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단군부정론과 고조선 영역축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중심으로- = A denial of the Dangun and the reduction of the Gojoseon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Oda Shogo and Imanishi Ry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9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 sough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peninsula rule by distorting Dangun and Dangun Joseon. Japanese scholars who led the distortion of history of Dangun and Dangu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 sough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peninsula rule by distorting Dangun and Dangun Joseon. Japanese scholars who led the distortion of history of Dangun and Dangu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clude Oda Shogo and Imanishi.
      Oda Shogo said that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by Buddhist figur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re was no related record before that. The Dangun myths described in the Samguk Yusa are accompanied by Buddhist, but this happens naturally because the recorder, Ilyeon, was a monk. Anyone can reflect their personal perception, feelings, and ideological background when describing history book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Dangun myths contains not only Buddhism but also Tao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religious elements.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of Dangun myth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mythology, archaeology and literature. There were studies on the bear totem mythology, ancient mother mythology,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the Jian area, and the faith of 'Jecheon and Jeho' in Dongye.
      On the other hand, Imanishi Ryu said that Joseon was overwhelmed by the forces of the Yan Dynasty and retreated to the south of the Daedong River, and Yan and Jin occupied the north of the Daedong River. He is a complete disregard for the history of Gojoseon.
      However, the fact that Gojoseon already existed before the Gojoseon-Yan war has been proven in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tudies. The record of 'Baljoseon' described in Guanzi and the non-wave-like bronze sword culture in northeast China tell the historical situation of Gojoseon before the Chosunhou' rule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Gojoseon and Yan is the manpanha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anishi Ryu's view to limit the area of Gojoseon to some parts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wrong.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d no interest in restoring the history of Dangun, Dangun Joseon, or Gojoseon. Today, Korean historians can say that most of the remnants of colonial history have been liquidated, but the critical review of Japanese scholars' distortion of histor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사 왜곡을 통해 한반도 통치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통칭 ‘식민사관’으로 통하는 역사작업 중 일제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분야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한왜...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사 왜곡을 통해 한반도 통치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통칭 ‘식민사관’으로 통하는 역사작업 중 일제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분야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한왜곡이었다. 이 작업에 가장 앞장섰던 일본인 학자로는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들 수 있다.
      오다 쇼고의 단군전승에 대한 언급 중에서 주목해서 검토할 만한 주장은 고려 후기 불교계인물이 날조했다는 것, 충렬왕 이전에 단군전승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한부분이다. 우선, 오다 쇼고의 주장처럼 『삼국유사』에 기술된 단군전승에는 불교적 윤색이 가미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삼국유사』의 기록자가 일연이라는 승려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누구라도 역사서를 기술할 때 자신의 개인적 인식이나 감정, 사상적 배경이 반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국유사』 이전에 단군전승을 기록한 문헌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학계에서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신화학, 고고학, 문헌학 방면에서 이를 극복할만한 많은 연구 업적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마니시 류는 조선이 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세력에 압도되어 열수, 즉 대동강 남쪽까지 후퇴했고 연나라와 진나라는 대동강 북쪽까지 점유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전 고조선의역사는 철저히 무시되었다. 그렇지만 고조선-연나라 항쟁 과정 이전에 고조선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은 문헌과 고고학 방면의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 『관자』에 기술된 발조선과 아울러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춘추시대 혹은 전국시대 초반 고조선의 존재를 알려준다.
      그리고 고조선과 연나라의 경계에 대해서는 『위략』에서 만번한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현재만번한은 문현과 번한현의 합성어로 보고 있는데, 이는 『한서』 「지리지」의 <요동군>조에 나오고 있다. 그리고 연나라의 침입 이전 고조선은 요동 지역에서 정가와자유형의 문화를 기반으로하였다는 점에서 고조선의 영역을 한반도 서북부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려는 이마니시 류의견해는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단군과 단군조선 혹은 고조선에 대한 역사 복원에는 아무런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단군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이 또한 연나라와 항쟁하던 전국시대 후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선에 그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학계는식민사학의 잔재를 대부분 청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 왜곡에 대한 분석과 비판적 검토 작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고조선사의 진면목이 더욱 부각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강원, "遼寧 ~韓半島地域 琵琶形銅劍과 細形銅劍의 劍柄頭飾 硏究" 고구려연구재단 2 : 2004

      2 김정배,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3 徐榮洙, "한국사시민강좌 제2집" 일조각 1988

      4 김정배, "한국민족문화의 기원" 고려대출판부 1973

      5 김재원, "한국과 중국의 고고미술" 문예출판사 2000

      6 조법종, "한국 고대사회의 고조선단군인식 연구- 고조선고구려시기 단군인식의 계승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3) : 147-172, 2005

      7 김재희, "유라시아 곰 신앙과 단군신화의 쑥과 마늘을 통해 본 웅녀의 재해석" 한국민속학회 67 : 31-58, 2018

      8 정상우, "식민주의 역사학 속의 일본과 중국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任那日本府 및樂浪․帶方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2) : 9-45, 2021

      9 小田省吾, "소위 단군전설에 대하여, 일본인의 단군연구"

