형(栗削形) 뚜껑의 함에 보관했다. ...

      본고는 어보를 보관하던 함인 보록(寶盝)의 제작과 그 기형이 갖는 의미를 추론한 논문이다. 전통사회에서는 특히 귀중한 물건을 함(函)에 담을 경우 율삭형(栗削形) 뚜껑의 함에 보관했다. 율삭형 뚜껑이란, 뚜껑윗부분의 모서리를 둥글게 모죽임을 한 뚜껑의 형태를 말하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폭넓게 나타난다. 현존하는 한국의 함 중에서 율삭형 뚜껑은 고대 삼국의 사리함(舍利函), 고려의 나전경함(螺鈿經函) 그리고 조선왕실의 보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율삭형 뚜껑 함인 조선왕실의보록은 어보를 담는 외함(外函)이다. 보록은 조선건국 이후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제작되었다. 단일 기물로는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제작된 기물이다. 현존하는 유물은 320여 점에 달하며 이를 통해 율삭형 뚜껑 함의 양식과 제작 기술의 변천을 알아볼 수 있다.
      보록의 제작 기술은 조선시대 보인(寶印)에 관한 가장 구체적인 기록 중 하나로 보인 제작의 전 과정이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를 참고했다.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궁중 보인의 제작및 수보 과정을 알 수 있다. 각 기물들의 도상과 상세 규격, 제작소요 물자의 종류 및 수량, 참여 장인, 조선시대 보인과 그 개수(改修) 작업 전반에 관련된 정보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율삭형 기형이 가진 의미를 추론했다.
      국내 사례와 해외 사례를 통해 보록의 율삭형 뚜껑 형상의 기원과 상징을 찾아보았다. 율삭형 기형이 갖는 기원과 상징은 첫째, 보관 기물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기물의 외형선 형태를 따랐다. 둘째, 긴장감과 위계를 보여주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셋째, 건축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형상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추론한 결과는 조선왕실의 보록을 중심으로 추론한 결과이기에 모든 율삭형 뚜껑 함의 의미까지포괄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

      2 김삼대자, "한눈에 보는 소목"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3

      3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4 정대영, "한국의 장" 동인방 2002

      5 남경숙, "한국 전통가구"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8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999

      7 "태종실록(太宗實錄)"

      8 "중국고궁박물원"

      9 주경미,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 위진남북조수당시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문화재청, "조선왕실의 御寶 제2권" 문화재청 2010

      1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

      2 김삼대자, "한눈에 보는 소목"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3

      3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4 정대영, "한국의 장" 동인방 2002

      5 남경숙, "한국 전통가구"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8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999

      7 "태종실록(太宗實錄)"

      8 "중국고궁박물원"

      9 주경미,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 위진남북조수당시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문화재청, "조선왕실의 御寶 제2권" 문화재청 2010

      11 문화재청, "조선왕실의 御寶 제1권" 문화재청 2010

      12 임현우, "조선시대 어보 연구 : 구 종묘 소장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13 김재원, "조선시대 가구의 형태에 따른 구성요소와 목리의 상관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4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15 하수민,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 연구-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222-239, 2019

      16 김삼대자, "전통 목가구" 대원사 2000

      17 김삼대자, "왕의 상징 어보 御寶" 국립고궁박물관 2012

      18 국립고궁박물관, "왕의 상징 어보 : 2012년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국립고궁박물관 2012

      19 "송사(宋史)"

      20 "삼국유사(三國遺事)"

      2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2 국립고궁박물관, "꾸밈과 갖춤의 예술, 장황 :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국립고궁박물관 2008

      23 "국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24 "국역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

      25 "국역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景慕宮樂器造成廳儀軌)"

      26 "국립중앙박물관"

      27 "국립고궁박물관"

      28 "고려사(高麗史)"

      29 "간쑤성박물관"

      30 Edward Lucie-Smith, "가구의 역사" 技文堂 1992

      31 주경미, "韓國 古代 佛舍利莊嚴에 미친 중국의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235 : 2002

      32 白文, "法门寺地宫八重舍利宝函上的毗卢遮那佛的图像研究" 山西省文物局 (1) : 2010

      33 이혜원, "朝鮮末期 王室 儀禮用 木家具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34 姜万吉, "朝鮮時代 商工業史硏究" 한길사 1984

      35 Charles Boyce, "Dictionary of Furniture" Skyhorse 2014

      36 Vasiliki Kamperidou, "Ancient greek furniture: source of inspiration for the designers and manufacturers of modern times"

      37 Aletta Maria Pepler-Harcombe, "Ancient Egyptian furniture in context: from ancient production, preservation to modern-day reconstruction and conservation"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11

      38 김삼대자, "< 洪武二十一年戊辰四月> 銘 가구의 양식과 명문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71272 (271272): 45-7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