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임종 장례 일기 연구 = A Study on the Diary of the Deathly funeral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0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ath-bed funeral diary deals with the death-bed and funeral process. One of his closest aides records on behalf of the dead. The diary is a daily routine recorded by date, so the writer is of course the person who wrote it, but in the case of the...

      The death-bed funeral diary deals with the death-bed and funeral process. One of his closest aides records on behalf of the dead. The diary is a daily routine recorded by date, so the writer is of course the person who wrote it, but in the case of the death funeral diary, it is a record for others.
      Usually, death-bed funeral diaries begin with almost impossible recovery and cover the moment of death or the process of funeral. It varies from diary to diary, but it covers a short period of about a month. Since the term “gojonggi,” which is now commonly used, mainly deals with dying, it seems appropriate to describe it as a deathbed funeral diary in the exact terms.
      The most notable thing in the dying diary is the appearance of death. Without cutting off daily life, the body continued to reach its limit and the attitude toward people was polite. When the condition became critical, he no longer focused on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At the last minute of his life, he moved to Jeongchim and passed away leaving a will to the people around him.
      Watching other people die can also be a necessary study to check my life. It is time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life that has lived in their deaths so far, and to readjust the meaning of the days ahead. The path they’ve gone is the one I have to go. The death-bed funeral diary is a good story for not only researcher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well-dy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임종 장례 일기는 임종과 장례 과정을 다루고 있다. 죽은 사람을 대신해 그의 가장 측근 중 한 사람이 기록한다. 일기는 날짜별로 기록된 자신의 일상이니 당연히 작성자 또한 본인이 되지만...

      임종 장례 일기는 임종과 장례 과정을 다루고 있다. 죽은 사람을 대신해 그의 가장 측근 중 한 사람이 기록한다. 일기는 날짜별로 기록된 자신의 일상이니 당연히 작성자 또한 본인이 되지만, 임종 장례 일기의 경우는 타인을 대상으로 한 기록이다.
      통상 임종 장례일기는 회복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서 시작하여 임종의 순간이나 장례의 과정을 다룬다. 일기마다 차이가 있지만 1달 안팎의 짧은 기간을 다루고 있다. 지금 흔히 쓰는 考終日記란 용어는 임종을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용어로는 임종 장례 일기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임종 일기에서 가장 주목할 것은 죽음을 맞는 모습이다. 죽음이 두렵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평생 동안 했던 공부가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 증명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일상의 생활을 단절하지 않고 육신이 한계치에 이를 때까지 지속했으며 사람들에 대한 태도는 정중했다. 이 모든 것에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심이 바탕이 되었다. 제자들에 대한 강론을 지속하고 문병객들을 상대했다.
      병세가 위중해지면 더 이상 무의미한 연명 치료에 집중하지 않았다. 본인의 몸에서 보내오는 죽음의 증후를 인정하며 의원을 청하거나 약을 먹지 않고, 음식 섭취를 줄여나갔다. 몹시 위중해지면 남에게 배변을 위한 도움을 받거나 노출이 불가피할 때도 극도로 조심했다. 생애 마지막 순간에 임박하며 정침으로 자리를 옮기고 주변 사람들에게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타인의 죽음을 보는 것도 내 삶을 점검하는데 필요한 공부가 될 수 있다. 그들의 죽음에서 지금까지 살아 왔던 삶의 의미를 반추하고, 앞으로 살아갈 날의 의미를 재조정하는 시간이 된다. 그들이 갔던 길이 곧 내가 가야 할 길이다. 임종 장례 일기는 연구자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웰다잉의 의미를 재고할 수 있는 좋은 이야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현,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현황과 과제" 호남학연구원 (58) : 41-72, 2015

      2 김미선, "호남문집 소재所載 일기류 자료의 현황과 가치" 한국국학진흥원 (31) : 517-554, 2016

      3 "호남기록문화유산"

      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5 "한국학자료센터"

      6 이인철, "퇴계 고종기(考終記)의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44) : 229-253, 2011

      7 이욱, "최흥원의『역중일기曆中日記 』에 나타난 상 제례 운영의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38) : 39-76, 2019

      8 이망호, "청구일기(靑邱日記)" 한국고전문화연구원 5 : 1993

      9 김기주, "청구일기 해제 (靑邱日記 解題)" 한국고전문화연구원 5 : 1993

      10 김미영, "조선후기 상례의 미시적 연구-정재 류치명의 상례일기 『考終錄』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12 : 237-257, 2008

      1 김대현,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현황과 과제" 호남학연구원 (58) : 41-72, 2015

      2 김미선, "호남문집 소재所載 일기류 자료의 현황과 가치" 한국국학진흥원 (31) : 517-554, 2016

      3 "호남기록문화유산"

      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5 "한국학자료센터"

      6 이인철, "퇴계 고종기(考終記)의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44) : 229-253, 2011