      10 今西龍, "상고―원시시대 및 개국전설, 일본인의 단군연구"

      1 오강원, "遼寧 ~韓半島地域 琵琶形銅劍과 細形銅劍의 劍柄頭飾 硏究" 고구려연구재단 2 : 2004

      2 김정배,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3 徐榮洙, "한국사시민강좌 제2집" 일조각 1988

      4 김정배, "한국민족문화의 기원" 고려대출판부 1973

      5 김재원, "한국과 중국의 고고미술" 문예출판사 2000

      6 조법종, "한국 고대사회의 고조선단군인식 연구- 고조선고구려시기 단군인식의 계승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3) : 147-172, 2005

      7 김재희, "유라시아 곰 신앙과 단군신화의 쑥과 마늘을 통해 본 웅녀의 재해석" 한국민속학회 67 : 31-58, 2018

      8 정상우, "식민주의 역사학 속의 일본과 중국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任那日本府 및樂浪․帶方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2) : 9-45, 2021

      9 小田省吾, "소위 단군전설에 대하여, 일본인의 단군연구"

      10 今西龍, "상고―원시시대 및 개국전설, 일본인의 단군연구"

      11 袴田光康, "삼국유사에 있어서의 환인과 제석 -일본의 천신신앙을 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연민학회 14 : 2010

      12 하정룡, "삼국유사 사료비판" 민족사 2005

      13 조경철, "삼국유사 기이편의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4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와 요서지역의 청동기문화" 청계 2006

      15 강룡남, "단군에 대한 고구려사람들의 리해와 숭배" 96 (96): 1996

      16 盧泰敦,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17 盧泰敦,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18 서영대,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19 리지린, "고조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64

      20 박선미,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 화폐" 학연문화사 2009

      21 박선미, "고고학 자료로 본 위만조선의 문화 성격 – 평양 일대의 고분을 중심으로 –" 동양학연구원 (53) : 247-276, 2013

      22 김성수, "高句麗와 古朝鮮의 正體性 확인을 위한 三國遺事 紀異篇의 書誌的 分析" 한국서지학회 29 : 2004

      23 "資治通鑑"

      24 "讀史方輿紀要"

      25 申采浩, "譯註 朝鮮上古文化史" 丹齋申采浩先生紀念事業會 1998

      26 "說文解字"

      27 "舊唐書"

      28 "與猶堂全書"

      29 趙鎭先, "細形銅劍文化의 硏究" 학연문화사 2005

      30 "管子"

      31 오현수, "箕子傳承의 형성과정 연구" 고려사학회 (65) : 51-87, 2016

      32 오현수, "箕子 전승의 확대 과정과 그 역사적 맥락 ― 중국 고대 문헌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79) : 147-182, 2012

      33 오강원, "琵琶形銅劍~細形銅劍 T字形 靑銅製劍柄의 型式과 時空間的 樣相" 韓國上古史學會 41 : 2003

      34 "漢書"

      35 "淮南子"

      36 "水經注"

      37 金載元, "檀君神話의 新硏究" 探求堂 1976

      38 田中俊明, "檀君神話の歷史性をめぐって -史料批判の再檢討-" 4 (4): 1982

      39 吳江原, "東北亞地域 扇形銅斧의 型式과 視空間的 樣相" 江原考古學會 2 : 2003

      40 小田省吾, "朝鮮史大系" 朝鮮史學會 1927

      41 "春秋左氏傳"

      42 吳江原, "昌黎縣 位置에 관한 一考察 -古朝鮮 位置문제와 관련하여-" 韓國精神文化硏究院 淸溪史學會 13 : 1997

      43 小田省吾, "文敎の朝鮮" 朝鮮教育會 1926

      44 "括地志"

      45 최혜주, "小田省吾의 교과서 편찬활동과 조선사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7) : 279-314, 2010

      46 "史記"

      47 조법종, "古朝鮮關聯硏究의 現況과 課題 -단군인식을 중심으로-" 단군학회 1 : 1999

      48 "前漢紀"

      49 이근우, "今西龍의 단군신화 연구와 神話素" 한일관계사학회 (74) : 3-42, 2021

      50 丁仲煥, "三國遺事 紀異篇 古朝鮮條에 引用된 魏書에 對하여" 대구사학회 12ㆍ13 : 1977

      51 "三國遺事"

      52 "三國志"

      53 "三國史記"

      54 오현수, "『사기』 「조선열전」 기재 ‘秦故空地上下鄣’에 대한 검토 -秦故空地上下鄣의 공간적 범위와 기능-" 고려사학회 (70) : 45-71, 2018

      55 오현수, "『魏略』 기재 朝鮮侯와 ‘取地二千餘里’의 검토" 고려사학회 (61) : 47-76, 2015

      56 오현수, "『管子』에 등장하는 ‘穢貉’과 ‘發朝鮮’의 역사적 실체 ― ‘穢貉’․‘發朝鮮’ 조문의 사료 맥락적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3) : 119-150, 2012

      57 박대재, "『三國遺事』 고조선조 인용 『魏書』론" 한국역사연구회 112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