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육식문화에 대한 일고(一考) = Practice of Eating Meat in Choseo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4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동물을 다루는 관행인 육식(肉食)에 관한 조선시대 지식인의 기록 속 정서와 논의를 유형화하고 육식에 대한 당대 인식의 일면을 살펴본다. 조선시대 기록에서 육식은 전반적으로 예...

      본고는 동물을 다루는 관행인 육식(肉食)에 관한 조선시대 지식인의 기록 속 정서와 논의를 유형화하고 육식에 대한 당대 인식의 일면을 살펴본다. 조선시대 기록에서 육식은 전반적으로 예법에 관련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육식에 대한 부정적 논의는 주로 국가 규범에의 순응, 동물의 노동에 대한 감사, 동물의 고통에 대한 공감, 고기는 불결하다는 인식에 주로 기반했다. 부정 논의의 중심은 소와 소고기였으며 이것은 당대 육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명에 대한 광범위한 존중이라기보다는 농경사회에서 소의 경제성에 기반한 것임을 시사한다. 육식 긍정의 논의는 크게 육류를 먹는 행위가 정상이며, 자연스럽고, 필요하다는 인식에 기반하며 이에 따라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은 유별나거나 부자연스러우며, 인간의 이익을 존중하지 않는 것으로 기록했다. 육식을 긍정하는 논의에서는 동물을 개별 개체가 아닌 집단으로 추상화하는 몰개성화, 인간에게 죽임을 당해도 되는 동물과 아닌 동물로 나누는 이분화, 과거 행동을 들어 현재 행위를 지지하는 전통화의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육식에 부정적인 정서와 논의를 펼친 소수의 문인이 있으나 그러한 행위가 보편타당한 진리라거나, 현행 제도의 변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나 공감을 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이는 동물 먹거리에 윤리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자각이 과거부터 존재했었고 지식인들도 일찍이 이러한 문제의식에 공감했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육식은 이상적 가치의 실천 논의에서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현실적 조건의 중요성을 드러낸 경우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최일범, "환경윤리의 가치이론에 대한 유교적(儒敎的) 해석" 동양철학연구회 (49) : 399-426, 2007

      2 조제프 R. 데자르댕, "환경윤리" 연암서가 2017

      3 성경일, "한우문화 이야기: 육식문화의 역사 및 한민족의 정체성" 강원대학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1-350, 2017

      4 임장혁, "한국의육식문화" 국립문화재연구원 (33) : 274-307, 2000

      5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6 안용근, "한국의 개고기 식용의 역사와 문화" 한국식품영양학회 12 (12): 387-396, 1999

      7 "한국고전종합DB"

      8 고태우, "한국 근대 생태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 : 31-70, 2016

      9 "택당집(澤堂集) 권 6"

      10 "택당선생별집(澤堂先生別集) 권 6"

      1 최일범, "환경윤리의 가치이론에 대한 유교적(儒敎的) 해석" 동양철학연구회 (49) : 399-426, 2007

      2 조제프 R. 데자르댕, "환경윤리" 연암서가 2017

      3 성경일, "한우문화 이야기: 육식문화의 역사 및 한민족의 정체성" 강원대학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1-350, 2017

      4 임장혁, "한국의육식문화" 국립문화재연구원 (33) : 274-307, 2000

      5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6 안용근, "한국의 개고기 식용의 역사와 문화" 한국식품영양학회 12 (12): 387-396, 1999

      7 "한국고전종합DB"

      8 고태우, "한국 근대 생태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 : 31-70, 2016

      9 "택당집(澤堂集) 권 6"

      10 "택당선생별집(澤堂先生別集) 권 6"

      11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 4, 50"

      12 "지봉유설(芝峯類說) 권 3"

      13 "중종실록(中宗實錄) 권 17"

      14 전경목, "조선후기 소 도살의 실상" 조선시대사학회 (70) : 169-205, 2014

      15 이상균, "조선후기 家獐慣行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58) : 169-188, 2018

      16 김승우 ; 차경희, "조선시대 고문헌에 나타난 소고기의 식용과 금지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0 (30): 64-76, 2015