      7 이욱, "최흥원의『역중일기曆中日記 』에 나타난 상 제례 운영의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38) : 39-76, 2019

      8 이망호, "청구일기(靑邱日記)" 한국고전문화연구원 5 : 1993

      9 김기주, "청구일기 해제 (靑邱日記 解題)" 한국고전문화연구원 5 : 1993

      10 김미영, "조선후기 상례의 미시적 연구-정재 류치명의 상례일기 『考終錄』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12 : 237-257, 2008

      11 김지은, "정재 류치명의 문인록과 문인집단의 분석" 조선시대사학회 (85) : 281-318, 2018

      12 이욱, "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림의 일상세계" 새물결 2019

      13 조은숙, "이문건 시묘살이를 통해 본 조선중기 유자(儒者)의 상례(喪禮)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3) : 153-184, 2016

      14 Biontino Juljan, "윤치호의 ‘죽음’과 장례문화 인식 - 『윤치호 일기』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66) : 175-214, 2015

      15 "유교넷"

      16 류용환, "우암 송시열의 상장례에 관한 연구 : 「초산일기」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5

      17 김호,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의 병상(病床) 기록 『정청일기(政廳日記)』" 태학사 (13) : 2000

      18 전성운, "상록류(喪錄類) 문헌 자료의 존재 양상과 의미" 한국언어문학회 (74) : 343-370, 2010

      19 이윤우, "봉산욕행록(蓬山浴行錄)" 성주문화원 2016

      20 노관범, "문인들의 일기에 나타난 을사년 겨울 송병선(宋秉璿)의 순국" 大田廣域市史編纂委員會 (14) : 168-, 2005

      21 이상정, "대산선생실기" 한국국학진흥원 2012

      22 "남명학고문헌시스템"

      23 "국학진흥원 일기류 DB"

      24 박균섭, "고종기를 통해 본 퇴계의 인격" 퇴계연구소 (49) : 73-98, 2011

      25 沈遠悅, "鶴陰散稿"

      26 유영옥, "鶴峯 金誠一의 父親喪 行禮 儀節" 동양한문학회 21 : 2005

      27 이석주, "退溪의 ‘學以終身’과 ‘老年의 공간’" 한국사상문화학회 (79) : 387-417, 2015

      28 정병호, "蹈海日記 譯註 및 原文 標點" 택민국학연구원 (13) : 311-328, 2014

      29 金相壽, "草廬文集"

      30 金正漢, "芝谷集"

      31 정병호, "自靖殉國日記와 韓末 嶺南 선비의 形象 -『靑邱日記』와 『蹈海日記』를 대상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3) : 5-32, 2010

      32 오용원, "考終日記와 죽음을 맞는 한 선비의 日常 -大山 李象靖의 「考終時日記」를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0) : 113-147, 2009

      33 이상주, "禹仁圭의 『哀感錄』에 대한 고찰" 온지학회 (50) : 35-93, 2017

      34 이현진, "碩齋 尹行恁의 禮學과 喪禮 인식 -『泣血錄』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34) : 183-229, 2010

      35 金道鉉, "碧山先生文集, 역대문집총서"

      36 黃汝一, "海月軒癸未日記"

      37 奇宇萬, "松沙先生拾遺, 역대문집총서"

      38 南極曄, "愛景堂遺稿"

      39 김시황, "圃隱 鄭先生의 生涯와 禮學思想" 포은학회 6 : 5-34, 2010

      40 이인철, "君子有終의 敎育的 含意 − 退溪 考終記를 中心으로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17) : 5-30, 2011

      41 金寗漢, "及愚齋集"

      42 金相頊, "勿窩先生文集"

      43 郭漢紹, "勉菴先生對馬島返柩日記"

      44 한영미, "「蓬山浴行錄」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45 김경숙, "18세기말 順菴 安鼎福家의 喪葬禮와 居喪生活" 한국고문서학회 50 : 229-252, 2017

      46 박주, "18세기 후반 경상도 거창군 효자 3형제의 여묘생활— 金謹樞의 『廬墓日記』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73) : 107-132, 2014

      47 김윤정, "18세기 사복師服의 성격과 실제 ― 양응수의 「축장일기」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23) : 465-498, 2013

      48 정진영, "18세기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일상의례, 喪禮와 祭禮 -百弗庵 崔興遠의 『曆中日記』(1735~1786)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73) : 531-575, 2019

      49 김경숙, "17세기말 사대부가의 喪葬禮와 居喪生活 - 尹爾厚의 『支菴日記』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72) : 189-221, 2016

      50 김윤정, "16~17세기 예천권씨가(醴泉權氏家)의 친족관계와 의례생활 - 초간일기와 죽소부군일기를 중심으로 -" 국립민속박물관 (36) : 131-157, 2015

      51 최흥호, "(국역) 백불암선생언행록" 慶州崔氏漆溪派宗中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