      17 김동진 ; 이항, "조선시기 한국인과 한국범의 관계 변화" 호서사학회 (58) : 155-185, 2011

      18 김동진, "조선, 소고기 맛에 빠지다" 위즈덤하우스 2018

      19 마이클 폴란, "잡식동물의 딜레마" 다른세상 2008

      20 이기훈, "윤리적 육식주의의 가능성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135-157, 2019

      21 김학택, "윤리 공동체의 범위와 육식의 윤리성" 범한철학회 39 (39): 133-155, 2005

      22 제레미 리프킨, "육식의 종말" 시공사 2002

      23 최지원, "유학자들의 동물원" 알렙 2015

      24 멜라니 조이,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육식주의를 해부한다" 모멘토 2011

      25 윤여태, "우리나라 역사 속 고양이 이야기" 피아리스 2020

      26 "용재총화(慵齋叢話) 권 3"

      27 "영조실록(英祖實錄)권 107, 114"

      28 "숙종실록(肅宗實錄) 권 14"

      29 "세종실록(世宗實錄) 권 48"

      30 "성호사설(星湖僿說) 권 11, 12, 13, 17."

      31 "성종실록(成宗實錄) 권 256"

      32 "성재집(省齋集) 권 44"

      33 김해옥, "생태문학론" 새미 2005

      34 "삼봉집(三峯集) 권 5"

      35 리처트 불리엣, "사육과 육식" 알마 2008

      36 "백사집(白沙集)"

      37 신동일 ; 지현숙, "문화·예술·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둔 한국학 교육과정의 재설계" 국어교육연구소 (36) : 149-178, 2015

      38 "문종실록(文宗實錄) 권 1"

      39 김성한, "무엇을 먹어야 하는가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육식과 채식 사이에서 선택의 문제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52) : 1-22, 2010

      40 한면희, "동아시아문명과 한국의 생태주의" 철학과 현실사 2009

      41 마크 론랜즈, "동물의 역습" 달팽이출판 2004

      42 최훈, "동물의 도덕적 지위와 육식은 동시에 옹호 가능한가?" 중앙철학연구소 36 : 207-241, 2014

      43 조너선 사프란 포어,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민음사 2011

      44 최훈, "동물윤리 대논쟁" 사월의 책 2019

      45 캐서린 그란트, "동물권, 인간의 이기심은 어디까지인가?" 이후 2012

      46 정결, "동물 윤리의 도덕적 접근법" 새한철학회 104 (104): 303-322, 2021

      47 김진석, "동물 권리와 복지의 이해" 한국실험동물학회 15-30, 2001

      48 "동문선(東文選) 권 55"

      49 "동국이상국후집(東國李相國後集) 권 6"

      50 "대동기문(大東奇聞) 권 4"

      51 "단종실록(端宗實錄) 권 2"

      52 "기축록 하(己丑錄下)"

      53 "기산풍속도첩(箕山風俗圖帖), 동저상(冬猪商)" 네덜란드 국립민족학박물관

      54 "기산풍속도첩(箕山風俗圖帖), 개백정"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55 김유미, "국외의 동아시아 연구와 한국학 동향 -전근대 생태문학에 관한 영어권 저서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76) : 133-160, 2022

      56 "구사당속집(九思堂續集) 권 3"

      57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권 1"

      58 한의숭, "고전 산문을 통해 본 ‘人間’·‘生態’·‘資本’의 양상과 포스트 휴머니즘" 인문학연구소 (56) : 317-347, 2020

      59 "고려사(高麗史) 권 30"

      60 정혜경, "고기의 인문학" 따비 2019

      61 남유철, "개를 위한 변명:보신탕과 동물 권리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유미디어 2005

      62 박종구, "개고기 식용문화는 야만적인가, 아니면 한국 고유 음식문화인가에 대한 문화상대론적 논의" 한국관광학회 41 (41): 217-234, 2017

      63 "가정집(稼亭集) 권 15"

      64 金相洪, "韓國 漢文學과 生態의 問題" 한국한문학회 (33) : 7-31, 2004

      65 김동진, "15~19세기 한반도 산림의 민간 개방과 숲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03) : 77-118,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